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

도교와 불교의 수행경지 비교

by 예경 2020. 8. 9.

 

 

 

도교와 불교의 수행경지 비교

 

 

관심 있는 분들은 별로 없겠지만 오랫만에 떠올라 적으니 참고삼아 보시기 바랍니다.

 

여동빈 신선을 비롯한 도교팔선, 포박자의 저자 갈홍의 할아버지인 갈현 등등의 분들은 지선(地仙)의 경지에 이르신 분들이며...

지선 분들중에서는 천선이 되어 천계에 가지 않고 지상에 남아있으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지선의 경지에 머무르면 지상에 한해서 왕과 같이 자유와 여유가 보장되는데,

천선이 되어 천계로 가면 말단이 되고 더 높으신 분들이 많이 계시기에 걸레질부터 시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즉, 군대로 비유하면 대령진급 후 연대장이 되어 왕처럼 군림하면서 연대가 있는 지역내에서는 자유 등이 보장되지만,

준장이 되어 사령부로 들어가게 되면 별들중 말단이라 그곳안에서 큰 대접을 받지 못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튼 별로 알려져있지 않은 여러 이야기들이 많이 있지만 그건 나중으로 미루도록 하고...

원제인 도교와 불교에서 말하는 수행경지를 서로 비교 해보겠습니다.

 

 

1. 수행입문 급수(級數)

(1) 9급
(2) 8급
(3) 7급
(4) 6급
(5) 5급
(6) 4급
(7) 3급
(8) 2급
(9) 1급

 

 

2. 입문단계를 지난 이후의 도교와 불교의 수행경지

 

도교 계제(階際) 삼선(三仙)
(1) 1계(一階) 인선(人仙)
(2) 2계(二階)
(3) 3계(三階)
(4) 4계(四階)
(5) 5계(五階) 지선(地仙)
(6) 6계(六階)
(7) 7계(七階)
(8) 8계(八階)
(9) 9계(九階)
(10) 10계(十階) 천선(天仙)

불교 성문사과(聲聞四果)
(1) 수다원과(須陀洹果)
(2) 사다함과(斯陀含果)
(3) 아나함과(阿那含果)
(4) 아라한과(阿羅漢果)

 

 

 

 

 

 

 

※ 도교의 10계 천선은 불교의 아라한과와 동일하며, 육체를 지닌 인간이 갈 수 있는 종착지로...

    죽음 이후, 인간으로 다시 태어날지 말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도교의 10계 천선/불교의 아라한과에 도달한 이후의 도교와 불교의 수행경지

 

도교 옥청경 9선(九仙)
(1) 지선(至仙)
(2) 영선(靈仙)
(3) 신선(神仙)
(4) 진선(眞仙)
(5) 천선(天仙)
(6) 현선(玄仙)
(7) 대선(大仙)
(8) 고선(高仙)
(9) 상선(上仙) 

 

도교 상청경 9진(九眞)
(1) 지진(至眞)
(2) 영진(靈眞)
(3) 신진(神眞)
(4) 진진(眞眞)
(5) 천진(天眞)
(6) 현진(玄眞)
(7) 태진(太眞)
(8) 고진(高眞)
(9) 상진(上眞)

 

도교 태청경 9성(九聖)
(1) 지성(至聖)
(2) 영성(靈聖)
(3) 신성(神聖)
(4) 진성(眞聖)
(5) 천성(天聖)
(6) 현성(玄聖)
(7) 태성(太聖)
(8) 고성(高聖)
(9) 상성(上聖)

 

불교 십지보살(十地菩薩)
(1) 1지(一地)
(2) 2지(二地)
(3) 3지(三地)
(4) 4지(四地)
(5) 5지(五地)
(6) 6지(六地)
(7) 7지(七地)
(8) 8지(八地)
(9) 9지(九地)
(10) 10지(十地)

 

※ 도교는 운급칠첨 3권 도교삼동종원(道教三洞宗元), 불교 화엄경 십지품(十地品)의 내용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