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

사독갑귀법(使獨甲鬼法) ~ 도깨비와 이보통령(耳報通靈)하여 교류하는 술법

by 예경 2020. 5. 20.

 

 

사독갑귀법(使獨甲鬼法) ~ 도깨비와 이보통령(耳報通靈)하여 교류하는 술법

 

 

사독갑귀법은, 기문둔갑장신법(奇門遁甲藏身法)과 그 번역본인 천부신서에 나오는 비법으로...

도깨비와 이보통령/교류하는 술법인데, 주로 도깨비를 부리는 술법이라고 표현합니다.

참고로, 독갑귀(獨甲鬼)는 도깨비의 한문명칭으로 독각귀(獨脚鬼)가 아닙니다.

 

사독갑귀법의 사(使)는 '부리다'로 본래 사전상에서는 '재주나 꾀 따위를 피우다'를 의미하지만...

현실에서는 대부분 '자신보다 낮은 상대에게 일 따위를 시키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서

도깨비를 하인처럼 부리고 시키는 비법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런게 아닙니다.

 

사독갑귀법을 한문 그대로 번역하자면, 도깨비와 함께 재주를 펼치는 법이 되고...

의역하자면, 도깨비와 이보통령/교류하는 법이 됩니다.

 

 

기문둔갑장신법에서는 하루면 되기에 다른 비법들보다 간단하다고 언급되어 있지만,

실제로 성공할 수 있는 사람은 매우 드뭅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생략된 부분들이 있습니다.

2. 현대에 맞게 수정되어야 할 부분들이 있습니다.

3. 실행할 수 있는 최소 권장사항을 만족하지 못해서 그렇습니다.

 

 

그러니 옛날에 이렇게 해서 되신 분이 계셨다라는 정도로 받아들이면서, 그냥 눈으로만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1. 미리 인월 인일 인시에 삼인검을 제작합니다.

2. 달이 없는 저녁에 길에서 흰돌을 취하고, 다듬잇돌 사이의 흙 1홉을 취합니다.

3. 살아있는 딱따구리를 잡아 피를 구하여 주사와 섞은 후, 오래된 깨진 키의 주둥이에 통갑부를 그립니다.

4. 저녁에 버드나무 숲을 향하여 통갑경을 3회 암송합니다.

5. 도깨비들이 오면 삼인검을 들고 아래와 같이 말합니다.

   "어떤 도깨비라도 만일 내 명령을 어긴다면, 의당 삼인검으로 치고 위로 하늘에 고하여 이 땅에서 없애리라!"

   "너희들중에서 영리한 도깨비는 나와라!"

6. 도깨비들이 모여 의논하여 영리한 도깨비가 무리에서 앞으로 나타나는 것이 영안으로 보입니다.

7. 도깨비의 이름을 묻고 붉은색 비단에 적은 뒤, 아래와 같이 말합니다.

   "나를 따르고 나를 지키며 절대 내 곁을 떠나지 마라!"

8. 그 도깨비가 "네"라고 대답을 하면 성공한 것이다.

9. 반해경을 암송하여 도깨비들이 원래 있어야할 곳으로 돌려보냅니다.

10. 도깨비를 부르려면 통갑경을 암송하고, 같이 작업을 한 후 돌려보내려면 반해경을 암송합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이런 방법 없이도 정말 도깨비와 인연이 있다면 얼마든지 다른 방법으로도 이보통령을 할 수 있으며...

지금 현대에도 도깨비와 이보통령하여 교류를 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