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

동의보감 침구편에 나오는 택일과 택방 소개

by 예경 2017. 5. 21.

 

 

동의보감 침구편에 나오는 택일과 택방 소개(상)

 

 

동의보감 2009 7 31일 유네스코 세계 기록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시대 최고의 의학서적입니다.

한국 내에서도, 금년 2015년에 국보 제319-1호, 제319-2호, 제319-3호로 승격했습니다.

 

이 세계적인 의서는  선조 30(1597) 임금의 병과 건강을 돌보는 어의(御醫) 허준(15461615)이 선조의 명을 받아 중국과 우리나라의 의학 서적을 하나로 모아 편집에 착수하여 광해군 2(1610)에 완성하고 광해군 5(1613)에 간행하였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일반적인 의학서적과는 달리 한글번역책은 물론이고 어린이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만화책으로도 편찬되어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동의보감의 전체 구성은 모두 다섯 편으로 내경편(內景篇), 외형편(外形篇), 잡병편(雜病篇), 탕액편(湯液篇), 침구편(鍼灸篇)으로 되어있습니다.

 

내경편은, 허준의 의학론과 철학 그리고 양생론이 담겨있고, 내과질환에 해당하는 병증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외형편은, 몸 외부에 생기는 질병과, 이비인후과나 안과의 질병, 피부과나 비뇨기과 등의 병증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잡병편은, 내경편과 외형편에 언급하지 않은 수많은 질병의 이론과 병증에 대한 진찰법과 처방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탕액편은, 조선시대 당시에 흔하게 사용했던 약재 천여종에 대한 임상약물학&본초학을 집대성하여 수록되어 있습니다.
침구편은, 침과 뜸을 놓는 방법과 증상 등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조선시대 최고의 의서라고 칭해지는 동의보감....
현대에 와서 내용의 일부는 미신취급을 받게 되는데요. 그중 가장 대표적인게 침구편의 택일과 택방입니다. 의술의 힘에 눈에 보이지 않는 운기(運氣)를 증폭시켜 효과를 최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방편인데 아직까지 이를 통한 활발한 연구가 없기에 수치화된 내용이나 결과들이 나오지 않은게 많이 안타깝습니다.

 

사실 이런걸 적용하게 되면, 병원운영하기가 쉽지 않죠. 흉한 날에는 수술이나 침 또는 뜸을 놓을 수 없으니까요. 또 정말 심각하고 위급한 환자가 왔는데도 택일과 택방에 얽매이게 되면 손놓고 흉한 시간이 지나길 기다리다 도리어 더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예서원(http://cafe.daum.net/yeseowon)에서는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의학과 관련된 택일과 택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의학과 관련된 것이기에 일반적으로 접해보지 못하는 비법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에 대해 찾다보니 동의보감뿐만 아니라 중의고서(中醫古書)인 천금익방(千金翼方)에서도 택일과 택방이 소개되어 있어서 추가적으로 정리해 올려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허준의 동의보감에 이러한 내용들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경우가 많을 테니 ‘동의보감에 이러한 내용도 있구나~’ 라는 열린마음으로 재밋게 봐주세요.

 

 

1. 좌향법(坐向法) : 침구를 사용할 의원의 자리와 방향을 정하는 법

 

   봄에는 동쪽에 앉아서 서쪽으로 향한다.
여름에는 남쪽에 앉아서 북쪽으로 향한다.
가을에는 서쪽에 앉아서 동쪽으로 향한다.
겨울에는 북쪽에 앉아서 남쪽으로 향한다.

 


2. 침구길일(鍼灸吉日) : 침과 뜸을 놓는데 좋은 날

 

(1) 육십갑자 길일

 

갑술일(甲戌日), 갑신일(甲申日), 갑인일(甲寅日)
을사일(乙巳日), 을묘일(乙卯日), 을축일(乙丑日), 을해일(乙亥日),
병자일(丙子日), 병신일(丙申日), 병오일(丙午日), 병술일(丙戌日),
정묘일(丁卯日), 정해일(丁亥日), 정축일(丁丑日),
경오일(庚午日), 경자일(庚子日), 경술일(庚戌日), 경신일(庚申日),
신묘일(辛卯日), 신축일(辛丑日), 신해일(辛亥日),
임오일(壬午日), 임자일(壬子日), 임술일(壬戌日), 임신일(壬申日),
계축일(癸丑日), 계미일(癸未日)

 

(2) 사계길일(음력기준)

 

봄은 갑을일(甲乙日), 여름은 병정일(丙丁日),
환절기(3, 6, 9, 12월)는 무기일(戊己日),
가을은 경신일(庚辛日), 겨울은 임계일(壬癸日)

 

(3) 건제12신장 길일(建除十二神將 吉日)

 

남자는 파일(破日)과 개일(開日)이 좋고, 여자는 제일(除日)과 개일(開日)이 좋다.

 

(4) 천금익방(千金翼方)에 소개된 길일

 

1) 월건천의법(月建天醫法)

천의

 

2) 생년천의법(生年天醫法)

생년

천의

 

3) 추월천의법(推月天醫法)

자인진오신술 양월(陽月)은 대길, 축묘사미유해 음월(陰月)은 소길이며, 명리통감(命理通鉴)에 이르길 천의는 육임12월장의 공조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육임12월장인 천의공조(天醫功曹)가 월건에 가했을 때 길하다.


주의> 단, 비록 위에 소개된 좋은 날이라 하여도 무기일(戊己日)이나 침구기일 및 태을신(太乙神)이 있는 부위는 침이나 뜸을 놓아서는 안된다.

 

 

3. 침구기일(鍼灸忌日) :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하는 날

 

(1) 지지 흉일

진일(辰日), 유일(酉日), 미일(未日)

 

(2) 음력 흉일

매월 1, 6, 7, 15, 16, 18, 22, 24, 그믐날(그 달의 마지막 날)

 

(3) 육십갑자 흉일

 

남자는 임진일(壬辰日), 갑진일(甲辰日), 기사일(己巳日), 병오일(丙午日), 정미일(丁未日), 무일(戊日)에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한다. 여자는 갑인일(甲寅日), 을묘일(乙卯日), 을유일(乙酉日), 을사일(乙巳日), 정사일(丁巳日), 기일(己日)에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한다. 남녀 공통으로 신미일(辛未日)에는 침을 놓거나 약을 쓰지 못한다. 편작은 이날을 죽는 날이라고 하였다.

 

(4) 건제12신장 흉일(建除十二神將 凶日)

 

남자는 제일(除日)과 만일(滿日)이 흉하고, 여자는 파일(破日)과 만일(滿日)이 흉하다.

 

(5) 기타 흉일

 

환자의 생일날, 절기가 바뀌는 전날과 다음날, 고신일(尻神日), 혈지일(血支日), 온황일(瘟黃日) 등에는 침이나 뜸을 놓지 말아야 한다. 급한 병에는 하루에 2시간 동안만 피한다.

 

(6) 천금익방(千金翼方)에 소개된 흉일

 

1) 월지흉일(月之凶日)

혈기

X

월염

사격

월살

월형

육해

 

2) 행년인신소재법(行年人神所在法) : 인신일(人神日) 흉일

 

나이

인신일

1, 13, 25, 37, 49, 61, 73, 85

진일(辰日)

2, 14, 26, 38, 50, 62, 74, 86

묘일(卯日)

3, 15, 27, 39, 51, 63, 75, 87

인일(寅日)

4, 16, 28, 40, 52, 64, 76, 88

축일(丑日)

5, 17, 29, 41, 53, 65, 77, 89

자일(子日)

6, 18, 30, 42, 54, 66, 78, 90

해일(亥日)

7, 19, 31, 43, 55, 67, 79, 91

술일(戌日)

8, 20, 32, 44, 56, 68, 80, 92

유일(酉日)

9, 21, 33, 45, 57, 69, 81, 93

신일(申日)

10, 22, 34, 46, 58, 70, 82, 94

미일(未日)

11, 23, 35, 47, 59, 71, 83, 95

오일(午日)

12, 24, 36, 48, 60, 72, 84, 96

사일(巳日)

 

3) 십일인신소재(十日人神所在) : 천간에 따라 인신(人神)이 인체에 머무르는 날

일천간

인신

머리

어깨,

가슴,

옆구리

무릎

비장

신장

 

4) 십이일인신소재(十二日人神所在) : 지지에 따라 인신(人神)이 인체에 머무르는 날

일지

인신

,

가슴

,

비장

허리

,

가슴

,

용천

머리

,

정강이

앞목, 옆목, 목구멍

뒷목

 

시지

인신

복사뼈

머리

,

얼굴,

뒷목,

유방, 어깨

가슴, 옆구리

심장

무릎, , 비장

허리, 음좌우(陰左右)

정강이

 

 

4. 신형응구야(身形應九野) :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것에 대하여

 

황제가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것은 무엇인가고 하니 기백이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것은 왼쪽발은 입춘에 상응하는데 그 날짜는 무인일(戊寅日), 기축일(己丑日)이다. 왼쪽 옆구리는 춘분에 상응하는데 그 날짜는 을묘일(乙卯日)이다. 왼쪽 어깨는 입하에 상응하는데 그 날자는 무진일(戊辰日), 기사일(己巳日)이다. 가슴, 목구멍, 머리는 하지에 상응하는데 그 날짜는 병오일(丙午日)이다. 오른손은 입추에 상응하는데 그 날자는 무신일(戊申日), 기미일(己未日)이다. 오른쪽 옆구리는 추분에 상응하는데 그 날짜는 신유일(辛酉日)이다. 오른쪽 발은 입동에 상응하는데 그 날짜는 무술일(戊戌日), 기해일(己亥日)이다. 허리, 꽁무니 아래의 구멍(前後陰)은 동지에 상응하는데 그 날짜는 임자일(壬子日)이다. 6부, 가름막 아래, 5장은 중주(中州, 중앙)에 상응하는데 그것은 대금날이다. 대금(大禁)이라는 것은 태을신이 있는 날과 모든 무일, 기일인데 이것을 천기일(天忌日)이라고 한다.

 

입춘

왼쪽 발

무인일, 기축일

춘분

왼쪽 옆구리

을묘일

입하

왼쪽 어깨

무진일, 기사일

하지

가슴, 목구멍, 머리

병오일

입추

오른쪽 손

무신일, 기미일

추분

오른쪽 옆구리

신유일

입동

오른쪽 발

무술일, 기해일

동지

허리, 전후음(前後陰)

임자일

 

오장육부

천기일(태을신, 무일, 기일)

 

 

 

 

 

동의보감 침구편에 나오는 택일과 택방 소개 (하)

 

 

5. 태을유팔절일수(太乙遊八節日數) : 태을신이 8절기에 돌아다니는 날

 

해당 절기일을 1일로 쳐서 45일까지 본다. 만약 하루가 남으면 그것을 버리고 계산하지 않는다.


[예서원 간략해설] - 침이나 뜸 그리고 수술을 할 때, 해당일의 피해야하는 부위를 찾기 위한 택일법입니다.

 

(1) 입춘절(立春節) : 입춘~춘분 45일

  

 

 

 

(2) 춘분절(春分節) : 춘분~입하 45일

  

 

 

 

(3) 입하절(立夏節) : 입하~하지 45일

  

 

 

 

(4) 하지절(夏至節) : 하지~입추 45일
 

 

 


(5) 입추절(立秋節) : 입추~추분 45일

  

 

 

 

(6) 추분절(秋分節) : 추분~입동 45일

  

 

 

 

(7) 입동절(立冬節) : 입동~동지 45일

  

 

 

 

(8) 동지절(冬至節) : 동지~입춘 45일

 

 

 

 

6. 구궁고신(九宮尻神)을 꺼리는 출입문(出入門)

 

- 손궁 -

,

머리, 입안

- 리궁-

무릎,

옆구리

- 곤궁 -

복사뼈

 

- 진궁 -

장딴지,

손가락,

치아 위

- 태궁 -

, 어깨

 

 

- 간궁 -

허리

목덜미

 

- 감궁 -

팔꿈치,

다리,

- 건궁 -

얼굴,

잔등

 

 

곤궁(坤宮)은 복사뼈, 진궁(震宮)은 장딴지, 손가락, 이빨 위이고 손궁(巽宮)에는 머리와 젖, 입 안이 속한다. 얼굴, 잔등, 눈은 건궁(乾宮)에 속하고 손과 어깨는 태궁(兌宮)에 속하며 목덜미와 허리는 간궁(艮宮)에 속하고 무릎과 옆구리는 이궁( 宮)에 속한다. 감궁(坎宮)에는 팔꿈치, 다리, 배가 속하고 어깨와 꽁무니만은 중궁(中宮)에 속한다.


 

7. 음력 날짜에 따라 인신(人神)이 있는 곳(신응경에서 나왔습니다)

 

1

2

3

4

5

엄지발가락,

궐음경

바깥 복사뼈,

소양경

허벅다리 안,

소음경

허리

태양경

입과 혀,

태음경

6

7

8

9

10

수양명경

안쪽 복사뼈,

소음경

손목

태양경

꽁무니

궐음경

허리와 등

태음경

11

12

13

14

15

콧마루

양명경

머리털,

소양경

치아,

소음경

위완((胃脘)),

양명경

온몸

16

17

18

19

20

젖과 가슴

태음경

기충(氣衝),

양명경

허벅다리 안,

소음경

발등,

양명경

안쪽 복사뼈,

소음경

21

22

23

24

25

새끼손가락,

태양경

바깥 복사뼈,

소양경

간유,

궐음경

수양명경

족양명경

26

27

28

29

30

가슴,

태음경

무릎,

양명경

전음,

소음경

무릎과 정강이

궐음경

발등,

양명경

 

 

1일에는 엄지발가락의 궐음경 부분, 2일에는 바깥 복사뼈의 소양경 부분, 3일에는 허벅다리 안의 소음경부분, 4일에는 허리의 태양경 부분, 5일에는 입과 혀의 태음경 부분, 6일에는 수양명경 부분, 7일에는 안쪽 복사뼈의 소음경 부분, 8일에는 손목의 태양경 부분, 9일에는 꽁무니의 궐음경 부분, 10일에는 허리와 등의 태음경 부분, 11일에는 콧마루의 양명경 부분, 12일에는 머리털이 돋은 소양경 부분, 13일에는 이빨의 소음경 부분, 14일에는 위완(胃脘)의 양명경 부분, 15일에는 온몸에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한다. 16일에는 가슴과 젖의 태음경 부분, 17일에는 기충(氣衝)의 양명경 부분, 18일에는 허벅다리 안쪽의 소음경 부분, 19일에는 발등의 양명경 부분, 20일에는 안쪽 복사뼈의 소음경 부분, 21일에는 새끼손가락의 태양경 부분, 22일에는 바깥 복사뼈의 소양경 부분, 23일에는 간유의 궐음경 부분, 24일에는 수양명경 부분, 25일에는 족양명경 부분, 26일에는 가슴의 태음경 부분, 27일에는 무릎의 양명경 부분, 28일에는 전음의 소음경 부분, 29일에는 무릎과 정강이의 궐음경 부분, 30일에는 발등의 양명경 부분에 있으므로 조심한다.

 

 

8. 태을사립어중궁조팔풍점길흉(太乙徙立於中宮朝八風占吉凶) : 태을이 중궁에 옮겨가는 날, 8풍으로 좋고 나쁜 것을 예견하는 법.

 

황제가 8정(八正)을 관찰한다는 것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소사(少師)는 “동짓날에는 태을이 반드시 협칩의 궁[ 蟄之宮]에 서게 된다. 이 때에는 하늘이 바람과 비로 알린다. 바람은 지붕을 벗기고 나무를 꺾으며 모래와 돌을 날린다. 그러므로 몸의 솜털이 일어서고 땀구멍이 벌어지게 된다”라고 하였다.

 

태을이 있는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실풍(實風)이라 하는데 만물을 생장하게 하고 반대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허풍(虛風)이라고 하는데 사람을 죽이거나 상하게 한다. 그러므로 허풍을 잘 살펴서 피해야 한다. 지금 바람이 남쪽에서 부는데 하지 때에는 실풍이므로 태을이 있는 곳에서 오는 것이다. 동지에는 허풍인데 태을이 있는 반대쪽에서 불어온다. 나머지도 다 이와 같다[영추].

 

바람이 밤중에만 불 때에는 사람들이 다 자기 때문에 맞지 않으므로 그 해에는 병이 적게 생긴다. 그러나 바람이 낮에 불면 사람들이 다 마음 놓고 있다가 허풍을 맞게 되므로 병이 많이 생긴다[영추].

 

(1) 풍종남방래(風從南方來) : 바람이 남쪽에서 불어오는 것

 

이것을 대약풍(大弱風)이라고 하는데 사람이 맞으면 속으로는 심에 들어가고 겉으로는 맥에 들어간다. 그 기운은 주로 열이 된다. 하지에는 실풍이 되고 동지에는 허풍이 된다(영추].

 

(2) 풍종서남래(風從西南來) : 바람이 서남쪽에서 불어오는 것

 

이것을 모풍(謀風)이라고 하는데 사람이 맞으면 속으로는 비에 들어가고 겉으로는 살에 들어간다. 그 기운은 주로 약해지게 한다. 입추에는 실풍이 되고 입춘에는 허풍이 된다[영추].

 

(3) 풍종서방래(風從西方來) : 바람이 서쪽에서 불어오는 것

 

이것을 강풍(剛風)이라고 하는데 사람이 맞으면 속으로는 폐에 들어가고 겉으로는 피부에 들어간다. 그 기운은 주로 마르게 한다. 추분에는 실풍이 되고 춘분에는 허풍이 된다[영추].

 

(4) 풍종서북래(風從西北來) : 바람이 서북쪽에서 불어오는 것

 

이것을 절풍(折風)이라고 하는데 사람이 맞으면 속으로는 가는 밸에 들어가고 겉으로는 수태양경맥에 들어간다. 맥이 끊어지면 넘쳐 나고 맥이 막히면 몰려 통하지 않으므로 갑자기 죽을 수 있다. 입동에는 실풍이 되고 입하에는 허풍이 된다[영추].

 

(5) 풍종북방래(風從北方來) : 바람이 북쪽에서 불어오는 것

 

이것을 대강풍(大剛風)이라고 하는데 사람이 맞으면 속으로는 신에 들어가고 겉으로는 뼈와 어깨, 잔등과 등심의 힘줄에 들어간다. 그 기운은 주로 찬 기운이 되게 한다. 동지에는 실풍이 되고 하지에는 허풍이 된다[영추].

 

(6) 풍종동북래(風從東北來) : 바람이 동북쪽에서 불어오는 것

 

이것을 흉풍(凶風)이라고 하는데 사람이 맞으면 속으로는 대장에 들어가고 겉으로는 양쪽 겨드랑이뼈 아래와 팔다리의 뼈마디에 들어간다. 입춘에는 실풍이 되고 입추에는 허풍이 된다[영추].

 

(7) 풍종동방래(風從東方來) : 바람이 동쪽에서 불어오는 것

 

이것을 영아풍( 兒風)이라고 하는데 삶이 맞으면 속으로는 간에 들어가고 겉으로는 힘줄에 들어간다. 그 기운은 주로 몸을 따뜻하게 한다. 춘분에는 실풍이 되고 추분에는 허풍이 된다[영추].

 

(8) 풍종동남래(風從東南來) : 바람이 동남쪽에서 불어오는 것

 

이것을 약풍(弱風)이라고 하는데 사람이 맞으면 속으로는 위에 들어가고 겉으로는 살에 들어간다. 그 기운은 주로 몸을 무겁게 한다. 하지에는 실풍이 되고 동지에는 허풍이 된다[영추].

 

 

 

 

8정은 8절기의 정기를 말하는 것이고 허사는 8절기의 허풍을 말한 것이다. 허한 곳에서 와서 허한 것을 뚫고 들어가 병이 되므로 8정 허사(八正虛邪)라고 한다. 몸이 허약한데 절기도 허한 때를 만나면 두 허한 것이 서로 반응하여 그 기운이 뼈에까지 들어가서 속으로 5장을 상하게 하기 때문에 지식이 있는 사람은 바람을 피하는 것을 화살이나 돌을 피하는 것같이 한다[영추].


 

 

입하

음락궁

하지

상천궁

입추

현위궁

춘분

창문궁

 

추분

창과궁

입춘

천류궁

동지

협칩궁

입동

신락궁

 

 

태을신(太乙神, 신의 이름이다)은 늘 동짓날부터 협칩궁(叶蟄宮)에 45일간 있고 다음날부터는 천류궁(天留宮)에 45일간 있으며 그 다음날부터는 창문궁(倉門宮)에 45일간 있고 그 다음날부터는 음락궁(陰絡宮)에서 45일간 있다. 그 다음날부터는 상천궁(上天宮)에 45일간 있고 그 다음날부터는 현위궁(玄委宮)에 45일간 있으며 그 다음날부터는 창과궁(倉果宮)에 45일간 있고 그 다음날부터는 신락궁(新絡宮)에 45일간 있다가 그 다음부터 다시 협칩궁에 있게 된다. 있는 날짜는 처음 시작한 곳에서부터 9일이 지나서는 다시 시작된 곳으로 돌아간다. 늘 이와 같이 계속 돌아간다[영추].

 

처음에 8계절의 기준날부터 그 해당한 궁이 있는 데로 가서 첫날부터 9일이 지나서는 다음으로 옮겨가 다시 첫날로 돌아간다. 한바퀴 돈 후에는 이와 같이 계속된다. 그러므로 한 궁에 각각 5일씩 돌아가는데 9배를 하면 한 계절의 날짜가 다 찬다[동인].

 

 

9. 매월제신직일피기방통도(每月諸神直日避忌傍通圖) : 매달 여러 신이 오는 날을 가리는 도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