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

12지 수호불과 자백구성

by 예경 2025. 7. 15.

12지 수호불과 자백구성

 

 

일본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자백구성을 불보살, 신들과 연결시킵니다.

보통 자백구성 상의에 여러 불보살, 신들을 매칭시키는데요...

오늘은 12지 수호불을 자백구성과 연결시키는 방식을 소개합니다.

 

기본적으로 12지 수호불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 - 천수관음보살
축, 인 - 허공장보살
묘 - 문수보살
진, 사 - 보현보살
오 - 세지보살
미, 신 - 대일여래
유 - 부동명왕
술, 해 - 아미타불

 

아래의 구궁표로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보현보살 세지보살 대일여래
문수보살   부동명왕
허공장보살 천수관음보살 아미타불

 

이것을 자백구성과 연결시키는 방법은,

12지 수호불은 구궁에 그대로 있으면서 자백구성 년반(年盤)을 포국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을사년 년반은 중궁에 2가 들어가며 아래와 같이 됩니다.

1
보현보살
6
세지보살
8
대일여래
9
문수보살
2 4
부동명왕
5
허공장보살
7
천수관음보살
3
아미타불

금년의 천수관음은 칠적금성이며, 칠적금성이 본명성인 사람이나 칠적금성이 길방인 분은 천수경 등을 독송하면 됩니다.

부동명왕은 사록목성이며, 사록목성이 본명성인 사람이나 사록목성이 길방인 분은 부동명왕진언염송의궤 등을 하시면 됩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자백구성의 상의가 아니라 구궁에 수호불이 적용되기 때문에...

매년 길성의 수호불이 바뀌어 다양한 수호불의 가피를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부동명왕의 자백구성인 구자화성이 흉하여 사용못하는 분들의 경우,

이 방식으로 하면 최소 9년에 2번(본명성, 길성)은 부동명왕의 자백구성이 올 수 있습니다.

인연 있는 분들에게 전해지길 기원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