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59

예불멸죄법(禮佛滅罪法) 예불멸죄법(禮佛滅罪法) 예서원 간략해설 : 당나라 삼장법사가 서역에 가서 모셔온 예불이라고 전해지지만 출전은 미상입니다. 이 법을 15년간 계속 행하면 원하는 것을 모두 얻게 되고, 또 이 예불멸죄법을 직접 써서 타인에게 주면 항하사 모래 같은 죄가 소멸되고, 공덕이 높아지고, 그 높이가 수미산 같고, 깊이는 대해수 같아서 일천중생을 모두 제도할 수 있다고 전해지며, 그로 인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된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얘기하면, 예불멸죄법은 자신의 업장을 소멸시키는 방법입니다. 날짜와 시간만 지키면 누구나 쉽게 행할 수 있는 멸죄법이므로, 꾸준히 행하시면 좋습니다. 참고로 날짜는 음력(陰曆)을 기준으로 합니다. 예서원 추가해설 : 국내에 알려진 예불멸죄법은 날짜는 맞지만 시간이 맞지 .. 2016. 12. 13.
능엄경 50변마장(楞嚴經五十辨魔章) 능엄경 50변마장(楞嚴經五十辨魔章) === 색음(色陰)의 열 가지 신통경계(神通境界)와 마(魔)의 장애 === 수행자가 도량에 앉아서 모든 생각을 없애어서 그 생각이 만약 다하면 그 생각을 여읜 경지에 일체가 정미롭고 밝아져서 동(動)에도 정(靜)에도 끌리지 않고, 생각함과 잊음이 한결 같아지면 이러한 경지에서 삼매(三昧)에 들게 되는 것인데, 그 때 마치 눈 밝은 사람이 큰 어둠 속에 있는 것과 같아서 정미로운 성품은 묘하고 청정하나 마음이 아직 빛을 내지 못하니 이것을 색음(色陰)의 구역이라고 한다. 만약 눈이 밝고 맑아 시방세계가 환하게 열리면서 다시는 어두워지거나 캄캄해지지 않을 것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색음이 다 없어졌다’고 한다. 이렇게 된 사람은 능히 겁탁(劫濁, 오탁의 하나로 감겁(減劫; .. 2016. 12. 13.
불교의 28천중 욕계6천에 대한 간략 설명 불교의 28천중 욕계6천에 대한 간략 설명 불교의 28천(天)은 사람으로서 수행자로서 믿기지 않을 정도로 너무나 광대한 세계관입니다. 불교신자도 이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은 내용이었지만.... 시간이 흘러 이 세계관을 인간의 의식상태로 표현을 하기 시작하면서 좀 더 친숙하게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은 세계관으로서, 28천중 사람과 가장 가까우면서 가장 밑에 있는 욕계6천에 대한 부분만 따로 뽑아 간략하게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재미삼아 올리는 것이니 가볍고 편한 마음으로 읽어주세요. 0. 수미산(須彌山) 해와 달보다 더 높이 있으면서 불교, 인도의 세계관에서 세계의 중심에 있다고 보는 거대한 산입니다. 세계의 최하단부인 풍륜(風輪)과 그 위에 수륜(水輪), 그 위에 금륜(金輪)이 있고, 그 위에 구산.. 2016. 12. 13.
십공양(十供养) 십공양(十供养) 온라인 상에서는 별로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지만 불교에는 십공양(十供养)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10가지의 공양물품인데요. 불교행사를 할 때에나 10가지 공양물을 다 쓰고, 그 외에는 부분부분적으로 사용합니다. 이러한 공양품들은 모두 부처님이나 보살님께 올리는 것이며.... 각 공양품마다 상징하는 의미들이 있어, 그 공양품을 올리면 해당 의미의 선업(善業)이 쌓인다고 합니다. 공양물을 올리기 전에 해당 진언을 소리내어 암송을 한 다음에 올리시면 됩니다. 또는 마음속으로 공양물을 떠올리고 진엄을 소리내어 암송하여 공양을 올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1. 향공양(香供養) - 상징의미 : 계향(戒香) 「心然五分 普遍十方 香煙童子悟眞常 鼻観妙難量 瑞靄祥光 文章来自 堪献法中王」 「심연오분 .. 2016. 12. 13.
고집멸도(苦集滅道) 고집멸도(苦集滅道) 고통은 번뇌(생각)이 쌓여가며 생긴다. 그것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은 오직 도(마음을 다스리는 것)밖에 없다. 2016. 12. 12.
불교 경전을 독송하는 방편을 자주 소개하는 이유 불교 경전을 독송하는 방편을 자주 소개하는 이유 예서원에서 펼치는 법술은 불교가 아닌 고대 도교전승의 법술들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불교의 경전에 대한 방편을 여러번 소개하는 이유는.... 다른 방편들보다 널리 알려졌고, 잘못될 가능성도 가장 적으며 정성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온라인이라는 불특정 다수의 분들을 접하게 되는 공간인 만큼.... 아무것도 모르시는 분들이 보고 행했을 때, 문제가 있을만한 여지가 없는 것을 소개해드리는게 도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소개해드리는 것이, 저에게 있어서 대가의 지불 없이 알려드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글들을 보더라도 많은 분들이 가볍게 보고 지나가시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사실 불특정 .. 2016. 12. 12.
누구나 정성만 들이면 할 수 있는 영가천도 방편을 소개합니다. [ 택일 ] 음력 매월 30일에 처음 시작합니다. 해당 존재가 천도되길 기원하며, 금강경을 5048회 독경을 합니다. (한글번역본도 한자본도 상관없습니다만, 한자본은 한글번역본에 비해 시간단축의 효과가 있습니다.) 5048이라는 숫자는 일장수(一臧數)라고도 하며, 경장 율장 논장 삼장(三藏)의 권수가 총 5048권이기에 여기에서 나온 숫자입니다. 불교에 대해 거부감이 없으시면서 수행에 대해 관심이 없으신 분들도 충분히 정성만 들인다면 자기자신이 하실 수 있는 방법이기에 소개드립니다. 조상천도는 물론이고, 왠만한 빙의천도도 가능할 것입니다. 시간과 정성만 있다면 초보자든 숙련자든 상관없이 누구나 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정성과 시간이 대단히 많이 필요한 것이니.... 돌아가신 부모님이나 조상님 또는 자녀들.. 2016. 12. 12.
부처님(佛)과 보살님(菩薩)의 차이 부처님(佛)과 보살님(菩薩)의 차이 * 제가 말씀드리는 내용은 수많은 불교의 경전들에도 나오는 것임을 미리 밝혀둡니다. 불교에 보면 여러 부처님과 보살님(菩薩)들이 계십니다. 부처님(佛)은 다른 말로 여래(如來)라고도 합니다. 먼저 부처님과 보살님의 공통점은, 공덕(功德)이 원만(圓滿)하시고 자비(慈悲)로우시다는 것입니다. 공덕이 원만해야 부처님이 될 수 있으며, 보살님은 이미 부처님이 되실 수 있을 만큼의 공덕이 원만하신 분입니다. 부처님과 보살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수많은 경전에서도 나오지만, 이미 서원을 이루었냐, 서원을 진행하고 있느냐의 차이가 있습니다. 즉, 부처님은 서원을 이미 이루신 분이고, 보살님은 서원을 아직 이루지 못하신 분입니다. 대표적인 보살님으로는 관세음보살님과 지장보살님이 계십니.. 2016. 12. 12.
염주이야기 ~ 불설작수주법상품(佛說作數珠法相品) 염주 만드는 방법 염주이야기 (1) 불설작수주법상품(佛說作數珠法相品) 염주 만드는 방법 이 내용은, 예서원에서 다라니집경(陀羅尼集經) 불설작수주법상품(佛說作數珠法相品)을 요약정리한 것입니다. 과거에는 염주알을 만드는 장인을 찾아 모시면서 했지만, 현대에는 그렇게 하지 않기에 그 부분은 제외시켰습니다. 1. 염주알 갯수 선택 108, 54, 42, 21개에서 선택한다. 2. 불교 수행법의 종류에 따른 염주알 선택 (1) 염불법 : 목환자 염주 (2) 진언법 : 금, 은, 적동, 수정 염주 (3) 보살주법(신주, 다라니) : 보리자 염주, 연화자 염주 (4) 화두금강법=오추사마명왕법=예적금강법 : 살색 염주 3. 준비물 종류에 따른 염주알 108 또는 54 또는 42 또는 21개, 모주(母珠)로 사용할 14K 또는 18K 금.. 2016. 12. 12.
광명진언(光明眞言) 광명진언光明眞言 (1) 소개 Oṃ amogha vairocana mahāmudrā maṇi padma jvala pravarttaya hūṃ 옴 아모가 바이로차나 마하무드라 마니 파드마즈바라 프라바를타야 훔 광명진언(光明眞言)은, 비로자나불대관정광진언(毗卢遮那佛大灌顶光眞言)의 줄임말 입니다. 광명진언의 출처는, 불공견색신변진언경(不空羂索神变真言经) 28권 관정진언성취품(灌顶眞言成就品), 비로자나불설금강정경광명진언의궤(毘卢遮那佛说金刚顶经光明眞言仪轨), 불공견색비로자나불대관정광명진언(不空羂索毘卢遮那佛大灌顶光明眞言), 광명진언비설(光明眞言秘説)입니다. 광명진언은 신라의 고승 원효대사께서 하신 수행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분들이 진언을 암송하고 있습니다. 원효대사께서 쓰신 ‘유심안락도’.. 2016. 12. 12.
퇴마폭행하는 무속인이나 스님, 목사 등의 종교인이 많을까요? 퇴마폭행하는 무속인이나 스님, 목사 등의 종교인이 많을까요? 제가 한국내의 모든 분들을 다 만나본 건 아니지만, 제가 만나본 분들에 한해서는 빙의처리시에 폭행을 하는 분은 단 한명도 없었습니다. 아마도 이 글을 보시는 분들중에서도 막말하고 찰지게 욕하는 분들은 봤어도 폭행하는 분은 거의 못만나 보셨을 것입니다. 물론 조폭 등을 끼고 있는 그런 분들도 계시긴 하지만, 그건 어느 직종에나 다 관련있는 사람들이 있기에 제외합니다. 여기서는 순수 퇴마폭행에 한해서 말씀드립니다. 퇴마폭행은 제 주변에서는 아무리 눈을 씻고 찾아봐도 접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아에 없는건 아닌지 종교를 막론하고 관련된 사건들이 매년 한두 차례씩 일어납니다. 아마도 그들은 전체의 1% 또는 그 이하의 극소수의 극단적인 사람들일 것이라.. 2016. 12. 11.
무당이란 단어는 현대에는 더이상 긍정적인 의미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무당이란 단어는 현대에는 더이상 긍정적인 의미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이미 2014년도에 저는 무당이라는 단어보다는 '무녀(巫女)'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현대에는 더 적합하다고 언급하였습니다. 국무 김금화님을 삶을 소재로 만든 영화 '만신' http://cafe.daum.net/yeseowon/SbZ2/159 하지만 검색노출의 한계로 인하여 반년후 어쩔 수 없이 무속인, 무당이라는 단어를 다시 사용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렇게 2년이라는 시간이 흘러 다시 언급할 기회가 왔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무당이라는 단어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번 '비선실세 최순실 게이트'는 무당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최대한 사람들의 마음을 불편하게 자극시키기 위해 여러 부정적인 프레임에 '무당'을 곁들여 사용한.. 2016. 12. 11.
점을 보러 갔는데, 몇년안에 당신이 죽는다고 얘기를 하는건 무슨 이유일까요? 점을 보러 갔는데, 몇년안에 당신이 죽는다고 얘기를 하는건 무슨 이유일까요? 많은 경우, 별다른 이유가 없습니다. 즉, 위협과 공포심을 유발하는 영업 퍼포먼스가 대부분입니다. 스스로 바르게 수행을 하면서, 영적인 일에 종사를 하는 분이 저런 얘기를 꺼낼리가 없습니다. 제가 왜 그렇게 단정 지어 말을 할까요? 정말 살인적으로 업이 두터워 살아있는 것 자체가 지옥인 사람에게 있어 죽음은 평온함 그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보통 이런 경우에는 죽을려고 해도 죽지 못하게 막는 힘이 있어 시도를 해도 어떤식으로든 살아있게 됩니다. 아무도 없는 곳에서 죽을려고 시도를 해도 왠일인지 우연찮게 지나가는 사람이 발견하여 119를 부르고 병원에 호송시킵니다. ....죽지 못해서 몇번 더 시도를 해도 죽기는 커녕 몸만 더 망가.. 2016. 12. 11.
무(巫)란 무엇일까요? 무(巫)란 무엇일까요? 인터넷이나 각종 서적들에 무에 대해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풀어내는데, 저는 조금 낯선 고대문자의 의미를 가지고 풀어보겠습니다. 먼저 제가 설명하려는 무(巫)에 대해 이해할려면, 무(舞)라는 글자와 함께 이 두 글자의 갑골문, 소전체를 봐야 합니다. 무(巫)의 갑골문은 천지사방이 하나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고.... 소전체의 경우 무(巫)는 위의 ㅡ는 하늘을, 아래의 ㅡ는 땅을, 人人은 사람과 사람을 의미하며, 마지막으로 ㅣ는 하늘과 땅이 통하여 연결된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무(舞)는 갑골문이나 소전체 모두 사람이 춤추는 형상을 의미합니다. 이 두 문자를 중국의 고(古) 곽말약 선생님은 동일한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중국의 저명한 과학자이자 문학가 겸 역사학자인 곽말약(郭沫若, 18.. 2016. 12. 11.
무속의 용왕신앙의 용알뜨기와 용왕먹이기 간단정리... ○ 용알뜨기 택일 : 음력 1월 상진일(上辰日), 음력 1월 15일 용알 : 1) 상진일의 용알(龍卵)은 우물이나 샘물을 뜰 때, 물에 보글보글 올라오는 물방울을 의미합니다. 2) 정월대보름의 용알은 우물이나 샘물에 보름달이 비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효능 : 개운, 운수대통, 무병장수 방법 : 이른 새벽 우물이나 샘 등으로 가서 물을 떠와서 마시거나 밥을 하는 등으로 사용합니다. 주의 : 다른사람이 먼저 왔을 때는 해당이 안되므로, 용알뜨기가 끝난 곳은 표시를 남겨둡니다. ○ 용왕먹이기 택일 : 음력 1월 상진일(上辰日), 음력 1월 15일, 음력 3월 3일, 음력12월30일 등 효능 : 개운, 흉액소멸, 무병장수 등 각종기원 방법 : 우물이나 샘, 강, 바다에 촛불을 밝히고 공양물을 진설한 다음 간절히.. 2016.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