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종류의 금함옥경 기문둔갑
기문둔갑에 관심있는 분들중 금함옥경 기문둔갑을 아시는 분들은
대부분 '기문둔갑옥경' 서적의 4편 팔문둔갑에 소개되어 있는 일반적인 버전 1가지만 알고 계실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도장경 버전인 중화도장32권에 수록된 '황제태일팔문입식비결, 황제태일팔문역순생사결'과
태을수통종보감 10권에 수록된 태을신수 버전 2가지가 더 있습니다. ^^
특히 태을구성을 구하는 방식은 각 버전마다 조금씩 틀리지만,
가장 흥미로운건 태을신수 버전입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금함옥경과 홍연기문의 태을구성은 태을신수에서 나왔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태을구성이 양둔에는 간궁에서, 음둔에는 곤궁에서 태을이 시작하는 것을...
태을신수 버전에서는 '궁영차수 3 역행'으로 표현됩니다.
또한 일반적인 금함옥경 기문둔갑과 달리,
간단한 태을신수 포국반과 함께 쓰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태을구성 포국이 다르고
60갑자일로 고정된 방위길흉과 달리 운용의 미(美)가 있게 됩니다.
실제 운용법은...
태을신수로 천문을 관찰하고,
천지인 삼재가 3번 겹쳐 신령이 기탁하는 구궁 즉 지리의 태을구성과 팔문을 살핀 후...
객산 동(動)은 육임의 오부12신장법을, 주산 정(靜)은 육임의 황흑도법을 포국하여 인화를 구하여
최종행동을 결정합니다.
물론 부가적으로 순중공망, 절로공망, 오불우시의 흉한 시간을 제외해야 합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버전에는 없는 태을구성과 팔문 각각의 직사궁을 구할 수 있고...
일가기문이라는 한계를 넘어 년월일시반 모두 운용할 수 있게 됩니다. ^^
하지만 태을신수 버전은 태을구성이나 팔문을 국가의 길흉에 대해서만 해석을 제공하여
실제 현실에 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에...
다카시마 세이류 선생님과 하야시 코세이 선생님의 해석을 차용해 그 부분을 보완합니다.
여기까지 대략적인 틀을 소개해보았습니다.
고서를 연구하면 연구할수록 옛 성현분들께서 운용하셨던 것들이
현대에 이르러서는 잊혀져 실전된 부분들이 상당히 많이 발견됩니다.
머지않은 때에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이를 공개를 해볼 생각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기다려주세요...
이만 줄이겠습니다. ^^
'기타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연기문둔갑의 꽃 연길법(涓吉法) (0) | 2020.10.29 |
---|---|
맥박으로 가까운 미래의 위험을 예측하는 삼맥법 (0) | 2020.10.28 |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차크라 명상법 (0) | 2020.10.26 |
호조류 기문둔갑 년반의 음양둔은... (0) | 2020.10.25 |
개는 훌륭하다의 명언 (0) | 2020.10.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