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지 수호불과 자백구성
일본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자백구성을 불보살, 신들과 연결시킵니다.
보통 자백구성 상의에 여러 불보살, 신들을 매칭시키는데요...
오늘은 12지 수호불을 자백구성과 연결시키는 방식을 소개합니다.
기본적으로 12지 수호불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 - 천수관음보살
축, 인 - 허공장보살
묘 - 문수보살
진, 사 - 보현보살
오 - 세지보살
미, 신 - 대일여래
유 - 부동명왕
술, 해 - 아미타불
아래의 구궁표로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보현보살 | 세지보살 | 대일여래 |
문수보살 | 부동명왕 | |
허공장보살 | 천수관음보살 | 아미타불 |
이것을 자백구성과 연결시키는 방법은,
12지 수호불은 구궁에 그대로 있으면서 자백구성 년반(年盤)을 포국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을사년 년반은 중궁에 2가 들어가며 아래와 같이 됩니다.
1 보현보살 |
6 세지보살 |
8 대일여래 |
9 문수보살 |
2 | 4 부동명왕 |
5 허공장보살 |
7 천수관음보살 |
3 아미타불 |
금년의 천수관음은 칠적금성이며, 칠적금성이 본명성인 사람이나 칠적금성이 길방인 분은 천수경 등을 독송하면 됩니다.
부동명왕은 사록목성이며, 사록목성이 본명성인 사람이나 사록목성이 길방인 분은 부동명왕진언염송의궤 등을 하시면 됩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자백구성의 상의가 아니라 구궁에 수호불이 적용되기 때문에...
매년 길성의 수호불이 바뀌어 다양한 수호불의 가피를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부동명왕의 자백구성인 구자화성이 흉하여 사용못하는 분들의 경우,
이 방식으로 하면 최소 9년에 2번(본명성, 길성)은 부동명왕의 자백구성이 올 수 있습니다.
인연 있는 분들에게 전해지길 기원드립니다...
'기타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봉구성 우보법 (0) | 2025.07.17 |
---|---|
고서 구성도궁판단술에서 천반(天盤)이란? (0) | 2025.07.16 |
물로 사리탑을 만들어 공양 올리는 방법 (0) | 2025.07.14 |
문수구성팔괘도(文殊九宫八卦圖), 티벳불교와 구성기학... (0) | 2025.07.13 |
칼라차크라(시륜금강時輪金剛)의 상징 십상자재(十相自在) (2) | 2025.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