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

진본 고허법(眞本 孤虛法)

by 예경 2020. 4. 14.

 

 

진본 고허법(眞本 孤虛法)

 

 

고허의 방위를 단순한 이론으로 찾는 것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어느정도 실제 영향력을 발현하여 쓸 수 있도록

제 공부법에서 전해지는 정형화된 고허수행법으로, 이 앞에 해야하는 준비단계 수행법이 있긴 한데 그 부분은 생략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일반적인 방식 >

 

 

 

1. 연고허법으로 고가 위치한 방위를 찾습니다.

지지


2. 연고와 왕기가 겹치는 달을 찾아 앉을 방위를 확인합니다.
   단, 허가 왕기인 인월 미방, 사월 술방, 신월 축방, 해월 진방은 제외합니다.

월령

왕기

해자축

신유술

사오

인묘진

해자축

신유

사오미

인묘진

해자

신유술

사오미

인묘

월고

월허


3. 육갑고허일로 왕기 방위가 고인 날을 찾습니다.

육십갑자일

육십갑자일

갑자

갑오

을축

을미

병인

병신

정묘

정유

무진

무술

기사

기해

경오

경자

신미

신축

임신

임인

계유

계묘

갑술

갑진

을해

을사

병자

병오

정축

정미

무인

무신

기묘

기유

경진

경술

신사

신해

임오

임자

계미

계축

갑신

갑인

을유

을묘

병술

병진

정해

정사

무자

무오

기축

기미

경인

경신

신묘

신유

임진

임술

계사

계해


4. 시고허법으로 왕기 방위가 고인 시간을 찾습니다.

지지

 

5. 왕기에 따른 의복을 준비합니다.
   인오술월 화국 : 왕기 남(사오미)에 앉고 북(해자축)을 바라본다, 적색 주황색 의복
   묘미해월 목국 : 왕기 동(인묘진)에 앉고 서(신유술)를 바라본다, 녹색   남색 의복
   진신자월 수국 : 왕기 북(해자축)에 앉고 남(사오미)을 바라본다, 흑색   회색 의복
   사유축월 금국 : 왕기 서(신유술)에 앉고 동(인묘진)을 바라본다, 금색   백색 의복

 

6. 자신이 모시는 신명(神明)의 신상을 놓고, 제단을 차려 정성껏 공물을 올립니다.
   신상의 좌측은 고허삼성부(孤虛三星符), 우측은 고허사성부(孤虛四星符)를 배치합니다.

 

7. 왕기에 맞춘 의복을 입고, 팔대신주를 암송합니다.

 

8. 천간이 양(陽)인 갑병무경임의 날에는 고허삼성부를 왼손에 쥐고,
   천간이 음(陰)인 을정기신계의 날에는 고허사성부를 오른손에 쥡니다.

 

9. 고허주를 무수히 암송합니다.

   天寧寧 地寧寧 孤虛虛 神舉意 隨吾意 神不離 吾左右 急急如律令 勅攝
   천녕녕 지녕녕 고허허 신거의 수오의 신불리 오좌우 급급여율령 칙섭

 

10. 제단을 정리하고 종료합니다.

 

 

 


 

 

< 사주공망 약화법 >

 

1. 생년월일시 지지에 공망이 있는 경우 대운, 유년과 방합이나 삼합일 때 공망이 잠시 해소되는 년을 찾습니다.

사주공망

방합

해축

해자

묘진

인진

인묘

오미

사미

사오

유술

신술

신유

자축

삼합

신진

사유

오술

해미

신자

유축

인술

해묘

자진

사축

인오

묘미

 

2. 방합, 삼합에 해당하는 방위와 왕기가 겹치는 달을 찾아 앉을 방위를 확인합니다.
   단, 허가 왕기인 인월 미방, 사월 술방, 신월 축방, 해월 진방은 제외합니다.

월령

왕기

해자축

신유술

사오

인묘진

해자축

신유

사오미

인묘진

해자

신유술

사오미

인묘

 

3. 육갑고허일로 왕기 방위가 고인 날을 찾습니다.

육십갑자일

육십갑자일

갑자

갑오

을축

을미

병인

병신

정묘

정유

무진

무술

기사

기해

경오

경자

신미

신축

임신

임인

계유

계묘

갑술

갑진

을해

을사

병자

병오

정축

정미

무인

무신

기묘

기유

경진

경술

신사

신해

임오

임자

계미

계축

갑신

갑인

을유

을묘

병술

병진

정해

정사

무자

무오

기축

기미

경인

경신

신묘

신유

임진

임술

계사

계해


4. 시고허법으로 왕기 방위가 고인 시간을 찾습니다.

지지

 

5. 왕기에 따른 의복을 준비합니다.
   인오술월 화국 : 왕기 남(사오미)에 앉고 북(해자축)을 바라본다, 적색 주황색 의복
   묘미해월 목국 : 왕기 동(인묘진)에 앉고 서(신유술)를 바라본다, 녹색   남색 의복
   진신자월 수국 : 왕기 북(해자축)에 앉고 남(사오미)을 바라본다, 흑색   회색 의복
   사유축월 금국 : 왕기 서(신유술)에 앉고 동(인묘진)을 바라본다, 금색   백색 의복

 

6. 자신이 모시는 신명(神明)의 신상을 놓고, 제단을 차려 정성껏 공물을 올립니다.
   신상의 좌측은 고허삼성부(孤虛三星符), 우측은 고허사성부(孤虛四星符)를 배치합니다.

 

7. 왕기에 맞춘 의복을 입고, 팔대신주를 암송합니다.

 

8. 천간이 양(陽)인 갑병무경임의 날에는 고허삼성부를 왼손에 쥐고,
   천간이 음(陰)인 을정기신계의 날에는 고허사성부를 오른손에 쥡니다.

 

9. 고허주를 무수히 암송합니다.

   天寧寧 地寧寧 孤虛虛 神舉意 隨吾意 神不離 吾左右 急急如律令 勅攝
   천녕녕 지녕녕 고허허 신거의 수오의 신불리 오좌우 급급여율령 칙섭

 

10. 제단을 정리하고 종료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