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해설문 보천가(步天歌)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수(宿)는 머무르며 묵는다는 의미로 달이 지구를 도는동안 공전주기, 즉 황도(黃道)를 일주(一周)하는 동안이 27.32일인데, 매일 매일 달이 황도를 지나면서 어느 별의 위치에 머무는가를 정해 놓은 별자리가 이십팔수이다. 달의 공전 주기의 순서는 동, 북, 서, 남으로 되어 있으며 동방에서는 청룡이 칠수를 거느리며, 북방에서는 현무가 7수를 거느리며, 서방에서는 백호가 7수를 거느리며, 남방에서는 주작이 칠수를 거느리는데, 별자리의 거리는 균등하지 아니하고 서로 다르다. 청룡, 백호, 현무, 주작이 거느리는 이십팔수 명칭은 아래와 같다.
청룡(靑龍)이 거느리는 동방 7수는 각, 항, 저, 방, 심, 미, 기(角亢氐房心尾箕)이며, 현무(玄武)가 거느리는 북방 7수는 두, 우, 여, 허,
위, 실, 벽(斗牛女虛危室壁)이다. 또한 백호(白虎)가 거는리는 서방 7수는 규, 루, 위, 묘, 필, 자, 삼(奎蔞胃昴畢觜參)이며, 주작(朱雀)이 거느리는 남방 7수는 정, 귀, 유, 성, 장, 익, 진(井鬼柳星張翼軫)이다.
◐ 제 1. 이십팔수 해설서 보천가(步天歌)에 관하여.
보천가(步天歌)의 보(步)는 추보(推步)의 뜻으로 하늘을 미루어 젠다는 의미를 지닌 서책의 이름이다. 이 책은 중국의 성좌, 성도, 위치를 7언시가로 배열한 성좌책이다.
보천가는 <구법보천가>와 <신법보천가>의 두 종류가 전해온다. 7언절구로 된 보천가에는 서문과 발문이 없고 저자표시도 없어, 처음 편찬한 사람을 정확히 알 수가 없다. 다만 당서예문지(唐書藝文志)에 "보천가의 편저자는 수(隋)의 단원자(丹元子) 왕희명(王希明)이다"라는 기록에 근거하여 수의 단원자 왕희명이라 알려져 왔다.
그러나 당서예문지(唐書藝文志)의 기록을 불신한 송대 정초(鄭樵)는 이름을 알 수 없는 단원자라고 주장하였다. 청대 전대명(錢大明)은 수(隋)의 단원자가 아니라 당(唐)의 왕희명임을 주장하였다.
<구법보천가>는 중국성좌를 이십팔수(二十八宿), 태미원(太微垣), 자미원(紫微垣), 천시원(天市垣), 천하기몰(天河起沒)로 분류하고, 각 성수(星宿)의 성도(星圖)와 그 별의 위치를 칠언(七言)의 시가(詩歌)로 배열한 성좌책이다.
중국의 성좌수나 성좌명은 시대에 따라 유동적이었다. 한대 이후 대체적으로 283성좌가 정해졌다. 이 수는 석신(石申), 감덕(甘德), 무함(巫咸)이 만든 3계열의 성좌를 토대로 만든 총성좌수이다.
<구법보천가> 를 중심으로 한 전후시대의 성좌분류법은 대체로 북극과 삼원이십팔수(三垣二十八宿)로 구성되었다. 구<법보천가>에서 성좌의 구성체계는 진서천문지(晋書天文志)와 동일한 체제로 북극(北極)을 천계의 중심에 놓아 이십팔숙(二十八宿), 태미원(太微垣), 자미원(紫微垣), 천시원(天市垣), 천하기몰(天河起沒)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머리는 동으로부터 시작하여 각(角)·항(亢)·저(氐)·방(房)·심(心)·미(尾)·기(箕)·의 칠수와, 다음으로는 북에서 시작되는 두(斗)·우(牛)·여(女)·허(虛)·위(危)·실(室)·벽(壁)·의 칠수와, 서쪽에서 시작 되는 규(奎)·루(婁)·위(胃)·앙()·필(畢)·자(觜)·참(參)의 칠수, 그리고 남쪽에서 시작되는 ·정(井)·귀(鬼)·류(柳)·성(星)·장(張)·익(翼)·진(軫)의 이십팔수로 이여지고 있다.
이십팔수의 총 별자리 수는 동방 236, 북방 356, 서방 357, 남방 432성의 별들이다. 이어 태미원, 자미원, 천시원과 천하기몰의 순서대로 각기 성좌도와 칠언시로서 설명하고 있다.
이후 세월이 지나면서 세차(歲差)와 별의 고유한 운동에 따라 별자리의 위치가 변하게 되고, 성좌수가 증가되기도 하여 보천가의 내용 수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청대에 들어와 서양천문학의 영향을 받으면서 남회인(南懷仁) 저작의 영대의상지(靈臺儀象志)의 성도도 삽입되었다.
조선에서는 이들을 반영하기 위해 송사천문지(宋史天文志) 및 남회인의 영대의상지를 저본(底本)으로 하고, 철종 13(1862)년 이준양(李俊養)이 연경실측신서(燕京實測新書)를 토대로 추리하고 실험해서 재편하였다. 이것이 <신법보천가>이다.
이는 <구법보천가>와 마찬가지로 성좌와 성수를 교묘하게 한자로 써넣어서 칠언의 시가로 부르게 한 것이다.
그러나 신법보천가(新法步天歌)는 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의 삼원을 먼저 기재하고 그 다음에 이십팔수의 순으로 수록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순서 변동이 아니라 송대 이후 삼원을 중시하였던 정치관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자미원을 처음에 위치하도록 한 것은 송대에 황제의 권력이 귀족관료를 압도하고 군림한 절대적 권위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보천가가 언제 우리나라에 전하여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에는 이미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세종년간 이순지(李純之)가 천문류초(天文類抄)를 편찬하면서 보천가의 성도와 가결을 참고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천문학(天文學) 과시(科試) 과목에 있어 필수의 서적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음양과 천문학을 지원한 자는 보천가에 있는 성좌명을 반드시 암송해야 했다.
◐ 제 2. 동방 청룡이 거느리는 칠수(七宿)에 관한 보천가.
1. 각수(角宿)의 보천가(步天歌)
兩紅南北正直著 中有平道上天田 總是黑星兩相連
양홍남북정직저 중유평도상천전 총시흑성양상련
두 개의 주홍색별이 남 북으로 바르고 곧게 배열되었는데, 그 가운데로 평도가 가로질렀고, 위로는 천전(天田)이 있으며, 천전과 평도의 별은 모두 검은색으로 둘씩 이어져 있네.
別有一烏名進賢 平道右畔獨淵然 最上三星周鼎形
별유일오명진현 평도우반독연연 최상삼성주정형
별도로 한 개의 까마귀색 별이 있어 진현(進賢)이라고 하는데, 평도(平道)의 오른쪽 끝에 홀로 있는 연못처럼 있고, 제일 위쪽에 세 개의 별은 주정(周鼎)이라는 별자리라네.
角下天門紅左平 雙雙橫於庫樓上
각하천문홍좌평 쌍쌍횡어고루상
각수 아래 주홍색의 천문(天門)이오 왼편에는 평(平)이 있는데, 각기 두 별씩 쌍을 이루며 고루(庫樓)의 가로방향으로 놓였네.
庫樓十紅屈曲明 樓中五柱十五星 三三相屬如鼎形
고루십홍굴곡명 루중오주십오성 삼삼상속여정형
고루는 열개의 주홍색별이 굴곡지며 밝게 빛나는 별자리이고, 굴곡이룬 고루 안쪽으로 다섯 개의 주(柱)는 모두 15개의 별로, 세별씩 붙어서 솥의 형상을 하고 있다네.
中有四赤別名衡 南門樓外兩星橫
중유사적별명형 남문루외양성횡
가운데 있는 네 별로 이루어진 별자리는 형(衡)이라고 하며, 남문(南門)은 고루의 밖에 가로방향으로 있는 두 개의 별이라네.
2. 항수(亢宿)의 보천가(步天歌)
四紅却似彎弓狀 大角一紅直上明
사홍갓사만궁상 대각일홍직상명
항(亢)은 네 개의 주홍색 별로 굽은 활모양과 흡사한 모습이고, 대각(大角)은 한 개의 주홍색 별로 항의 바로 위에 밝게 떠 있네.
折威七黑亢下橫 大角左右攝提星 三三赤立如鼎形
절흑칠흑항하횡 대각좌우섭제성 삼삼적립여정형
절위(折威)는 일곱 개의 검은색 별로 항의 아래에 비껴서 있고, 대각의 좌우에는 섭제(攝提)가 하나씩 있는데, 각기 세 개씩의 붉은색 별로 솥의 형상을 하고 있네.
折威下左頓頑星 兩箇斜安黃色精
절위하좌돈완성 양개사안황색정
절위의 아래 왼쪽에 있는 것이 돈완(頓頑)인데, 두 개의 진한 누런 색 별이 비스듬히 누운 형태라네.
頑下二星號陽門 色若頓頑直下蹲
완하이성호양문 색약돈완직하존
돈완의 아래에 두 개의 별을 양문(陽門)이라고 부르는데, 돈완과 같이 짙은 누런색으로, 마치 돈완의 바로 아래에 웅크리고 있는 모습이라네.
3. 저수(氐宿)의 보천가(步天歌)
四紅似斗側量米 天乳氐上黑一星 世人不識稱無名
사홍사두칙량미 천유저산흑일성 세인불식칭무명
네 개의 주홍 색 별이 말(斗)을 기울여 쌀의 분량 재는 형상이고, 천유(天乳)는 저의 위에 있는 한 개의 검은색 별로, 세상 사람이 존재를 깨닫지 못하여 이름 없는 것으로 알고 있네.
一赤招搖梗河上 梗河橫列三星狀
일적초요경하상 경하횡열삼성상
한 개의 붉은 색 별인 초요(招搖)는 경하(梗河)의 위에 있고, 경하는 세 개의 별이 가로로 빗겨있네.
帝席三黑河之西 亢池六黑近攝提
제석삼흑하지서 항지육흑근섭제
제석(帝席)은 세 개의 검은 색 별로 경하의 서쪽에 있고, 항지(亢池)는 여섯 개의 검은색 별로 섭제에 가까이 있네.
氐下衆星騎官赤 騎官之星二十七 三三相連十欠一
저하중성기관적 기관지성이십칠 삼삼상련십흠일
저의 아래에 여러 개의 붉은색별을 기관(騎官)이라 하니, 기관은 27개의 별로 이루어졌으며, 세 개씩 서로 이어진 것이 10무더기에서 하나가 모자라네.
陣車三黑氐下是 車騎三烏官下位
진거삼흑저하심 거기삼오광하위
진거(陣車)의 세 개의 검은 색(黑色) 별은 저의 아래에 있고, 거기(車騎)는 세 개의 진한 검은 색 별로 기관의 아래쪽에 있네.
天輻兩黃立陣傍 將軍陣裏振威霜
천폭양황입진방 장군진리진위상
천폭(天輻)은 두 개의 누런 색 별로 진거의 곁에 남북으로 있고, 기진장군(騎陣將軍)은 펼쳐져 있는 진(陣:기관 등)의 안쪽에 있으면서 서릿발 같은 위엄을 떨치고 있네.
4. 방수(房宿)의 보천가(步天歌)
四紅直下主明堂 鍵閉一黃斜向上
사홍직하주명당 건폐일황사향상
네 개의 주홍색별이 곧바로 아래로 향한 모습이 명당을 주관하며, 건폐(鍵閉)는 한 개의 누런색 별로 방의 위로 비스듬하게 있네.
鉤鈐兩赤近其旁 罪有三黃植鍵上
구검양적근기방 죄유삼황식건상
구검(鉤鈐)은 두 개의 붉은 색 별로 방의 곁에 근접해 있고, 세 개의 누런 색 별인 벌(罰)이 건폐의 위에 심어져 있다네.
兩咸夾罰似房狀 房下一烏號爲日 從官兩黃日下出
양함협벌사방상 방하일오호위일 종관양황일하출
동함과 서함이 벌을 사이에 끼고 마치 방(房)과 같은 형상으로 놓여있고, 방의 아래에 한 개의 검은색(烏色) 별을 일(日)이라고 부르며, 종관(從官)은 두 개의 누런 색 별로 일의 아래에서 떠오르는 모습이라네.
5. 심수(心宿)의 보천가(步天歌)
三星中央赤最深 下有積卒紅十二 三三相聚心下是
삼성중앙적최심 하유적졸홍십이 삼삼상취심하시
세 개의 붉은색 별로 된 심(心) 중에, 가운데 별이 가장 붉으며, 심의 아래에는 12개의 주홍색 별로 된 적졸(積卒)이 있는데, 세별씩 서로 모여서 심의 아래에 있는 것이 적졸 이라네.
6. 미수(尾宿)의 보천가(步天歌)
九赤如鉤蒼龍尾 下頭五赤號龜星
구적여구창룡미 하두오적호귀성
갈고리 모양의 아홉 개의 붉은색별이 미(尾)이며 창룡(蒼龍)의 꼬리이고, 미의 아랫머리에 다섯 개의 붉은색별이 귀(龜)라네.
尾上天江四紅是 尾東一赤名傅說
미상천강사홍시 미동일적명전설
미의 위에 네 개의 주홍색별이 천강(天江)이며, 미의 동쪽에 한 개의 붉은색별이 부열(傅說)이네.
傅說東紅一魚孑 龜西一赤是神宮 所以列在后妃中
전설동홍일어혈 구서일적시신궁 소이열재후비중
부열의 동쪽에 주홍색 별 하나가 외롭게 있는 것이 어(魚)이며, 귀의 서쪽에 한 개의 붉은색별이 신궁(神宮)이니, 후비(后妃: 여기서는 尾)의 가운데에 놓여 있게 된 것이라네.
7. 기수(箕宿)의 보천가(步天歌)
四紅其狀似簸箕 箕下三紅名木杵 箕前一黑是糠皮
사홍기상사파기 기하삼홍명목저 기전일흑시강피
네 개의 주홍 색 별로 마치 곡식을 까부르는 키(箕)의 형상이네, 기의 아래에 세 개의 주홍색 별은 목저(木杵):나무 절구공이)라고 하며, 기의 앞에 있는 한 개의 검은색(黑色) 별이 곡식을 까부르고 남은 껍데기인 강(糠)이라네.
◐ 제 3. 북방 현무가 거느리는 칠수(七宿)에 관한 보천가(步天歌).
1. 두수(斗宿)의 보천가(步天歌)
六紅其狀似北斗 魁上立紅三相對
육혹기상사북두 괴상립홍삼상대
여섯 개의 주홍색 별로 자미원에 있는 북두칠성과 흡사하고, 괴(魁) 위쪽에 있는 것은 립(立: 또는 建)인데, 세 개씩 이루어진 주홍색별로 서로 마주보고 있다네.
天弁立上三紅九 斗下圓紅十四星 雖然名鼈貫索形
천병립상삼홍구 두하원홍십사성 수연명별관색형
천변(天弁)은 립의 위에 세별씩 짝을 진 아홉 개의 주홍색별이고, 두의 아래에 14개의 주홍색별이 원을 이룬 것이 있는데, 이름 비록 자라이나 동아줄을 꿰어 놓은 것과 같은 형태라네.
天鷄立背雙黑星 天鑰柄前八黃精
천개립배쌍흑성 천약병전팔횡전
천계(天鷄)는 립의 뒤쪽(북쪽)에 두 개의 검은색별이고, 천약(天鑰)은 두의 자루 앞에 여덟 개의 짙은 누런색별이네.
狗國四烏鷄下生 天淵十黃鼈東邊
구국사오계하생 천연십황별동변
구국(狗國)은 네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로 천계의 아래에서 생겨나고, 천연(天淵)은 10개의 누런색별로 별(鼈)의 동쪽가에 있다네.
更黑兩狗斗魁前 農家丈黑狗下眠 天淵十黃狗色玄
갱흑양구두귀전 농가장흑구하면 천연십황구색현
또 두 개의 검은색별인 구(狗)가 두수의 괴(魁) 앞에 있고, 농가장(農家丈)의 검은색별은 구(狗)아래에 잠들었으며, 천연은 열 개의 누런색별이고, 구(狗)의 색은 검다네.
2. 우수(牛宿)의 보천가(步天歌)
六紅近在河岸頭 頭上雖然有兩角 腹下從來欠一脚
육홍근재하안두 두상수연유양각 복하종래흠일각
여섯 개의 주홍색 별로 은하수의 둔덕 가까이 있는데, 은하수 쪽으로는 두 개의 뿔(별)이 나있으나, 복부 아래로 내려오면 다리 하나가 없다네.
牛下九黑是天田 田下三三九坎連
우하구흑시천전 전하삼삼구감련
우의 아래로 아홉 개의 검은 별이 천전(天田)이고, 천전의 아래로 세 개씩 모여 총 아홉 개가 이어져 있는 것이 구감(九坎)이네.
牛上三紅號河鼓 鼓上三紅是織女
우상삼홍호하고 고상삼홍시직녀
우의 위로 세 개의 주홍색별을 하고(河鼓)라 하고, 하고(河鼓) 위에 세 개의 주홍색별을 직녀(織女)라 하네.
左旗右旗各九星 河鼓兩畔右紅明
좌기우기각구성 하고양반우홍면
좌기(左旗)와 우기(右旗)는 각기 아홉 개의 별로 이루어졌는데, 하고의 양쪽 변두리 우측으로 치우쳐서 주홍색으로 밝게 놓여있다네.
更有四黃名天桴 河鼓直下如連珠
갱유사황명천부 하고직하여연주
다시 네 개의 누런 색 별을 천부(天桴)라 하는데, 하고의 바로 아래에 구슬을 이어놓은 것처럼 있네.
羅堰三烏牛東居 漸臺四黑似口形 輦道東足連五丁
나언삼오우동거 점대사점사구형 연도동족연오정
나언(羅堰)은 세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별로 우의 동쪽(왼쪽)에 놓여있고, 점대(漸臺)는 네 개의 검은색별이 입구 자(口)와 비슷한 형태며, 점대의 동쪽의 발에 해당하는 곳에 다섯 개의 별이 ‘丁(정)’자 형으로 놓여 있는 것이 연도(輦道)라네.
輦道漸臺在何許 欲得見時近織女
연도점대재하허 욕득견시근직녀
연도와 점대의 두 별자리를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이를 보고자 한다면 직녀성의 근처를 살펴라.
3. 녀수(女宿)의 보천가(步天歌)
四紅如箕主嫁娶
사홍여기주가취
네 개의 주홍색별이 기(箕)와 같은 모습으로, 시집가고 장가가는 일을 주관하네.
十二諸國在下陳 先從越國向東論 東西兩周次二秦 雍州南下雙鴈門
십이제국재하진 선종월국향동론 동서양주차이진 옹주남하쌍안문
십이제국(十二諸國)이 그 아래에 벌려 있는데, 제일 앞에 있는 월(越)나라로부터 동쪽으로 얘기하자면, 동주(東周)와 서주(西周)의 두 별이 있고, 두 별로 된 진(秦)이 그 왼쪽에 있고, 옹주의 남쪽 아래로 쌍으로 된 안문(雁門:代國)이 있다네.
代國向西一晉伸 韓魏各一晉北輪 楚之一國魏西屯 楚城南畔獨燕軍 燕西一郡是齊隣
대국향서일진신 한위각일진북륜 초지일국위서둔 초성남반독연군 연서일군시재린
대국(代國)의 오른쪽으로 한 개로 된 진(晉)이 펼쳐졌고, 한(韓) 위(魏) 두나라 각기 한 개의 별로, 진(晉)나라의 바로 위에 수레바퀴처럼 있고, 초(楚)나라가 역시 한 개의 별로 위(魏)나라의 오른쪽에 진을 치고 있으며, 초나라 별(城)의 남쪽(아래쪽)으로는 연(燕)나라의 군사들만 있고, 연나라의 오른쪽에 있는 한 개의 별이 제(齊)나라이네.
齊北兩邑乃趙垠 欲知鄭在越下存 十六黃星細區分
재북양읍내조은 욕지정재월하존 십육황성세구분
제나라 북쪽(윗쪽)으로 있는 두 개의 별(邑)이 조(趙)나라이고, 정(鄭)나라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고자 하면 월(越)나라의 아래에 있으니, 이것이 16개의 누런 별을 세분해서 본 것이네.
五點離珠女上橫 敗瓜之上匏瓜生 兩星各五匏瓜明
오점리주여상행 폐과지상표과생 양성각오표과명
다섯 개의 별로 된 이주(離珠)은 여(女)의 위쪽으로 비스듬히 놓여있고, 패과(敗瓜)의 위에서 포과(匏瓜:박과 오이)가 생겨나며, 두 별자리(패과와 포과)가 각기 다섯 개의 별로 이루어졌는데, 포과(匏瓜)가 밝은 별이라네.
天津九赤彈弓形 兩星入牛河中橫
천진구적탄궁형 양성입우하중횡
천진(天津)은 아홉 개의 붉은 색 별이 활을 튕겨놓은 형태이고, 그 중 두 별은 우수(牛宿)의 영역에 들어가서 은하수 안에 횡으로 있다네.
四黃奚仲天津上 七烏仲側扶筐星
사왕해중천진상 칠오중칙부광성
네 개의 누런 별이 해중(奚仲)으로 천진(天津)의 위에 있고, 일곱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이 해중 옆에 있는 것이 부광(扶筐)이라네.
4. 허수(虛宿)의 보천가(步天歌)
上下各一如連珠 命祿危非虛上呈
상하각일여연주 명록위비허상정
위와 아래로 각기 한 개의 별이 구슬을 이은 것 같고, 사명(司命)·사록(司祿)·사위(司危)·사비(司非)의 네 별자리는 허의 위에 있다네.
虛危之下哭泣星 哭泣雙雙下壘城 天壘圓黃十三星
허위지하곡읍성 곡읍쌍쌍하루성 천루원황십삼성
허와 위(危)의 아래에 곡(哭)과 읍(泣)이 있는데, 곡과 읍이 쌍쌍으로 있는 아래에 천루성(天壘城)이 있고, 천루성은 누런 별 13개가 원을 그리고 있다네.
敗臼四星城下橫 臼西三點離瑜明
폐구사성성하횡 구서삼점리유명
패구(敗臼)의 네별은 천루성의 아래에 빗겨 놓여 있으며, 패구의 서쪽(오른쪽)에 세 개의 별로 이루어진 이유(離瑜)가 밝게 비추고 있다네.
5. 위수(危宿)의 보천가(步天歌)
三星不直舊先知
삼성불직구선지
세별이 곧지 않게(삼각형 모양)놓여 있는 것이 위수(危宿)라는 것을 옛날에 먼저 알았네.
危上五黑號人星 人畔三四杵臼形 人上七烏號車府 府上天鉤九黃精 鉤上五黑字造父
위상오흑호인성 인반삼사저구형 인상칠오호거부 부상천구구황정 구상오흑자조보
위(危)의 위쪽으로 검은 색(黑)의 다섯 개 별이 인성(人星)이고, 인성의 옆에 세 개의 별(내저)과 네 개의 별(臼:구)이 절구질하는 형태로 있으며, 인성 위에 일곱 개의 짙은 검은 색별을 거부(車府)라 부르고, 거부의 위에 아홉 개의 진한 누런색의 별이 천구(天鉤)이며, 천구의 위에 다섯 개의 검은 색(黑) 별이 조보(造父)라네.
危下四紅號墳墓 墓下四黃斜虛梁 十箇天錢梁下黃 墓傍兩星名蓋屋 身着黑依危畔宿
위하사홍호분묘 묘하사황사허량 십개천전량하황 묘반양성명개옥 신착흑의위반수
위의 아래쪽으로 네 개의 주홍색(紅) 별을 분묘(墳墓)라 하고, 분묘 아래 네 개의 누런 별이 비껴 있는 것이 허량(虛梁)이며, 열 개 누런 색 별로 이루어진 천전(天錢)은 허량의 아래에 있고, 분묘의 곁에 두 개의 별을 개옥(蓋屋)이라고 하는데, 검은 색 옷을 입고 위(危)의 옆에 잠들었네.
6. 실수(室宿)의 보천가(步天歌)
兩紅上有離宮出 遶室三雙共六星
양홍상유리궁출 요실삼쌍공육성
두 개의 주홍색 별 위로 리궁(離宮)이 나왔으니, 실을 둘러싸며 세 쌍을 이루어 모두 여섯 개의 별이네.
下頭六黑雷電形 壘壁陳次十二星 兩頭如升陳下分
하두육흑뇌전형 누벽진차십이성 양두여승진하분
실의 아랫머리 쪽 여섯 개의 검은색(黑色) 별이 뇌전(雷電)이고, 그 아래로 누벽진(壘壁陳)의 열두 개의 별이 놓여 있는데, 양쪽의 머리 모양이 되(升) 같은 것이 아래로 나뉘어 늘어졌네.
陳下分明羽林軍 四十五卒三爲群
진하분명우림군 사십오졸삼위군
누벽진 아래에 나뉘어 늘어진것이 분명 우림군(羽林軍)이니, 마흔 다섯 개 별(兵卒)이 셋씩 무리지어 있다네.
璧西西下最難論 字細歷歷着區分
벽서서하최란론 자세력력착구분
누벽진의 서쪽(오른쪽)의 아래가 제일 분간하기 어려우니, 자세히 살펴보아 구분해야 한다네.
三粒黃金名鈇鉞 一顆明珠北落門 門東八魁九黑子 門西一宿天綱是
삼립황금명부월 일과명주북락문 문동팔괴구흑자 문서일수천강시
세 개의 황금의 환 알 같은 별을 부월(鈇鉞)이라고 하고, 한 알의 명아주(明珠) 구슬 같은 별이 북락사문(北落師門)이며, 북락사문의 동쪽에는 아홉 개의 검은색별인 팔괴(八魁)가 있고, 북락사문의 서쪽에 있는 한 개의 별이 바로 천강(天綱)이라네.
電傍兩黑土公吏 騰蛇室上二十二
전방양흑토공리 등사실상이십이
뇌전(雷電) 곁에 두 개의 검은 색 별이 토공리(土公吏)이고, 등사(騰蛇)는 실(室)의 위에 스물두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네.
7. 벽수(壁宿)의 보천가(步天歌)
兩紅下頭是霹靂
양홍하두시벽력
두 개의 주홍색(紅色) 별인데, 그 아랫머리 쪽으로 있는 것이 벽력(霹靂)이라네.
霹靂五烏橫着行 雲雨次之口四方
벽력오오횡착행 운우차지구사방
벽력은 다섯 개의 짙은 검은 색(烏色) 별이 횡으로 가로질러 가는 모습이고, 운우(雲雨)는 그 밑에서 ‘입구(口)’자 모양으로 사방을 가리키네.
壁上天廐十圓黃 鈇鑕五烏羽林傍
벽상천구십원황 부질오오우림방
벽의 위에는 열 개의 누런색별인 천구(天廐)가 원형으로 있고, 다섯 개의 짙은 검은 색(烏色) 별인 부질(鈇鑕)은 우림군(羽林軍)의 왼쪽 옆에 놓여 있다네.
◐ 제 4. 서방 백호가 거느리는 칠수(七宿)에 관한 보천가.
1. 규수(奎宿)의 보천가(步天歌)
腰細頭尖似破鞋 一十六紅遶鞋生
요세두첨사파혜 일십육홍요혜생
허리부분이 가늘고 머리 부분이 뾰족한 해진 신발모양으로, 열여섯 개의 주홍색별이 신발의 형태로 둘러있네.
外屛七烏奎下橫 屛下七烏天溷明 司空左畔土之精
외병칠오규하횡 병하칠오천혼명 사공좌반토지정
외병(外屛)은 일곱 개의 짙은 검은색별로 규의 아래 가로 놓였고, 외병의 아래에는 일곱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인 천혼(天溷)이 밝히고 있으며, 천혼의 왼쪽 곁에 있는 사공(司空)은 흙의 정기(精氣)라네.
奎上一黑軍南門 河中六赤閣道形 附路一赤道傍明
규상일흑군남문 하중육적각도형 부로일적도방명
규의 위쪽(북쪽)으로 한 개의 검은색 별이 군남문(軍南門)이고, 은하수 가운데 있는 여섯 개의 붉은색(赤色)별이 각도(閣道)이며, 한 개의 붉은색별인 부로(附路)는 각도의 곁에서 밝히고 있네.
五紅吐花王良星 王良近上一策明
오홍토화왕랑성 왕랑근상일책명
주홍색의 꽃을 토해 놓은 것 같은 다섯 개 별이 왕랑(王良)이고, 왕랑의 바로 위에 있는 한 개의 별이 책(策)이라네.
2. 루수(婁宿)의 보천가(步天歌)
三紅不均近一頭 左梗右梗烏來婁
삼홍불균근일두 좌경우경오래루
세 개의 주홍색 별로 서로간의 거리가 균일하지 않고, 좌경(左梗)과 우경(右梗)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이 루를 양쪽에서 끼고 있다네.
天倉六赤婁下頭 天庾三烏倉東脚
천창육적루하두 천유삼오창동각
천창(天倉)의 여섯 개 적색 별은 루의 아랫머리에 놓여 있고, 천유(天庾)의 세 개 짙은 검은색 별은 천창 동쪽 다리 쪽이네.
婁上十一將軍侯
누상십일장군후
루의 위에는 열한개의 별로 이루어진 천장군(天將軍)이 살피네.
3. 위수(胃宿)의 보천가(步天歌)
三紅鼎足河之次 天廩胃下斜四星
삼홍정족하지차 천름위하사사성
세 개의 주홍색별이 솥 다리 형상을 하고 은하수의 밑에 있으며, 위의 아래에 네 개의 별이 빗겨져 놓인 것이 천름(天廩)이라네.
天囷十三如乙形 河中入赤名大陵
천균십삼여을형 하중입적명대릉
천균(天囷)은 열 세 개의 별이 ‘乙(을)’자의 형태로 있고, 은하수의 가운데에 놓여 있는 여덟 개의 붉은색별은 대릉(大陵)이라 한다네.
陵北九赤天船名 陵中積戶一黑星 積水船中一黑精
능북구적천선명 능중적호일흑성 적수선중일흑정
대릉의 북쪽에 아홉 개의 붉은색별을 천선(天船)이라 하고, 대릉의 가운데 있는 적시(積戶)는 한 개의 검은색(黑色) 별이며, 적수(積水)도 천선의 가운데에 한 개의 검은색(黑色) 정화(精華)로 되어 있다네.
4. 묘수(昴宿)의 보천가(步天歌)
七紅一聚實不少 阿西月東各一星
칠홍일취실불소 아서월동각일성
일곱 주홍색별이 마치 한 별처럼 모여 있으나, 실지로 적지 않고, 천아(天阿)는 묘수의 왼쪽에, 월(月)은 오른쪽에 있는데, 각기 한 개의 별로 되어 있다네.
月下五黃天陰明 陰下六烏蒭藁榮 營南十六天苑形
월하오황천음명 음하육오추고영 영남십육천원형
월의 아래에 다섯 개의 누런 색 밝은 별이 천음(天陰)이고, 천음의 아래에 여섯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이 추고(蒭藁)의 경작지(蒭藁榮)이며, 추고의 남쪽에 열여섯 개의 별이 천원(天苑)의 모습으로 있다네.
河裏六紅名卷舌 舌中一黑天讒星 礪石舌傍斜四丁
하리육홍명권설 설중일흑천참성 려석설방사사정
은하수 안의 여섯 개의 주홍색별을 권설(卷舌)이라 부르고, 권설의 가운데에 한 개의 검은색(黑色) 별이 천참(天讒)이며, 려석(礪石)은 권설의 옆에 빗겨서 놓여있는 네 개의 별인데 정(丁)자 형태로 있다네.
5. 필수(畢宿)의 보천가(步天歌)
恰似瓜叉入紅出 附耳畢股一星光 天街兩星畢眥傍
흡사과우입홍출 부이필고일성광 천가양성필자방
여덟 개의 주홍색 별로 흡사 오이의 갈래처럼 나와 있고, 부이(附耳)는 한 개의 별로 필의 끝에서 빛나며, 천가(天街)는 두개의 별로 필이 갈래지는 곳의 근처에 있다네.
天節耳下八烏幢 畢上橫黑六諸王
천절이하팔오당 필상횡흑육제왕
천절(天節)은 부이의 아래에 여덟 개의 검은색(烏色) 별로 휘장 치듯이 있고, 필 위로 빗겨서 여섯 개 검은 별로 이루어진 제왕(諸王)이 있네.
王下四皀天高星 節下黑團九州城
왕하사조천고성 절하흑단구주성
제왕의 아래에 있는 네 개의 검은색(皀色)별이 천고(天高)이고, 천절의 아래에 검은색(黑色) 원의 형태로 성(城)을 쌓은 것이 구주(九州:九州珠口)라네.
畢口斜對五車面 車有三柱任縱橫 車中五點天潢明 潢上咸池三黑星
필구사대오거면 거유삼주임종횡 거중오점천황명 황상함지삼흑성
필의 입 쪽으로 빗겨서 대면한 것이 오거(五車)이고, 오거에는 세 개의 주(柱:기둥)가 종횡으로 놓여 있으며, 오거의 안에 다섯 개의 점을 이룬 천황(天潢)이 밝고, 천황의 위에 세 개의 검은 색 별이 함지(咸池)라네.
天關一赤車脚邊 參旗九赤參車間
천관일적거각변 심기구적삼거간
천관(天關)은 한 개의 붉은 색 별로 되어 있는데, 오거의 다리 근처에 있고, 삼기(參旗)는 아홉 개의 붉은 색 별로 삼수(參宿)와 오거의 사이에 있네.
旗下直立九斿連 斿下十三烏天園 九斿天園參脚邊
기하직립구유련 유하십삼오천원 구유천원삼각변
삼기 아래로 직립한 것이 구유(九斿)로 아홉 개 별이 연이어있고, 구유의 아래에 열 세 개의 짙은 검은색별이 천원(天園)인데, 구유와 천원은 삼(參宿)의 다리 근처에 있다네.
6. 자수(觜宿)의 보천가(步天歌)
三紅相近作參蘂 觜上坐旗烏指天 尊卑之位九相連
삼홍상근작삼예 자상좌기오지천 존비지위구상련
세 개의 주홍색별이 서로 가까이 있어서 세 개의 꽃술을 만들고, 자의 위에 짙은 검은색(烏色)의 별로 된 좌기(坐旗 또는 座旗)가 하늘을 가리키니 위 아래로 아홉 개의 별이 연이어져 있네.
司怪四黑坐旗邊 曲立大近井鉞前
사괴사흑좌기변 곡립대근정월전
사괴(司怪)는 네 개의 검은색(烏色) 별로 좌기의 가에 있으며, 곡선을 그리며 서 있되 정수(井宿)와 무척 가까우며 열월(列鉞)의 앞쪽(남쪽)에 있다네.
7. 삼수(參宿)의 보천가(步天歌)
總有十星觜相侵
총유십성자상침
총 열 개의 별로 이루어진 삼(參)은 자수(觜宿)와 서로 영역을 침범하고 있다네.
兩肩雙足三爲心 伐有三星腹裏深
양견쌍족삼위심 벌유삼성복리심
삼은 두 어께와 두 다리가 있고, 두 다리 안에 있는 세 개의 별이 심장(心)이 되며, 벌(伐)의 세별은 배(腹) 안에 깊이 들어가 있다네.
玉井四紅右足陰 屛星兩赤井南襟 軍井四烏屛上吟
옥정사홍우족음 병성양적정남금 군정사오병상음
옥정(玉井)은 네 개의 주홍색 별로 오른쪽 다리를 감싸고 있고, 병(屛)은 두 개의 붉은색 별로 옥정의 남쪽에 있으며, 군정(軍井)은 네 개의 짙은 검은색 별로 병(屛)의 위에서 입을 다물고 있다네.
左足四赤天厠臨 厠下一赤天屎沈
좌족사적천칙림 칙하일적천시침
삼의 왼쪽 다리 쪽에는 네 개의 붉은 색 별로 이루어진 천측(天厠)이 임했고, 천측의 아래에는 한 개의 붉은 색 별로 된 천시(天屎)가 깊숙이 있다네.
◐ 제 5. 남방 주작이 거느리는 칠수(七宿)에 관한 보천가.
1. 정수(井宿)의 보천가(步天歌)
八紅橫列河中淨 一紅名鉞井邊安
팔홍횡렬하중정 일홍명월정변안
여덟 개의 주홍색별이 횡으로 두 줄의 열을 지으면서 은하수 속에 있는 것이 정(井)이고, 한 개의 주홍색별이 열월(列鉞: 鉞)인데, 정의 가장자리에 안정된 모습으로 있다네.
兩河各三南北正 天樽三烏井上頭 樽上橫列五諸侯
남하각삼남북정 천준삼오정상두 준상횡렬오제후
남하(南河)와 북하(北河)는 각기 세 개의 별로 되어 있으면서 남과 북으로 대치되어 있고, 천준(天樽)은 세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로 정의 윗머리 부분에 있으며, 천준의 위에 횡으로 열을 짓고 있는 것이 오제후(五諸侯)라네.
候上北河西積水 欲覓積薪東畔是
후상북하서적수 욕멱적신동반시
오제후의 위에 있는 것이 북하(北河)인데, 그 서쪽으로는 적수(積水)가 있고, 적신(積薪)은 북하의 동쪽 부근에서 엿보고 있다네.
鉞下四烏名水府 水位東邊四紅是
월하사오명수부 수위동변사홍시
열월의 아래에 네 개의 짙은 검은색별을 수부(水府)라 하고 수위(水位)는 동쪽변두리에 네 개의 주홍색별로 이루어져 있네.
四瀆橫黑南河裏 南河下頭是軍市 軍市圓紅十三星 中有一赤野鷄精
사독횡흑남하리 남하하두시군시 군시원홍십삼성 중유일적야계정
사독(四瀆)은 네 개의 검은색(黑色) 별로 남하의 안쪽에 횡으로 누워 있으며, 남하의 아랫머리에 있는 것이 군시(軍市)인데, 군시는 13개의 주홍색별이 원을 그리며 있고, 그 안에 한 개의 붉은색별인 야계(野鷄)가 그 정화(精華)를 보이고 있다네.
孫子丈人市下列 各立兩烏從東設
손자장인시하열 각립양오종동설
손(孫)과 자(子) 및 장인(丈人)은 군시 아래에 열을 짓고 있는데, 각 두 개의 짙은 검은색별이 동쪽을 따라 베풀어져 있다네.
關丘二黑南河動 丘下一狼蒙離茸
관구이흑남하동 구하일랑몽리용
관구(關丘)는 두 개의 검은색(黑色) 별로 남하의 동쪽에 있고, 관구의 아래에 한 개의 별로 되어 있는 랑(狼)이 어지럽게 빛을 발하고 있다네.
左畔九赤彎弧弓 一矢擬射頑狼胸
좌반구적만호궁 일시의사완랑흉
랑의 왼쪽 가에 아홉 개의 붉은 색 별이 활의 시위를 당기듯이 있는 것이 호(弧)인데, 한 개의 시(矢: 화살의 뜻을 지닌 별로, 마치 활(호)에 살을 멕인 것 같은 상태이다)를 완강한 랑(이리)의 가슴에 겨눈 것 같은 모습이라네.
有箇老人南極中 春秋出入壽無窮
유개노인남극중 춘추출입수무궁
한 개로 이루어진 노인(老人)이 남극의 가운데 있는데, 춘분과 추분에 출입하니 수명이 영원하네.
2. 귀수(鬼宿)의 보천가(步天歌)
四紅冊方似木樻 中央一白積戶氣
사홍책방사목궤 중앙일백적호기
네 개의 주홍 색 별이 정 방향으로 나무궤 짝처럼 있는 것이 귀(鬼)이고, 그 중앙의 한 개의 흰색 별로 되어 있는 것이 적시(積戶)라네.
鬼上四烏是爟位 天狗七烏鬼下是
귀상사오시관위 천구칠오귀하심
귀의 위로 네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이 관(爟)의 자리고, 천구(天狗)는 일곱 개의 짙은 검은색별로 귀의 아래에 있다네.
外廚天間柳星次 天社六黑弧東倚 社東一烏是天紀
외주천간류성차 천사육흑호동의 사동일오시천기
외주(外廚)는 류수(柳宿)의 밑에 천구(天狗)와 천기(天紀)의 사이에 있고, 천사(天社)는 여섯 개의 검은색(黑色) 별로 호(弧)의 동쪽(왼쪽)에 의지하고 있으며, 천사의 동쪽에 한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이 바로 천기(天紀)라네.
3. 류수(柳宿)의 보천가(步天歌)
八紅曲頭似垂柳
팔홍곡두사수류
여덟 개의 주홍 색 별이 머리를 구부리고 있는데, 마치 버드나무 가지가 땅을 향해 드리운 것과 같은 형상이라네.
柳上三烏號爲酒 享宴大酺五星守
류상삼오호위주 형안대포오성수
류의 위에 세 개의 짙은 검은색별을 주기(酒旗)라고 부르는데, 잔치를 크게 베푸는 일을 하고, 오성이 머무르는 곳이라네.
4. 성수(星宿)의 보천가(步天歌)
七紅如釣柳下生 星上十七軒轅形 軒轅東頭四內平
칠홍여조류하생 성상십칠헌원형 헌원동두사내평
일곱 개의 주홍 색 별이 낚시 바늘처럼 류수(柳宿)의 아래에서 있는 것이 성(星)인데, 성의 위에 열일곱 개로 되어 있는 별이 헌원(軒轅)이고, 헌원의 동쪽 위로 네 개의 별이 내평(內平)이네.
平下三黃名天相 相下稷星橫五靈
평하삼황명천상 상하직성회오령
내평의 아래에 세 개의 누런색별을 천상(天相)이라 하는데, 천상의 아래에 다섯 개의 별로 된 직(稷)이 가로로 신령스럽게 놓여 있다네.
5. 장수(張宿)의 보천가(步天歌)
六紅似軫在星旁
육홍사진재성방
여섯 개의 주홍 색 별이, 진수(軫宿)와 비슷한 형태로 성수(星宿)의 곁에 있는 것이 장(張)이라네.
張下只是有天廟 十四之星冊四方
장하지시유천묘 십사지성책사방
장의 아래에 있는 것은 천묘(天廟)인데, 열 네 개의 별이 사방으로 방책을 이루고 있다네.
長垣少微雖向上 星數歌在太微傍 太尊一星直上黃
장원소미수향상 성수가재태미방 태존일성직상황
장원(長垣)과 소미(少微)는 비록 장수의 바로 위에 있으나, 별자리 노래 할 때는 태미원(太微垣)에 속해 있는 것이고, 한 개 누런색 별로 되어 있는 태존(太尊)도 위에 있을 뿐이라네.
6. 익수(翼宿)의 보천가(步天歌)
二十二紅大難識 上五下五橫者行 中間六點恰如張
이십이홍대란식 상오하오횡자행 중간육점흡여장
스물두개의 주홍색별인 익은 찾기가 쉽지 않으니, 위로 다섯 개 아래로 다섯 개가 횡으로 놓여 있고, 중간의 여섯 개의 별은 장수(張宿)와 흡사 하다네.
更有六星在何許 三三相連張畔附
갱유육성재하허 삼삼상련장반부
다시 남은 여섯 개의 별은 어디에 있나, 셋씩 서로 이어져서 장수(張宿)의 곁에 붙어 있네.
必若不能分處所 更請向前看野取
필약불능장반부 갱청향전간야취
장수와의 나뉘어 진 곳을 찾지 못하겠거든, 반드시 다시 앞에(남쪽에) 있는 벌판을 봐서 찾게나.
五箇黑星翼下頭 要知名字是東甌
오개흑성익하두 요지명자시동구
다섯 개의 검은색(黑色) 별이 익의 아래에 머리를 두고 있으니, 요컨대 이 별의 이름이 동구(東甌)인 것을 알게나.
7. 진수(軫宿)의 보천가(步天歌)
四紅如張翼相近 中央一赤長沙子
사홍여작익상근 중앙일적장사자
네 개의 주홍색별이 장수(張宿)와 비슷한 모습으로 익수(翼宿)와 서로 가까운 것이 진(軫)인데, 중앙의 한 개 붉은 색(赤色)별이 장사(長沙子)라네.
左轄右轄附兩星 軍門兩黃近翼是
좌할우할부양성 군문양황근익시
좌할(左轄)과 우활(右轄)은 양쪽에 붙어 있고, 두 개의 누런 색 별인 군문(軍門)은 익수(翼宿)의 근처에 있네.
門下四黃土司空 門東七烏靑丘子
문하사황토사공 문동칠오청구자
군문의 아래에 네 개의 누런색별이 토사공(土司空)이고, 군문의 동쪽에 일곱 개의 짙은 검은색 별이 청구(靑丘)라네.
靑丘之下名器府 器府黑星三十二
청구지하명기부 기부흑성삼십이
청구의 아래에 있는 것을 기부(器府)라 이름 하는데, 기부는 검은색(黑色) 별 서른 두개로 되어 있네.
巳上便爲太微宮 黃道向上看取是
이상편위대미궁 황도향상간취시
이러한 별들의 위쪽은 태미원(太微垣)인데, 황도(黃道)가 위에 있어 이를 보고 구별하네.
출처 : 바로가기
'기타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독송수행법 (0) | 2020.07.23 |
---|---|
서유기의 등장인물과 단학수련 이야기 (0) | 2020.07.22 |
북두칠성(北斗七星)과 인체대응표(人體對應表) (0) | 2020.07.20 |
북두칠성주의 한가지 사용법.... (0) | 2020.07.19 |
북두칠성의 은휘(隱諱).... (0) | 2020.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