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

택일 이야기

by 예경 2020. 7. 14.

 

 

택일 이야기(1) 소개

 

 

택일법은, 동양에서 고대로부터 전해지는 '좋은 날을 정하는 방법'입니다.
즉, 여행, 제사, 이사, 모임 등 모든 일에 있어 택일을 함으로써 길한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됩니다.

 

1년 365일이라는 시간에는 수없이 많은 크고 작은일들이 생기고 사라지고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인간세상의 모든 일들이 모래처럼 담겨져 있는데, 택일은 그 중에서 자신에게 길한 부분을 뽑아서 취하는 것입니다.

 

즉, 자신이 불리한 선택을 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택일로서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이 모두 시간에 담겨져 있습니다.

 

그렇기에 과거 성현들께서는 무수한 택일법들을 만들어 내시고 아직까지도 전해지고 있는 것입니다.

 

수학이라는 분야가 여러 분야가 있듯이, 택일에도 여러 분야가 있습니다.
모든 일에 길한 택일법, 특정 제사에 길한 택일법, 여행에 길한 택일법 등이 그것입니다.

 

이러한 여러 택일방법들 중에서 주로 연재를 할 것은 모든 일에 길한 택일법입니다.
만세력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쉽게 자신에게 길한 택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간단한 순서부터 하나씩 하나씩 연재해보겠습니다.

 

 

택일 이야기(2) 육십갑자길일(六十甲子吉日)

 

 

60갑자일만으로 길한 날을 찾는 매우 간단한 방법입니다.

 

짧은 소견으로 여러 택일 서적을 찾아봐도 60갑자일만으로 찾을 수 있는 만사대길일은

천은상길일, 십전대길일, 대투수일 말고는 없는 것 같습니다.

 

많은 경우가 월과 일을 같이 연결하여 사용하기에 그렇습니다.

 

경우의 수가 몇 가지 안되기에 실전에서는 메인으로 사용하지 않고 서브옵션으로 쓰지만,

택일을 모르시는 분들은 이렇게 간단하게도 택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면 충분할 것입니다.

 

한눈에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표로 정리하였으니, 편하게 보세요.

 

갑자일 을축일 병인일 정묘일 무진일
천은상길일 천은상길일
십전대길일
천은상길일
일월화합일
천은상길일
십전대길일
일월화합일
천은상길일
기사일 경오일 신미일 임신일 계유일
    대명상길일 대명상길일 대명상길일
갑술일 을해일 병자일 정축일 무인일
    십전대길일 대명상길일
십전대길일
국가화합일
기묘일 경진일 신사일 임오일 계미일
천은상길일
대명상길일
국가화합일
천은상길일 천은상길일 천은상길일
대명상길일
천은상길일
갑신일 을유일 병술일 정해일 무자일
대명상길일     대명상길일
기축일 경인일 신묘일 임진일 계사일
십전대길일 산하화합일 십전대길일
산하화합일
대명상길일
갑오일 을미일 병신일 정유일 무술일

대명상길일      
기해일 경자일 신축일 임인일 계묘일
      대명상길일
인민화합일
십전대길일
인민화합일
갑진일 을사일 병오일 정미일 무신일
대명상길일 대명상길일
십전대길일
대명상길일    
기유일 경술일 신해일 임자일 계축일
천은상길일
대명상길일
천은상길일
대명상길일
천은상길일
대명상길일
천은상길일
대투수일
십전대길일
천은상길일
대투수일
십전대길일
갑인일 을묘일 병진일 정사일 무오일
천지화합일 천지화합일 대투수일 대투수일 대투수일
기미일 경신일 신유일 임술일 계해일
대투수일 대투수일 대투수일    

 

1) 천은상길일(天恩上吉日) - 하늘이 은총을 내리는 날

2) 대명상길일(大明上吉日) - 만사대길(萬事大吉)

3) 대투수일(大偸修日) - 모든 흉신(凶神)이 하늘에 올라간다.

4) 오합일(五合日) - 일월, 음양, 인민, 금석, 강하의 5가지의 합이 되는 날로 길한 날

 

 

 

택일 이야기(3) 사계절(四季節)로 정하는 길일(吉日)

 

 

계절(季節) 24절기 음력(陰曆)
() 입춘~입하 1~ 3
여름() 입하~입추 4~ 6
가을() 입추~입동 7~ 9
겨울() 입동~입춘 10~12

 

원래는 절기로 택일을 하였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과거사람들이에 자주 사용했던 음력을 중심으로 바뀐 것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 간단한 것이 춘하추동 사계절로 길일을 나누는 택일법입니다.

 

월의 지지가 바뀌는 12절기를 음력으로 치환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음력 1 입춘
음력 2 경칩
음력 3 청명
여름() 음력 4 입하
음력 5 망종
음력 6 소서
가을() 음력 7 입추
음력 8 백로
음력 9 한로
겨울() 음력 10 입동
음력 11 대설
음력 12 소한

 

이렇게 치환된다는 것을 알고 계시면 되고,

사계절과 육십갑자를 통한 간단한 택일법을 소개합니다.

 

육십갑자길일에 이 사계절 길일을 추가해서 사용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1) 천사상길일(天赦上吉日) - 하늘이 모든 잘못을 용서해주는 날.

 

계절(季節) ()
() 무인(戊寅)
여름() 갑오(甲午)
가을() 무신(戊申)
겨울() 갑자(甲子)

 

단, 오월(午月) 갑오일과 자월(子月) 갑자일은 효력이 없다.

 

 

 

(2) 모창상길일(母倉上吉日) - 창고(倉庫), 수리(修理), 조작(造作) 및 백사대길(百事大吉)

 

계절(季節) ()
() (), ()
여름() (), ()
가을() (), (), (), ()
겨울() (), ()

 

 

(3) 사계길일(四季吉日)

 

계절(季節) ()
() 을축 병자 정축 기축 을미 임자 계축
여름() 을축 기축 계사 을미 정묘 계묘 을사 을묘
가을() 병자 정축 임오 신묘 계사 을미 계묘 을사
임자 계축 을축 기축
겨울() 정묘 계사 신묘 계묘 을사 정묘

 

 

 

(4) 천귀일() - 귀인을 만나거나 관직을 구하는 데 길한 날

 

계절(季節) ()
() 갑일(甲日), 을일(乙日)
여름() 병일(丙日), 정일(丁日)
가을() 경일(庚日), 신일(辛日)
겨울() 임일(壬日), 계일(癸日)

 

 

 

 

 

 

택일 이야기(4) 오행 택일법(五行 擇日法)

 

 

오행 택일법은 중국 부록파인 신소파의 서적에 소개된 간단한 택일법으로 부적을 작성할 때, 수련시작일, 제사, 여행 등 만사대길(萬事大吉)한 택일방법입니다. 이 택일법은 원래 음양오행 이론, 천간지지의 오행상생상극, 형충파해를 이해를 한 후에야 할 수 있지만,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너무 번거로운 부분이 많기에 간단하게 도표로 정리하였습니다. 도표와 간단한 주의사항만을 알고 계시면, 누구나 자신의 연월일시 사주에서 일에 해당하는 육십갑자 일주(日主)만으로 길한 날을 찾을 수 있습니다.

 

[ 택일 방법 ]

1) 자신의 사주 연월일시에서 일주에 해당하는 60갑자를 찾는다.

2) 자신의 일주의 천간을 도표를 이용하여, ‘X'가 아닌 천간을 찾는다.

3) 자신의 일주의 지지를 도표를 이용하여, ‘X'가 아닌 지지를 찾는다.

4) 찾은 천간과 지지를 ‘60갑자 도표를 참고하여 60갑자일을 찾는다.

5) 자신의 일주의 60갑자와 해당 일의 60갑자가 동일하면 흉하므로 제외시킨다.

6) 자신의 일주의 60갑자를 기준으로 ‘60갑자 도표의 순중공망 지지는 흉하므로 제외시킨다.

7) 제외하고 남은 60갑자일을 만세력으로 찾는다.

8) 해당 일이 해당 월의 월파이면 흉하다.

 

[ 길의 강도 ]

대대길 : 천간 상생, 지지 합-상생

대길 : 천간 상생, 지지 상생

중길 : 천간 또는 지지 1개만 상생일 경우

소길 : 천간, 지지 모두 빈칸일 경우

 

 

 

[ 천간 도표 ] - , 상극 제외

 




상생 상생 X X X X 상생 상생


상생 상생 X X X X 상생 상생
상생 상생

상생 상생 X X X X
상생 상생

상생 상생 X X X X
X X 상생 상생     상생 상생 X X
X X 상생 상생     상생 상생 X X
X X X X 상생 상생     상생 상생
X X X X 상생 상생     상생 상생
상생 상생 X X X X 상생 상생    
상생 상생 X X X X 상생 상생    

 

*. ‘X는 사용하지 않고, 공란 또는 상생을 사용한다.

 

 

 

 

[ 지지 도표 ] - 형충파해, 상극 제외

 

-
  X 상생 X X X X X
상생
X X
X
X X X 상생 X X 상생
상생
X X
상생 X     X X
상생
X X X X X
X X     X 상생 X X X X X
상생
X X X X X 상생 상생
상생
상생
X X
X 상생 X 상생 상생     상생 X X 상생 X
X X
상생
X 상생
X
상생
X X
상생
X
X X X X
상생
상생

상생 상생 X X

상생
상생 X X 상생 X X 상생 X
상생 X
X
상생
X X
상생
X X 상생
X X 상생
X X X X X 상생
상생
X 상생 X
X

X X
상생
X X X X X 상생 X X

 

*. ‘X는 사용하지 않고, 공란 또는 상생 또는 합-상생을 사용한다.

 

 

 

[ 60갑자 도표 ]

 

60갑자 순중공망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술해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신유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오미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진사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인묘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자축

 

 

 

[ 월파(月破) 도표 ] - 월 지지의 충이 되는 지지가 월파일이다.

 

() 월파일(月破日)
자월(子月) ()
축월(丑月) ()
인월(寅月) ()
묘월(卯月) ()
진월(辰月) ()
사월(巳月) ()
오월(午月) ()
미월(未月) ()
신월(申月) ()
유월(酉月) ()
술월(戌月) ()
해월(亥月) ()

 

 

 

예제> 1978818/ 경오년 경신월 임자일 경자시 / 일주 임자

1) 일주 임자

2) 사용가능 천간 : 갑을(상생) 경신(상생) 임계

3) 사용가능 지지 : , (상생), (-상생),

4) 60갑자 : 갑자, 갑인, 갑신 / 을해 / 경자, 경인, 경신 / 신해 / 임자, 임인, 임해 / 계해

5) 일주와 동일한 60갑자 : 임자

6) 일주 순중공망 : , / 갑인, 경인, 임인

7) 최종 60갑자 : 갑자갑신 / 을해 / 경자경신  / 신해 / 임해

                        중길, 대대길/ 중길 / 중길, 대대길/ 중길 / 소길

8) 월파 : 오월(午月)의 월파일은 자()이므로, 갑자 경자일은 사용하지 못한다.

 

 

예제> 198241/ 임술년 계묘월 갑인일 갑자시 / 일주 갑인

1) 일주 갑인

2) 사용가능 천간 : 갑을 병정(상생) 임계(상생)

3) 사용가능 지지 : (상생), , , (상생)

4) 60갑자 : 갑자, 갑인, 갑오 / 을묘 / 병자, 병인, 병오 / 정묘 / 임자, 임인, 임오 / 계묘

5) 일주와 동일한 60갑자 : 갑인

6) 일주 순중공망 : , / 갑자, 병자, 임자

7) 최종 60갑자 : 갑오 / 을묘 / 병인, 병오 / 정묘 / 임인, 임오 / 계묘

                        중길 / 소길 / 중길, 대길 / 중길 / 중길, 대길 / 중길

8) 월파 : 자월(子月)의 월파일은 오()이므로, 갑오 병오 임오일은 사용하지 못한다.

 

 

예제> 1989125/ 기사년 을해월 기해일 갑자시 / 일주 기해

1) 일주 기해

2) 사용가능 천간 : 병정(상생) 무기 경신(상생)

3) 사용가능 지지 : , (-상생), (상생)

4) 60갑자 : 병자 / 정묘, 정유 / 무자 / 기묘, 기유 / 경자 / 신묘, 신유

5) 일주와 동일한 60갑자 : X

6) 일주 순중공망 : , / X

7) 최종 60갑자 : 병자 / 정묘,   정유 / 무자 / 기묘, 기유 / 경자 / 신묘,   신유

                        중길 / 대대길, 대길 / 소길 / 중길, 중길 / 중길 / 대대길, 대길

8) 월파 : 유월(酉月)은 월파일이 묘()이므로, 정묘 기묘 신묘일은 사용하지 못한다.

 

 

예제> 19911129/ 신미년 기해월 계묘일 임자시 / 일주 계묘

1) 일주 계묘

2) 사용가능 천간 : 갑을(상생) 경신(상생) 임계

3) 사용가능 지지 : , , (상생), (-상생)

4) 60갑자 : 갑인 / 을묘, 을사, 을해 / 경인 /

신사, 신묘, 신해 / 임인 / 계묘, 계사, 계해

5) 일주와 동일한 60갑자 : 계묘

6) 일주 순중공망 : , / 을사, 신사, 계사

7) 최종 60갑자 : 갑인 / 을묘, 을해   / 경인 / 신묘, 신해   / 임인 / 계해

                        중길 / 중길, 대대길/ 중길 / 중길, 대대길/ 소길 / 중길

8) 월파 : 사월(巳月)에는 월파일이 해()이므로, 을해 신해 계해일은 사용하지 못한다.

 

 

 

 

택일 이야기(5) 월지를 사용한 택일

 

앞의 연재내용에서는 연월일시중 일()만 사용하여 보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이번에는 월의 지지를 사용하여 길한 일을 찾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천간으로 이루어진 택일법

월지(月支)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월덕일 임 경 병 갑 임 경 병 갑 임 경 병 갑
월덕합 정 을 신 기 정 을 신 기 정 을 신 기

 

 

2. 지지로 이루어진 택일법

월지(月支)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천성일 묘 사 미 유 해 축 묘 사 미 유 해 축
천희일 신 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천부일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천사신 진 축 술 미 진 축 술 미 진 축 술 미
해결신 오 오 신 신 술 술 자 자 인 인 진 진

 

* 천기대요의 천사신은 잘못 나와 있는 것으로 위의 천사신이 올바른 것입니다.

  천사신은 지지천사라고도 하며 지지를 중심으로 천사를 찾는 방법입니다.

  '인오술-술, 해묘미-미, 신자진-진, 사유축-축' <- 천사신 도표의 이치는 이와 같습니다.

 

 

3. 천간 지지 혼합된 택일법

월지(月支)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천덕일 巳 庚 丁 申 壬 辛 亥 甲 癸 寅 丙 乙
천덕합 申 乙 壬 巳 丁 丙 寅 己 戊 亥 辛 庚

 

 

천덕일(天德日), 천덕합(天德合) : 만사대길

월덕일(月德日), 월덕합(月德合) : 만사대길

 

천성일(天成日) : 조장, 개업, 이사, 취임, 계약, 매매, 약혼 등 모든 일에 길하다.

천희일(天喜日) : 출행, 이사, 혼인, 연회, 상장, 취임 등 백사에 대길하다.

천부일(天富日) : 개업, 구재, 출행, 이사, 기복, 연회, 건옥, 수가 등 매사에 대길하다.

천사신(天赦神) : 천사신이 와서 죄를 용서해주는 날

해신(解神)     : 모든 살()이 풀려서 백사대길

 

 

 

 

택일 이야기(5) 월지를 사용한 택일

 

앞의 연재내용에서는 연월일시중 일()만 사용하여 보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이번에는 월의 지지를 사용하여 길한 일을 찾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천간으로 이루어진 택일법

월지(月支)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월덕일 임 경 병 갑 임 경 병 갑 임 경 병 갑
월덕합 정 을 신 기 정 을 신 기 정 을 신 기

 

 

2. 지지로 이루어진 택일법

월지(月支)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천성일 묘 사 미 유 해 축 묘 사 미 유 해 축
천희일 신 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천부일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천사신 진 축 술 미 진 축 술 미 진 축 술 미
해결신 오 오 신 신 술 술 자 자 인 인 진 진

 

* 천기대요의 천사신은 잘못 나와 있는 것으로 위의 천사신이 올바른 것입니다.

  천사신은 지지천사라고도 하며 지지를 중심으로 천사를 찾는 방법입니다.

  '인오술-술, 해묘미-미, 신자진-진, 사유축-축' <- 천사신 도표의 이치는 이와 같습니다.

 

 

3. 천간 지지 혼합된 택일법

월지(月支)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천덕일 巳 庚 丁 申 壬 辛 亥 甲 癸 寅 丙 乙
천덕합 申 乙 壬 巳 丁 丙 寅 己 戊 亥 辛 庚

 

 

천덕일(天德日), 천덕합(天德合) : 만사대길

월덕일(月德日), 월덕합(月德合) : 만사대길

 

천성일(天成日) : 조장, 개업, 이사, 취임, 계약, 매매, 약혼 등 모든 일에 길하다.

천희일(天喜日) : 출행, 이사, 혼인, 연회, 상장, 취임 등 백사에 대길하다.

천부일(天富日) : 개업, 구재, 출행, 이사, 기복, 연회, 건옥, 수가 등 매사에 대길하다.

천사신(天赦神) : 천사신이 와서 죄를 용서해주는 날

해신(解神)     : 모든 살()이 풀려서 백사대길

 

 

 

택일 이야기(5) 종합 만사대길 택일법

 

 

국내에는 삼갑순법, 황흑도법, 건제12신장법이라는 3대 택일법이 있습니다.

택일서적으로 유명한 천기대요, 협기병방서 및 근래에 출간되는 여러 선생님들의 택일서적에도 자주 등장하는 택일법입니다.

 

이번에도 간단한 도표와 함께 이 3가지 택일법을 소개해보겠습니다.

 

 

 

1. 삼갑순법(三甲旬法)

 

국내 택일의 3대 기준중 하나이며, 기문둔갑에서 파생되어 나온 방법입니다.

주역연구에 평생을 바쳐오신 대산 김석진 선생님께서, ‘택일에는 첫째로 삼갑순법이고 두 번째로는 당사자의 생기복덕일이다.’ 라고 말씀하셨을 만큼 중요한 택일법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삼갑순법은, 년의 지지를 통해 생갑-병갑-사갑을 정하는 것으로 살아 있는 사람에게는 생갑만을 사용합니다.

도표에는 해당 년의 지지에 따른 생갑만 표시해 두었습니다.

 

년지(年支) 생갑일(生甲日)
자오묘유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진술축미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인신사해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2. 황흑도법(黃黑道法)

 

황흑도법은 기문둔갑비급대전, 기문둔갑장신법 등에도 소개되어 있지만 육임에서 파생되어 나온 택일법입니다.

 

황도는 태양의 길을, 흑도는 태음 즉 달의 길을 의미하며 황도는 길하고, 흑도는 흉합니다.

흑도는 제외하고 황도만을 표기하여 정리한 도표를 보고, 3가지의 택일을 하시면 됩니다.

 

 

지지(地支) 청룡 명당 금궤 대덕 옥당 사명
자오
축미
인신
묘유
진술
사해

 

(1) 해당 년의 지지를 찾아 청룡-명당-금궤-대덕-옥당-사명의 길한 달을 찾는다.

(2) 해당 월의 지지를 찾아 청룡-명당-금궤-대덕-옥당-사명의 길한 일을 찾는다.

(3) 해당 일의 지지를 찾아 청룡-명당-금궤-대덕-옥당-사명의 길한 시간를 찾는다.

 

 

 

3. 건제12신장법(建除十二神將法) => 자미제성12신장법(紫薇帝星十二神將法)

 

사실 건제12신장법은 길흉이 각각 반씩 나뉘어 있기에 복잡한 것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상관이 없겠지만,

이 연재의 목표가 누구나 쉽게 택일을 할 수 있는 것이기에 자미제성12신장법으로 바꾸어 소개하겠습니다.

 

자미제성12신장법은 북진대제12신장법 또는 북진제성12신장법이라고도 불리며,

백귀가 놀라고 모든 신살이 달아나는 대길성의 택일법입니다.

 

자미제성12신장법은 원래 건제12신장법과는 다른 택일법입니다.

중국의 택일서적인 선택구진에서는 북진제성이라는 이름으로 따로 표기되어 있으며....

자미제성12신장과 건제12신장이 서로 길한 부분이 겹치기에 같이 사용한듯 싶습니다.

 

아무튼 이 북진제성의 길신인 천태(天台)-천괴(天魁)-천제(天帝)-천복(天福)

건제12신장법의 평()-()-()-()로 각각 치환시켜 사용한 것입니다.

 

, 천태=, 천괴=, 천제=, 천복=개로 합쳐진 것입니다.

4개의 길신 모두 만사대길합니다.

 

도표에서는 원래의 의미 그대로 천태-천괴-천제-천복으로 표기하였습니다.

 

지지(地支) 천태(天台) 천괴(天魁) 천제(天帝) 천복(天福)

 

(1) 해당 년의 지지를 찾아 천태-천괴-천제-천복의 길한 달을 찾는다.

(2) 해당 월의 지지를 찾아 천태-천괴-천제-천복의 길한 일을 찾는다.

(3) 해당 일의 지지를 찾아 천태-천괴-천제-천복의 길한 시간를 찾는다.

 

 

4. 공망

 

공망은 길한 작용도 흉한 작용도 모두 제로가 되므로 시간을 정할 때에는 공망을 조심해야 합니다.

공망은 순중공망과 절로공망이 있는데 도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60갑자일 순중공망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술해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신유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오미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진사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인묘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자축

 

 

일천간(日天干) 절로공망
갑기 신유
을경 오미
병신 진사
정임 인묘
무계 자축

 

 

길한 시간을 찾는 방법은, 각각에 해당하는 일에서 순중공망과 절로공망의 시간을 제외한 다음

황흑도법 또는 자미제성12신장법의 길한 시간을 사용하면 됩니다.

 

 

 

여기까지 중요한 택일법 3가지를 살펴보았습니다.

육십갑자길일을 시작으로 하나씩 하나씩 단계를 높여 연재를 해보았는데 어떠신가요?

간단한 도표와 함께 해서 그런지,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죠? ^^

 

위의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1) 삼갑순법의 생갑일을 찾는다.

2) 황흑도법의 길한 월을 찾고, 자미제성12신장법의 길한 월을 찾는다.

3) 황흑도법의 길한 일을 찾고, 자미제성12신장법의 길한 일을 찾는다.

4) 황흑도법의 길한 시간을 찾고, 자미제성12신장법의 길한 시간을 찾는다.

5) 순중공망과 절로공망의 시간을 제외한다.

*) 황흑도법과 자미제성12신장법이 겹치면 더욱 좋다.

 

 

이정도만 사용하셔도 모임, 여행, 결혼식, 통장개설일, 핸드폰개설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간단한 택일은 충분하실 것입니다.

 

다음번 글은 제사 및 부적을 작성할 때 제외해야할 천구하식시를 소개해보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

 

 

 

 

 

자일 해시

축일 자시

인일 축시

묘일 인시

진일 묘시

사일 진시

오일 사시

미일 오시

신일 미시

유일 신시

술일 유시

해일 술시

 

하늘개인 천구가 내려와 밥을 먹는 시간이라서, 제사나 수행 그리고 부적을 작성하지 않습니다.

 

천구는 일본어로 텐구라고 하며, 일본만화에 자주 등장하는 친숙한 요괴입니다.

 

일본식 천구는 수험도의 영향으로 수험자풍의 분위기를 띄게 되었다고 하며,

거주지는 많은 경우 명산과 같은 경치 좋은 산이거나 영적인 세상의 산 등에 존재합니다.

 

 

 

이게 실제로 있냐고요? , 영적인 세상에는 천구가 있습니다.

 

천구는, 수행에 대한 집착이 매우 크고 영적인 능력이 강한 사람이 죽으면 천구계에 떨어져 천구가 됩니다.

또 영적인 능력이 크면서 마음공부는 부족하기에 자만심이 매우 크고 콧대가 하늘을 찌를 정도로 높기에

일본에서는 코가 긴 존재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알려진 모습의 천구들도 있는가 하면 개머리를 한 천구, 개를 타고 천구 등 실제로는 여러 종류의 천구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일반 수행을 하지 않는 사람이나 수행을 취미생활 삼아 하는 사람에게는 눈길조차 주지 않을 정도로 콧대가 높습니다.

하지만 수행의 진전이 어느정도 있는 사람에게는 살며시 다가가 지배를 하여 권속처럼 부려먹기도 합니다.

 

또한 천구가 되기 전에 선한 마음이 남이 있는 존재는 사람들을 돕기도 한다고 하지만, 아직까지 만나보지는 못했습니다.

 

천구들에게 있어 최고의 권력은 힘이고, 힘이 얼마나 강하냐에 따라 천구의 급이 각기 다릅니다.

 

이런 천구가 밥먹으러 지상에 내려올 때에 그 근처에서 제사나 수행 또는 부적을 작성하고 있으면

호기심 또는 장난삼아 가서 제사나 수행 그리고 부적 모두 효과가 없게 만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간에는 제사나 수행 그리고 부적을 작성하지 않습니다.

 

 


 

중국의 택일 서적인 선택구진에는 이런 천구의 신체와 관련된 택일도 있는데 그냥 재미삼아 한번 올려봅니다.

 

 


 

일본에서 행하는 천구의 잔치(天狗の宴) 행사 동영상도 있어서 올려봅니다.

사람들을 도와주는 천구라서 이러한 행사도 전승되고 있나봅니다.

 

 

 

 

 

 

 

 

 

택일 이야기(7) 육십갑자 길시(六十甲子 吉時)

 

 

60갑자만으로 길한 시간을 찾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앞서 올린 택일법들과 궁합이 잘 맞으며만사대길한 황흑도법의 황도 길시를 중심으로 백사대길한 천을귀인을 곁들인 것이며, 절로공망, 황흑도법의 흑도 흉시, 오불우시는 제외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시간에는 살아 있는 사람에 대한 길한 일이라면 그 어떤 것도 시작하기에 좋습니다.

 

핸드폰 개통, 중요물건 구입, 미팅, 여행출발 등등 모든 일에 대해 길합니다.

 

, 법술이나 부적작성 그리고 제사 시간에는 바로 전에 올린 천구하식시를 제외하여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간단하게 정리된 표로 만들어 두었기에 프린트하여 길한 시간을 찾아서 보시면 됩니다.

 

 

() ()
갑자일 자시(23:30 ~ 01:30)
축시(01:30 ~ 03:30) - 천을귀인
묘시(05:30 ~ 07:30)
을축일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신시(15:30 ~ 17:30) - 천을귀인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병인일 자시(23:30 ~ 01:30)
축시(01:30 ~ 03:30)
미시(13:30 ~ 15:30)
술시(19:30 ~ 21:30)
정묘일 자시(23:30 ~ 01:30)
오시(11:30 ~ 13:30)
미시(13:30 ~ 15:30)
유시(17:30 ~ 19:30) - 천을귀인
무진일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해시(21:30 ~ 23:30)
기사일 진시(07:30 ~ 09:30)
오시(11:30 ~ 13:30)
미시(13:30 ~ 15:30)
술시(19:30 ~ 21:30)
경오일 축시(01:30 ~ 03:30) - 천을귀인
묘시(05:30 ~ 07: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신미일 인시(03:30 ~ 05:30) - 천을귀인
묘시(05:30 ~ 07:30)
신시(15:30 ~ 17: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임신일 자시(23:30 ~ 01:30)
축시(01:30 ~ 03:30)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 천을귀인
미시(13:30 ~ 15:30)
술시(19:30 ~ 21:30)
계유일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 천을귀인
오시(11:30 ~ 13:30)
유시(17:30 ~ 19:30)
갑술일 인시(03:30 ~ 05:30)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해시(21:30 ~ 23:30)
을해일 축시(01:30 ~ 03:30)
진시(07:30 ~ 09: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병자일 자시(23:30 ~ 01:30)
축시(01:30 ~ 03:30)
묘시(05:30 ~ 07:30)
오시(11:30 ~ 13: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 천을귀인
정축일 사시(09:30 ~ 11:30)
신시(15:30 ~ 17: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 천을귀인
무인일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미시(13:30 ~ 15:30) - 천을귀인
술시(19:30 ~ 21:30)
기묘일 자시(23:30 ~ 01:30) - 천을귀인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오시(11:30 ~ 13:30)
미시(13:30 ~ 15:30)
경진일 인시(03:30 ~ 05:30)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해시(21:30 ~ 23:30)
신사일 축시(01:30 ~ 03:30)
오시(11:30 ~ 13:30) - 천을귀인
미시(13:30 ~ 15: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임오일 자시(23:30 ~ 01:30)
오시(11:30 ~ 13:30)
유시(17:30 ~ 19:30)
계미일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 천을귀인
사시(09:30 ~ 11:30) - 천을귀인
신시(15:30 ~ 17: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갑신일 자시(23:30 ~ 01:30)
축시(01:30 ~ 03:30) - 천을귀인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미시(13:30 ~ 15:30) - 천을귀인
술시(19:30 ~ 21:30)
을유일 자시(23:30 ~ 01:30) - 천을귀인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유시(17:30 ~ 19:30)
병술일 인시(03:30 ~ 05: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 천을귀인
해시(21:30 ~ 23:30) - 천을귀인
정해일 축시(01:30 ~ 03:30)
진시(07:30 ~ 09:30)
오시(11:30 ~ 13:30)
미시(13:30 ~ 15: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 천을귀인
무자일 묘시(05:30 ~ 07:30)
오시(11:30 ~ 13: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기축일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사시(09:30 ~ 11:30)
술시(19:30 ~ 21:30)
경인일 축시(01:30 ~ 03:30) - 천을귀인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신묘일 자시(23:30 ~ 01:30)
인시(03:30 ~ 05:30) - 천을귀인
묘시(05:30 ~ 07:30)
오시(11:30 ~ 13:30) - 천을귀인
미시(13:30 ~ 15:30)
임진일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 천을귀인
유시(17:30 ~ 19:30)
해시(21:30 ~ 23:30)
계사일 진시(07:30 ~ 09:30)
오시(11:30 ~ 13: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 ()
갑오일 자시(23:30 ~ 01:30)
축시(01:30 ~ 03:30) - 천을귀인
묘시(05:30 ~ 07:30)
을미일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신시(15:30 ~ 17:30) - 천을귀인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병신일 자시(23:30 ~ 01:30)
축시(01:30 ~ 03:30)
미시(13:30 ~ 15:30)
술시(19:30 ~ 21:30)
정유일 자시(23:30 ~ 01:30)
오시(11:30 ~ 13:30)
미시(13:30 ~ 15:30)
유시(17:30 ~ 19:30) - 천을귀인
무술일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해시(21:30 ~ 23:30)
기해일 진시(07:30 ~ 09:30)
오시(11:30 ~ 13:30)
미시(13:30 ~ 15:30)
술시(19:30 ~ 21:30)
경자일 축시(01:30 ~ 03:30) - 천을귀인
묘시(05:30 ~ 07: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신축일 인시(03:30 ~ 05:30) - 천을귀인
묘시(05:30 ~ 07:30)
신시(15:30 ~ 17: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임인일 자시(23:30 ~ 01:30)
축시(01:30 ~ 03:30)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 천을귀인
미시(13:30 ~ 15:30)
술시(19:30 ~ 21:30)
계묘일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 천을귀인
오시(11:30 ~ 13:30)
유시(17:30 ~ 19:30)
갑진일 인시(03:30 ~ 05:30)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해시(21:30 ~ 23:30)
을사일 축시(01:30 ~ 03:30)
진시(07:30 ~ 09: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병오일 자시(23:30 ~ 01:30)
축시(01:30 ~ 03:30)
묘시(05:30 ~ 07:30)
오시(11:30 ~ 13: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 천을귀인
정미일 사시(09:30 ~ 11:30)
신시(15:30 ~ 17: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 천을귀인
무신일 진시(07:30 ~ 09:30)
미시(13:30 ~ 15:30) - 천을귀인
술시(19:30 ~ 21:30)
기유일 자시(23:30 ~ 01:30) - 천을귀인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오시(11:30 ~ 13:30)
미시(13:30 ~ 15:30)
경술일 인시(03:30 ~ 05:30)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해시(21:30 ~ 23:30)
신해일 축시(01:30 ~ 03:30)
오시(11:30 ~ 13:30) - 천을귀인
미시(13:30 ~ 15: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임자일 자시(23:30 ~ 01:30)
축시(01:30 ~ 03:30)
오시(11:30 ~ 13:30)
유시(17:30 ~ 19:30)
계축일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 천을귀인
사시(09:30 ~ 11:30) - 천을귀인
신시(15:30 ~ 17: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갑인일 자시(23:30 ~ 01:30)
축시(01:30 ~ 03:30) - 천을귀인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미시(13:30 ~ 15:30)
술시(19:30 ~ 21:30)
을묘일 자시(23:30 ~ 01:30) - 천을귀인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유시(17:30 ~ 19:30)
병진일 인시(03:30 ~ 05: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 천을귀인
해시(21:30 ~ 23:30) - 천을귀인
정사일 축시(01:30 ~ 03:30)
진시(07:30 ~ 09:30)
오시(11:30 ~ 13:30)
미시(13:30 ~ 15: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 천을귀인
무오일 축시(01:30 ~ 03:30) - 천을귀인
묘시(05:30 ~ 07:30)
오시(11:30 ~ 13: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기미일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사시(09:30 ~ 11:30)
술시(19:30 ~ 21:30)
경신일 축시(01:30 ~ 03:30) - 천을귀인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신유일 자시(23:30 ~ 01:30)
인시(03:30 ~ 05:30) - 천을귀인
묘시(05:30 ~ 07:30)
오시(11:30 ~ 13:30) - 천을귀인
미시(13:30 ~ 15:30)
임술일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 천을귀인
유시(17:30 ~ 19:30)
해시(21:30 ~ 23:30)
계해일 진시(07:30 ~ 09:30)
오시(11:30 ~ 13: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택일 이야기(8) 귀인등천문시(贵人登天門時)

 

육임의 12천장의 천을귀인이 천문(天門)에 승하여, 모든 살을 없애고 매사에 이로움이 있는 시간입니다.

원래 육임의 방법인데 이를 간략하게 뽑아내어 보급형으로 여러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절기가 월의 지지가 바뀌는 절기와는 조금 다르니,

유의하시고 만세력의 절기 부분을 꼭 확인하시고 밑의 정리된 표에 따라 귀인등천문시를 찾으시면 됩니다.

 

 

24절기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일
우수~춘분 묘유 인술 축해 해축 유묘 술인 유묘 신진 미사 사미
춘분~곡우 인신 축유 자술 술자 신인 유축 신인 미묘 오진 진오
곡우~소만 축미 자신 해유 유해 미축 신자 미축 오인 사묘 묘사
소만~하지 자오 해미 술신 신술 오자 미해 오자 사축 진인 인진
하지~대서 해사 술오 유미 미유 사해 오술 사해 진자 묘축 축묘
대서~처서 술진 유사 신오 오신 진술 사유 진술 묘해 인자 자인
처서~추분 유묘 신진 미사 사미 묘유 진신 묘유 인술 축해 해축
추분~상강 신인 미묘 오진 진오 인신 묘미 인신 축유 자술 술자
상강~소설 미축 오인 사묘 묘사 축미 인오 축미 자신 해유 유해
소설~동지 오자 사축 진인 인진 자오 축사 자오 해미 술신 신술
동지~대한 사해 진자 묘축 축묘 해사 자진 해사 술오 유미 미유
대한~우수 진술 묘해 인자 자인 술진 해묘 술진 유사 신오 오신

 

 

 

 

택일 이야기(9) 귀곡자 구선합수추시법(鬼谷子 九仙合數推時法)

 

 

상길통서전집(象吉通书全集)에 15권에 나오는,

귀곡자구선합수추시법(鬼谷子九仙合數推時法)과 길선흉신합수입성(吉仙凶神合數立成)입니다.

 

이 택일법은, 귀곡자가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간(日干)과 일지(日支) 그리고 시지(時支)의 태현수(太玄數)를 구하여

모두 더한 값을 길선흉신합수입성(吉仙凶神合數立成)으로 해당 일과 시간에 따른 길흉(吉凶)을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윗 사람을 만날 때, 출행(出行)을 할 때,  이사를 할 때, 집을 짓거나 수리할 때 등에 사용하며, 백사대길(百事大吉)합니다.

 

 

 

간단하고 쉬운 택일법이지만.... 옛날에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노출되기를 꺼려하여 흉한 의미를 길한 의미로 교묘하게 바꾸는 일이 번잡하게 있어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택일법 이외 새롭고 낯선 택일법을 사용하실 때에는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위 스크린샷 두 가지 모두 수정본입니다.

 

이는 국내에서도 예외가 아니기에.... 한국의 대표택일서적인 천기대요 또한 올바른 내용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흉을 길로 바꿔 표기되어 있기도 하니 무작정 책에 있는 내용을 적용하지 말고 올바른 지식을 토대로 꼼꼼히 확인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참고로, 남녀나이에 따른 태현수

 


[ 귀곡자구선합수추시법(鬼谷子九仙合數推時法) ]

 

◎ 태현수(太玄數)


   갑(甲), 기 (己), 자(子), 오(午)  = 9 (九)
   을(乙), 경 (庚), 축(丑), 미(未)  = 8 (八)  
   병(丙), 신 (辛), 인(寅), 신(申)  = 7 (七)
   정(丁), 임 (壬), 묘(卯), 유(酉)  = 6 (六)
   무(戊), 계 (癸), 진(辰), 술(戌)  = 5 (五)
   사(巳), 해 (亥)                       = 4 (四)

 

 

◎ 길선흉신합수입성(吉仙凶神合數立成)


    13(十三) : 일광선길(日光仙吉)
    14(十四) : 일천신흉(日天神凶)
    15(十午) : 월광선길(月光仙吉)
    16(十六) : 금옥선길(金玉仙吉)
    17(十七) : 함문신흉(減門神凶)
    18(十八) : 덕천선길(德天仙吉)
    19(十九) : 천흉신흉(天凶申凶)
    20(二十) : 지흉신흉(地凶神凶)
    21(二十一) : 제국선길(祭國仙吉)
    22(二十二) : 지장신흉(地藏神凶)
    23(二十三) : 상문신흉(喪門神凶)
    24(二十四) : 역신선길(逆神吉)
    25(二十五) : 대선선길(大善仙吉)
    26(二十六) : 대길선길(大吉善吉)
    27(二十七) : 조객신흉(弔客神凶)

 

 

○ 간단정리

 

 일(日) 시진(時辰) 
갑자 갑오일 , , , , , 유시
경오 기축 경자 기미일 , , , , , , , 해시
을축 병자 갑신 을미 병오 갑인일 , , , , , 술시
신미 기묘 임오 경인 신축 기유 임자 경신일 , , , 유시
병인 갑술 정축 을유 무자 병신 갑진 정미 을묘 무오일 , , , 해시
기사 임신 경진 계미 신묘 기해 임인 경술 계축 신유일 , , , 술시
정묘 을해 무인 병술 정유 을사 무신 병진일 , , , , , 해시
계유 신사 임진 계묘 신해 임술일 , , , , 술 해시
무진 정해 무술 정사일 , , , , , 술시
계사 계해일 , , , , , , , 해시

            

 

○ 공망

 

공망은 길한 작용도 흉한 작용도 모두 제로가 되므로 시간을 정할 때에는 공망을 조심해야 합니다.

공망은 순중공망과 절로공망이 있는데 도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단, 흉한 시간이면서 공망이면 흉함이 사라지며, 길함도 흉함도 없습니다.

 

60갑자일 순중공망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술해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신유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오미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진사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인묘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자축

 

 

일천간(日天干) 절로공망
, 신유
, 오미
, 진사
, 인묘
, 자축

 

'기타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간단 다이어트 운동  (0) 2020.07.16
택방 이야기  (0) 2020.07.15
황정둔갑연신경(黄庭遁甲緣身經)  (0) 2020.07.13
법술수행(法術修行)의 3요소  (0) 2020.07.12
삼시구충(三尸九蟲)의 약점  (0) 2020.07.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