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

태고시대(太古時代)의 달력 복희력(伏羲曆)

by 예경 2020. 4. 2.

 

 

태고시대(太古時代)의 달력 복희력(伏羲曆)

 


과거에 올린적이 있는 내용이지만, 복희력만 따로 뽑아 한번 더 올려봅니다. ^^
http://cafe.daum.net/yeseowon/V96t/164

 

현재 2019년은 복희력으로 51477+2019=53496년입니다.

 

복희력의 매년 1월 1일은 동지일(冬至日)이며...
1년이 365일이면, 1~3월과 9~12월은 각 30일이고 4~8월은 각 31일씩 배정되며...
1년이 366일이면, 1~3월과 8~12월은 각 30일이고 4~9월은 각 31일씩 배정됩니다.

여기서 366일일 때의 9월은 윤월(閏月)이라고 표현합니다.

 

하루의 시작인 자시(子時)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23:30~01:30가 아닌, 야자시(夜子時, 23:00~01:00)를 사용합니다.

 

 

2019년 8월 12일 오늘을 복희력으로 바꾸면...

2018년 12월 22일이 동지일이고 오늘은 동지일부터 234일째 되는 날이므로,

복희력 53496년 8월 20일이 됩니다. ^^

 

복희씨가 잠룡씨에게 명하여 복희력을 제작한 복희8년에는 육십갑자라는게 없던 때지만 육십갑자년을 사용할 경우...

기원전 5347년 양력 1월 29일이 동지일이라고 하니 복희력 46130년 1월 1일로 갑인년 갑자월 계축일이 됩니다.

  

이때 월두법은...

갑기년 입춘 병인월, 을경년 입춘 무인월, 병신년 입춘 경인월, 임신년 입춘 임인월, 무계년 입춘 갑인월이 아니라

갑기년 동지 갑자월, 을경년 동지 병자월, 병신년 동지 무자월, 임신년 동지 경자월, 무계년 동지 임자월이 됩니다.

(이렇게 되면 월두법과 시두법이 동일해집니다.)

 

이 복희력을 사용할 경우,

황제력을 기초로 한 입춘기점 현대의 육십갑자력으로는 불가능

'갑자년 갑자월 갑자일 갑자시'를 조성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게 됩니다. ^^

(주자께서 240년마다 온다라고 하셨다는데 그건 아직 확인해보지 못했습니다.)

 

이렇게 지금은 한물간 달력이 현대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바로 밀전(密傳)으로 전해지는 역학이나 술법 등에 종종 쓰이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역학들은 모두 황제력을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일부러 바꾸면 안됩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고대 국가 별 달력의 1월 1일 기준일을 소개하며 이만 줄이겠습니다.

 

복희력 동지일 자월 1월 1일
황제력 입춘일 인월 1월 1일
전욱력 입동일 해월 1월 1일
   하력 입춘일 인월 1월 1일
   은력 소한일 축월 1월 1일
   주력 대설일 자월 1월 1일
   노력 소한일 축월 1월 1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