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엄주 5회 427구와 오방불 시스템....
능엄주는 총 427구로 이루어져 있는데 후대에 와서 밀교승들에 의해 이를 5회로 나누어,
금강정경을 중심으로 금강계만다라 오방불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능엄주의 각각의 단락과 요약내용 그리고 오방불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능엄주 1회(001~137)
귀경 부분으로, 모든 여래와 성중에게 귀의하고 찬탄하는 내용입니다.
이것은 금강왕주로, 동방 금강부(金剛部) 아촉불과 대원경지를 의미합니다.
2. 능엄주 2회(138~178)
권중과 신앙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것은 제천왕주로, 남방 보부(寶部) 보생불과 평등성지를 의미합니다.
3. 능엄주 3회(179~272)
신주의 성취공덕이 구체적으로 말씀하시는 내용입니다.
이것은 제불주로, 중앙 불부(佛部) 대일여래 비로자나불과 법계체성지를 의미합니다.
4. 능엄주 4회(273~332)
신주를 성취하고 공덕이 내증된 것에 대해 여러 성중에게 감사하되 그 본존인 대백산개불모에게 간절히 기도하는 내용입니다.
이것은 제보살주로, 서방 연화부(莲花部) 아미타불과 묘관찰지를 의미합니다.
5. 능엄주 5회(333~427)
회향 부분으로, 수행자를 괴롭히는 모든 악의 결박을 성취하여 이들을 제도함으로써 성역의 결계를 펼치는 내용입니다.
이것은 제귀신주로, 북방 갈마부(羯磨部) 불공성취불과 성소작지를 의미합니다.
자, 이제 금강계만다라 오방불 시스템이 다른 진언에서의 오방불과 함께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
오방불 |
오부 |
오대심주 |
능엄주 |
광명진언 |
대일여래 |
중앙 불부 |
츠토니 |
능엄주 3회(179구~272구) |
아모가 바이로차나 |
아촉여래 |
동방 금강부 |
아자라 |
능엄주 1회(001구~137구) |
마하무드라 |
보생여래 |
남방 보부 |
미리주 |
능엄주 2회(138구~178구) |
마니 |
아미타불 |
서방 연화부 |
보리다라예 |
능엄주 4회(273구~332구) |
파드마 |
불공성취불 |
북방 갈마부 |
닝제리 |
능엄주 5회(333구~427구) |
즈바라 프라바를타야 |
어떠신가요?
능엄주가 조금 다르게 다가오지 않나요?
다양한 체계를 공부하면 이렇게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라, 각강의 상황에 알맞게 이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기타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본 신도성령주(眞本 神蹈聖靈呪) (0) | 2020.05.28 |
---|---|
태을영부와 옥추령부의 구전비의(口傳秘意) (0) | 2020.05.27 |
지장경 독송할 때 허기지거나 하는 등의 현상이 있는데 무시해도 되는지요? (0) | 2020.05.24 |
죽음이나 각종 재난이 두렵다면.... (0) | 2020.05.23 |
문수보살님의 지혜로 음욕과 번뇌의 불을 끄는 진언 (0) | 2020.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