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한 휴렌 박사에게 호오포노포노 강의 들을 때 적은 메모내용...
대청소를 하다가 2012년 3월 10일 라마다호텔에서 휴렌 박사에게 호오포노포노 강의를 들으며 정리한 메모를 발견했는데,
그냥 버리기보다는 카페에 남겨두면 필요한 분에게 전해지지 않을까 싶어 올립니다... ^^
본래 정리를 하여 각각 상세해설을 하려고 했는데, 요즘은 많이 바쁘기에 나중에 기회가 되면 해보겠습니다...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
문제와 어둠(어둠의 힘, 어둠의 세력) 등 부정적인 영향력과 사랑에 빠져라!
모든 문제는 내 안에 있다. 어둠이 내 안에 있는 것을 기억해라.
아이가 울 때 정화를 하면, 울음을 멈출 수도 있고 들리지 않을 수도 있다.
기대 = 차단! 기대하지 마라!
결과를 생각하지 마라. 정화하면 신성이 가장 좋은 적합한 결과를 만들어준다.
궁금한 질문 = 차단상태!
잔소리를 듣는다 = 내 안에 불평불만이 있다.
휴렌 박사도 가족관계를 매일 정화한다. 30년간 정화를 했지만, 기억이 계속 올라온다.
매일 같이 정화해도 또 막히고 또 한다.
모두 정화의 재료들...
우니히피리가 지쳤을 때, '하 호흡법'은 우니히피리에게 힘을 준다.
우니히피리도 잠을 잔다! 단 1초만 자도 사람이 수백만년 동안 자는 것과 같다.
사물에게 말걸고(정화할게 뭐니?) 정화하기.
휴렌 박사는 칼 800 비행기를 타면 음식을 많이 정화하는데,
비행기를 정화하는 이유는 추락하기 싫고 추락하길 원치 않아서이다.
아이스블루는, '신성한 사랑'을 의미한다.
아이스블루로 자신을 정화 후, 식물들에게 대화를 하고 아이스블루라고 하면서 만진다.
그러면 해당 식물이 나를 정화해준다. 휴렌 박사는 산책시 400그루의 나무에 인사하고 아이스블루한다.
식물이 나에게 치유를 해주는데, 식물마다 치유영역이 다르다.
아이스 블루는 어둠이 제거. 모든 원자 분자에게도 아이스블루!
휴렌 박사의 모자는 보호도구.
교재자체가 정화도구.
정화과정
① 어떤 정화도구를 사용할지 묻는다.
② 정화시작.
③ 우니히피리 돌보기.
④ 우니히피리 정화시작.
⑤ 디비니티에게 청하기.
내가 주변을 보고 정화를 하면, 주변의 문제가 사라진다.
12단계 5회 이상 읽은 뒤 우니히피리에게 물어본다.(5회인 이유는 잠재의식이 익숙해지기 위해서...)
12단계 간단하게 하는 방법은, 손으로 해당 페이지를 위에서 아래로 긋는다.(우니히피리의 OK사인 필요)
초간단 12단계하는 방법은, 마음속으로 "12단계"라고 생각하면 된다.(우니히피리의 OK사인 필요)
※ 위의 약식 12단계는 잘못하면 오해의 여지가 있을 수 있어 추가설명을 드립니다.
실제로 제가 해본바에 의하면, 이 부분은 12단계를 충분히 잠재의식 즉 우니히피리에게 각인이 될 정도로 오랜기간 행하고
우니히피리도 충분히 정화가 되었으며 왜곡없이 우니히피리의 허락까지 있었을 때 약식의 효과가 발현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아무리 해도 정석대로 행하는 12단계의 정화력을 얻을 수 없습니다.
심지어는 작동조차 하지 않을 수도 있고요. 그렇기에 이 부분은 제대로 오랜기간 정화를 행하신 분들이 도전해볼만하지
그렇지 않으신 분들은 정석대로 12단계를 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만약 도전해보려고 하시는 분들은 정화 테크닉을 통한 정화력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도록 단련된 섬세한 오감을 가져야하며
이 단련이 부족하신 분들은 좀 더 12단계를 통해 의식과 잠재의식을 갈고닦으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스페이스 빙 : 인터넷, 핸드폰, 전화, 전자기기를 통해오는 우주적 존재로 부정적인 영향력을 준다. 내가 아닌 존재.
휴렌 박사 강의 시간에 스페이스 빙 영향을 받은 사람이 있었다.
(스페이스 빙은 영적세상의 벌을 의미한다.)
상념, 생각 => 뇌에 영향 => 육체에 영향을 준다.
느껴지는 순간, 떠오르는 순간, 상념이 생길때 <정화한다>
초월의식 = 머리, 척추, 뇌
현재의식 = 상체
잠재의식 = 하체
'기타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고시대(太古時代)의 달력 복희력(伏羲曆) (0) | 2020.04.02 |
---|---|
부적에 대해 조금 다르게 생각해보면.... (0) | 2020.04.01 |
스승님에게 배운 최고의 비전 (0) | 2020.03.31 |
홍연기문둔갑과 태을십신(太乙十神) (0) | 2020.03.31 |
사주와 점성술 그리고 자미두수의 공통점 (0) | 2020.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