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독송수행법
이번에 소개하는 도덕경 독송수행법은은 아마도 많이 낯선 내용일 것입니다.
국내보단 중국에서 행하는 독송법이며....
일반적인 한자가 아닌 소전체(小篆体)로 된 도덕경을 한글자 한글자 보면서 독송하는 것입니다.
소전은 진(秦) 왕조 때(221~207 B.C) 통용되었던 문자로, 진전(秦篆)이라고도 부릅니다.
전국시대(475~221B.C)때의 중국에서는 각 제후들마다 서로 다른 모양의 문자를 쓰고 있었는데....
진나라의 진시황이 춘추전국 시대 때(770~476 B.C) 통용되었던 대전(大篆)을 기초로
표준자체를 만들도록 하여 문자를 통일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소전체입니다.
지금은 소전체나 대전체, 갑골문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법술이나 부적 등을 사용할 때 이러한 문체들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문체들을 사용하는 이유는,
첫째로 문파 부주의 원리를 숨기기 위한 것이기도 하고....
둘째로 이미 사용하지 않는 문체를 사용함으로써 주술적인 부분을 부곽시키는 것도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좀 더 자세하게 설명을 해보도록 해보겠습니다.
먼저 독송을 할 때의 자세는 쌍가부좌를 합니다.
수인은 태극인(太極印)을 맺는데, 위의 순서로 맺습니다.
태극인의 다른 이름은, 태극음양팔괘연환결(太極陰陽八卦連環結), 자오팔괘연환결(子午八卦連環結)입니다.
완성된 태극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함흉발배, 기침단전을 한 상태에서 소리가 단전에서 나오도록 독송을 하며....
한글자 한글자 눈으로 해당 소전체를 보고 한단어씩 천천히 읽습니다.
이 글자는 소전체로 도(道)를 의미합니다.
도덕경은 이 도(道) 한글자로 모든 것이 통합니다.
한자도 잘 모르는데 소전체라니....
도덕경 독송수행은 어찌해야하나 싶죠?
이제 최종적으로 정리해서 알려드립니다.
그냥 도덕경을 독송수행하고 싶다면....
편하게 반가부좌를 하고, 태극인을 맺고 독송을 하시면 됩니다.
참 쉽죠?
'기타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명규지의 태식결(胎息诀) ~ 태아의 숨쉬는 비결 (0) | 2020.07.25 |
---|---|
간단한 전신지압과 미용기공 (0) | 2020.07.24 |
서유기의 등장인물과 단학수련 이야기 (0) | 2020.07.22 |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해설문 보천가(步天歌) (0) | 2020.07.21 |
북두칠성(北斗七星)과 인체대응표(人體對應表) (0) | 2020.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