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비전정신수련법에 소개된 사시산(四時算)
예서원 간략해설 : 이정도의 내용은 인터넷에 많이 있는 내용이고 중고서적으로 책을 구입하시면 쉽게 볼 수 있는 내용인데, 제 전승과는 일부관계가 있지만 실제 사용과 적용에 있어서 상당히 다릅니다... 민족비전정신수련법에서는 우도에 해당하는 정신수련법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제 전승은 굳이 저것과 비교하자면 좌도방문에 해당됩니다. 이해하기 쉽게 제 전승의 사시산은 산법을 통한 택일계통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
사시산(四時算)
수리를 바탕으로 한 법산을 통해 자신의 심령을 밝히는 수련법이다. 타 산법과의 차이점은 정신집중을 통해 마음을 안정시키는 것이다. 계속되는 계산으로 정신이 맑아지도록 하고 총명지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사시산의 행산은 아홉가지로 이루어지는데 이오산(二五算), 사시산, 중화산, 동용산, 금선산, 환절산의 법산과 구령(九靈), 삼정(三精), 심경의 법문이다.
산대를 놓는 방법은 천횡백립, 즉 천 자리 수는 가로로 놓고, 백 자리 수는 세로로 놓는 것을 원칙으로 삼는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놓아 나가야 하며, 산대의 가로 줄과 세로 줄을 정확히 맞추어 나가며 계산해야한다.
아래는 그 한 예이다.
1234+5678=6912
사시산 행산의 처음은 원산법이다. 자신의 원산을 뽑아내는 것을 말하는데, 원산이란 산을 놓는 자신의 사주를 근간으로 하여 역수리인 선천수에 의거하여 도출해 낸 자기만의 고유수 같은 것이다.
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만세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사주를 뽑는다.
2. 사주의 각 간지의 선천수를 뽑는다.
3. 시간과 연지를 더한다.
4. 일간과 월지를 더한다.
5. 월간과 일지를 더한다.
6. 연간과 시지를 더한다.
3~6의 계산을 통해 나온 각 수치 중에서 10 이상은 버리고, 남은 수 가운데 1의 수는 시주 밑에, 2의 수는 일주 밑에, 3의 수는 월주 밑에, 4의 수는 연주 밑에 각각 배열한다. 원산을 뽑는 기본이 된다 하여 이렇게 배열된 네 수를 본산이라 정한다.
다음, 춘하추동의 사시산을 아래와 같이 산출한다.
1. 앞에서 산출된 본산이 동산으로서 연주 밑에 그것을 적는다.
2. 본산과 동산을 더해서 추산을 뽑아 월주 밑에 배열한다.
3. 본산과 추산을 더해서 하산을 뽑아 일주 밑에 배열한다.
4. 본산과 하산을 더해서 춘산을 뽑아 시주 밑에 배열한다.
이상의 추산을 통하여 원산, 주산, 객산이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원산: 춘산, 하산, 추산, 동산의 각 수치를 더한 총합.
추산: 실제 추산에 사용된 산목의 갯수.
객산: 실제 추산에 사용되지 않은 산목의 갯수.(따라서 원산에서 주산을 뺀 값)
이제, 앞에서 설명한 원산 산출법의 실례를 보기로 하자.
시주 일주 월주 년주 -> 사주
을(8) 기(9) 임(6) 계(5) -> 간(선천수)
묘(6) 묘(6) 술(5) 묘(5) -> 지(후천수)
4 4 2 1 -> 본산
춘 하 추 동
1 1 0 0
7 3 8 4
6 2 8 4
8 6 4 2
4 3 2 1
-> 원산 = 74
다음은 춘산, 하산, 추산, 동산의 총합인 원산을 산대로 놓은 것이다.
(그림설명: 1단위는 세로선 하나씩, 5단위는 세로선 위에 가로선 하나, 즉 7은 가로선 하나긋고 아래로 세로선 2개임)
1 1 0 0
(세로선 세로선 빈칸 빈칸)
7 3 8 4
(가로선1세로선2 세로선3 가로선1세로선3 세로선4)
6 2 8 4
(가로선1세로선1 세로선2 가로선1세로선3 세로선4)
8 6 4 2
(가로선1세로선3 가로선1세로선1 세로선4 세로선2)
4 3 2 1
(세로선4 세로선3 세로선2 세로선1)
따라서 원산의 추산에 실제 사용된 산목의 수는 50개이며, 이는 주산의 값이 된다. 따라서 객산은 원산 74에서 주산 50을 뺀 값인 24이다.
이제, 아홉 가지의 행산 과정을 하나하나 살펴보자. 간략하게 정리된 설명 부분은 각 산의 원칙을 정리한 것이며, 각 산 뒤에 붙은 가령장은 해당 산의 실례를 보여준다. 여기서는 원산이 85인 사람의 경우를 예로 들었다.
#1 이오산
1. 먼저 실위(2,400 + 원산)를 놓는다.
2. 실위를 4로 나누어 몫을 구한다.
3. 다시 실위로 몫을 나누면 이오(25)가 나온다.
따라서 공식 실위 / 4 / 실위 = 25가 성립한다.
가령장: 초치이사팔오하고 이사위영제지하되 치상어실위즉육이일이오야라. 반이이사팔오로 위영제지하되 치상어실위즉이오야라
#2 사시산
1. 25에 춘산을 곱한다.
2. 이것을 다시 4로 곱한다.
3. 위 2의 결과를 다시 4로 나눈다.
4. 위 3의 결과를 다시 춘산으로 나눈다.
5. 이때에 나온 나머지 숫자 앞에 몫 2를 놓고 다시 나머지를 춘산으로 나누어 나온 5를 2 다음에 놓으면 다시 이오(25)가 나온다.
가령장: 이이오로 위실하고 춘산이일구팔로 위영승지즉오사구오야라. 반이사로 승지즉이일구팔야라. 반이사로 위영음제지하되 치상어영위즉오사구오야라. 반치이어상수지수하고 여본위수이일구팔로 대호제지상수즉이일 영구구야라. 반치오어상수지수이차하영위하고 여본위수로 대호제지상수즉상여본위수하고 하여이오야라. 하추동산개차라
#3 중화산
1. 원산에 당일 일진 간지의 선천수를 더한다.
2. 여기에 일진 간지 선천수를 다시 곱한다.
3. 일진 간지 후천수 가운데 간을 10의 자리에 놓고 지를 1의 자리에 놓아 두 자리 숫자로 만든 다음, 이것을 2항의 결과에 다시 곱한다.
4. 위3의 결과를 다시 일지의 육기시로 나눈다.
5. 위4의 결과를 행년수(나이)로 나눈다.
6. 위5의 결과에 5를 곱하고 2로 나눈다.
7. 위6의 결과를 본위수(5항까지 나온 수)로 나눈다. 이때 나온 나머지 숫자 앞에 몫 2를 놓고, 다시 나머지를 춘산으로 나누어 나온 5를 2 다음에 놓으면 다시 이오(25)가 나온다.
가령장: 원장팔십오에 가령경신일즉가선천수경팔신칠하니 일백야라. 반이선천수경팔신칠합산십오로 위승즉 일천오백야라. 반이경구신구로 분작양위하야 위영승즉 일사팔오야라. 반이육기시신칠로 제지즉이일이일사이야오, 잔수육야라. 차법은 거육위이지고잔육은 거지하고 행년수칠십육위영제지하되 치상어실위즉이칠구이육오야오, 잔수육십은 거지라. 육위상에 반포육위지수하고 오로 승지즉 일사이팔오육오야오, 반이이로 위영제지하되 치상어실위즉칠구팔일육이야라. 반치이어상위지수하고, 여본위수이팔오칠일삼으로 대호제지상수즉 이일사이팔오육오야라. 반치오어상수지수이차하영위하고 여본위수로 대호제지상수즉 상여본위수하고 하여이오야라.
#4 동용산
1. 원산을 원산으로 곱한다.
2. 위 1의 결과에 주산을 곱한다.
3. 위 2의 결과를 주산으로 나눈다.
4. 위 3의 결과를 원산으로 나눈다.
가령장: 원산팔오로 위실하고 반이원산위영승지즉칠이이오야라. 반이규산오칠로 위영승지즉사일일팔이오야라. 반이규산오칠로 위영제지즉칠이이오야라. 반이원산팔오로 위영제지즉환위원산팔오야라.
#5 금선산
1. 춘산을 삼재지삼으로 나눈다. 이때 나머지는 별도로 놓는다.
2. 위 1의 결과에 음양지이를 곱한다.
3. 위 2의 결과에 삼재지삼을 1의 나머지로 나눈 수를 곱한다.
4. 위 1의 나머지 수를 3의 결과에 더한다.
5. 이상의 운산으로 다시 춘산을 얻는다. 하산, 추산, 동산도 이와 같이 한다.
가령장: 위춘산이일구팔로 위원하고 이삼재지삼으로 위영제지즉칠삼이야오, 잔수이야라. 삼영은 잔수하에 잉치지하고 이음양지이로 위영승지즉 일사육사야라. 이영에 여삼영으로 합위오하고 실퇴일위하여 여오로 대호정규차차승지즉이일구육야라. 입잔수이즉 이일구팔야라. 하추동산개방차라.
#6 환절산
1. 춘산 * 하산 / 춘산 = 하산
2. 하산 * 추산 / 하산 = 추산
3. 추산 * 동산 / 추산 = 동산
4. 동산 * 춘산 / 동산 = 춘산
가령장: 춘산위원하고 하산으로 승지하라. 반이춘산으로 제지절환위하산야 여방차라.
다음의 육기시, 선천수, 후천수 등은 추산에 사용되는 일종의 통계표들이다. 육기시에 나오는 '윤'은 곱한다는 뜻이다.
#7 육기시
일기자오수강령
이기축미오윤팔제
삼기인시단칠제
사기묘유오윤오제
오기진술단사제
육기사해오윤이제
#8 선천수
갑기자오구
을경축미팔
병신인신칠
정임묘유륙
무계진술오
사해사
#9 후천수
임자일
정사이
갑인삼
신유사
무진술오
계해륙
병오칠
을모팔
경신구
축밀십
기백
출처 : 민족비전정신수련법 http://cafe.naver.com/dirdyd/2000
'기타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증 삼찬비전 천기대요(天機大要) ~ 택일서적 (0) | 2020.09.27 |
---|---|
한국도교 고유의 사시산법(四時算法)에 대해서... (0) | 2020.09.26 |
사시산의 이오산 정화법(二五算 淨化法)... (0) | 2020.09.24 |
14대 달라이라마께서 법회중 다 함께 독송했던 입보리행론(入菩提行論) 내용... (0) | 2020.09.23 |
파드마 삼바바(Padmasambhava, 연화생대사蓮華生大師) 약식 구루요가 (0) | 2020.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