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1253

달라이라마 성하께서 행하신 칼라차크라 관정(Kalachakra Initiations) 법회날짜와 지역 그리고 인원수 달라이라마 성하께서 행하신 칼라차크라 관정(Kalachakra Initiations) 법회날짜와 지역 그리고 인원수 역대 달라이라마중 불보살 분들을 친견하지 못한 달라이라마이지만... 역대 그 누구보다도 가장 많은 사람들을 만났으며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칼라차크라 관정을 해주신 분이 바로 14대 달라이라마 텐친가쵸님입니다. 하지만 선대 13분의 달라이라마께서는 제불보살을 친견하셨다고 말씀하시며... 총 14분의 달라이라마 중 유일하게 제불보살을 친견하지 못한분이 자신이라고 말씀하십니다. 하지만 제불보살을 친견하지는 못했지만 역대 달라이라마중 가장 많은 사람을 만나 말을 나누고 공유한 사람은 자신일거라고 하십니다... 이에 대해 근거는 2017년 중론의 주석 붓다빨리따 강의 4일차 34분50초 ~ 38분 .. 2017. 11. 30.
귀리와 현미 그리고 백미의 영양소 한눈에 보기 귀리와 현미 그리고 백미의 영양소 한눈에 보기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생동안 거의 백미를 주로 섭취하며 살아갑니다... 수많은 언론매체에서 백미는 영양가가 거의 없다고 얘기하는데 조금만 찾아 비교해보면 조금씩 조금씩 영양소 수치가 다르다는걸 발견하실 것입니다. 단순한 블로그&카페 등의 내용만으로는 뭐가 맞는지 헷갈릴 정도니 말 다했죠. 명확한 수치를 좋아하는 저로서는 부족함을 느껴 논문 같은 전문자료를 찾아봐야 하나 하다가 검색을 조금 더 해보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http://koreanfood.rda.go.kr)'이라는 참 좋은 곳을 발견했습니다! 이 사이트의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검색'을 보시면 누구나 쉽게 한눈에 모든 영양소를 확인해볼 수 있는데 꽤 잘만들어놨네요... .. 2017. 11. 29.
하버드 특강 마이클 샌델 교수의 '정의(Justice)' 제1~12강 하버드 특강 마이클 샌델 교수의 '정의(Justice)' 제1~12강 도덕에 대해, 올바르다는 것에 대해, 정의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고... 각자의 정신을 살찌우고 성장시키기 매우 좋은 강의라서 소개합니다. ^^ 시간이 되신다면 처음부터 끝까지 들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꼭 보세요! 하버드 특강 '정의' 제1강 벤담의 공리주의 https://youtu.be/ZLyu3tVQcCQ 하버드 특강 '정의' 제2강 공리주의의 문제점 https://youtu.be/_dp6PidrWWA 하버드 특강 '정의' 제3강 자유지상주의와 세금 https://youtu.be/HEW1yxzUu7k 하버드 특강 '정의' 제4강 존 로크와 자유지상주의 https://youtu.be/VTknsJ1Tsxo 하버드 특강 '정의' 제.. 2017. 11. 29.
총명해지고 싶어하는 분들을 위한 관성제군 개심총명신주(關聖帝君 開心聰明神呪) 총명해지고 싶어하는 분들을 위한 관성제군 개심총명신주(關聖帝君 開心聰明神呪) 삼국지의 관우는 도교에서 관성제군 또는 문형성제(文衡聖帝)라고 불리는 오문창제군(五文昌帝君)중 한분입니다. 참고로 오문창제군은 재동제군, 괴두성군, 주의제군, 부우제군 그리고 관성제군을 의미합니다. 관성제군의 뛰어난 문창의 위신력으로 개심총명신주가 세상에 등장했으니, 사람으로 하여금 이 신주를 꾸준히 암송하면 머리가 비상해지고 총명해집니다. 이 총명신주는 가히 불가의 구문지법과 견줄 수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임진왜란 이후 조선에 자리잡은 관성제군 신앙을 믿고 흠모하며 모시는 분들은 이것을 해보십시요! 필요하신 분들에게 전해지길 기원합니다... 관성제군 개심총명신주(關聖帝君 開心聰明神呪) 天之玄精 地之玄精 神之玄精 鬼之玄精 .. 2017. 10. 7.
옥황상제를 한국에서는 가장 높은 신으로 말하지만 이분께 제례를 지내는 분은 아직까지 못봤습니다... 옥황상제를 한국에서는 가장 높은 신으로 말하지만 이분께 제례를 지내는 분은 아직까지 못봤습니다... 옥황상제와 천상의 선녀들의 목욕터 옥녀봉들... 옥황상제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이었다고 전해지는 전북 무주 덕유산에 있는 상제루(上帝樓), 옥황상제가 한라산 봉우리를 뽑아 집어던져 만들어졌다고 전해지는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에 있는 산방산, 한라산에서 뽑힌 부분이 백록담이라고 전해집니다. 기타 등등 이렇게 한국 곳곳에는 옥황상제의 전설들이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그리고 민간에서도 무속에서도 도가에서도 옥황상제를 최고의 신으로 보고 있고요... 그런데 저는 아직까지 옥황상제께 제례를 올린다는 분을 한번도 뵙지 못했습니다. 그렇게 대단한 분이고 천상의 권력의 정점이라고 알려진 최고의 천신께 제례를 지내는 사람이 .. 2017. 10. 6.
밀종수행 삼맥칠륜 기맥수지법(氣脈修持法) 밀종수행 삼맥칠륜 기맥수지법(氣脈修持法) 불교밀종에서 전해지는 삼맥칠륜 기맥수지법중 한가지입니다... 제게 '비전 연화정공'을 배우신 분들은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너무나 잘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한국에는 어떻게 잘못 알려져서 전해지고 있는지도 제게 들어 아실 것이고요. 아직도 한국에서는 짜맞추기식 아류해석으로 제대로 풀어내지 못하는 부분을... 중국이나 대만에서는 제대로 된 공부의 인연만 있다면, 그리 어렵지 않게 제대로 풀어낸 내용으로 배울 수 있습니다. 물론, 중국대만에서 배운다고 다 아는게 아니라 그 연결고리를 찾아내야 비로서 모든게 하나로 연결됩니다. 그 편린을 일부 소개하니 인연이 있으신 분들은 연구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2017. 9. 22.
관음보살 성탄일 약식의궤(觀音菩薩 聖誕日 略式儀軌) 관음보살 성탄일 약식의궤(觀音菩薩 聖誕日 略式儀軌) 예서원 간략해설 : 중국, 대만 등지에서 전해지는 수많은 판본들중 하나로, 음력 2월 19일 관음성탄일에 독송하는 약식의궤입니다. 또 음력 6월 19일 관음성도일, 음력 9월 19일 관음출가일에도 이 의궤를 사용해도 됩니다. ^^ 1. 찬(赞) 菩萨号圆通 降生七宝林中 千手千眼妙真容 端坐普陀宫 楊枊枝头甘露洒 普滋法界薰蒙 千层浪头显神通 光降道场中 보살호원통 강생칠보림중 천수천안묘진용 단좌보타궁 양앙지두감로쇄 보자법계훈몽 천층랑두현신통 광강도장중 2. 게(偈) 观音菩萨妙难酬 清净庄严累劫修 三十二应周尘刹 百千万劫化阎浮 瓶中甘露常遍洒 手内杨枝不计秋 千处祈求千处应 苦海常作度人舟 南无普陀山琉璃世界大慈大悲观世音菩萨 관음보살묘난수 청정장엄루겁수 삼십이응주진찰 백천만겁화.. 2017. 9. 21.
운이 좋아지면 뭐가 좋은가요? 운이 좋아지면 뭐가 좋은가요? 운이 좋아지면, 자신의 삶속에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들이 많이 생깁니다. 많은 경우 무언가를 하여 성공하려면, 노력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겠지만 사실 그것보다 더 우선되는 것이 바로 선택입니다. 회사에서 사장과 직원이 하는 일을 잘 생각해보십시요... 사장이라는 자리는 무언가 "선택"을 해야하는 자리입니다. 그 선택 하나가 회사를 살리고 죽입니다... 직원은 선택이 아니라 "노력"을 해야하는 자리입니다. 선택이 아무리 좋아도 직원의 노력이 없으면 회사는 망합니다. 직원이 정말 기가막힌 제안서를 가져왔을 때 사장은 전망과 자금 등등 여러 환경들을 토대로 판단해야 하는데... 대기업의 연줄과 자금력은 되어야 성공가능한 아이디어를 직원이 가져왔다면 우회하거나 포기.. 2017. 9. 19.
팔리문 원판 불교진언(巴利文 原版 佛敎眞言) 팔리문 원판 불교진언(巴利文 原版 佛敎眞言) 1. 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 Om ram 2. 문수보살호신주(文殊菩薩護身呪) Om chrum 3. 대륜일자주(大輪一字呪) Om bhrum 4. 육자대명주(六字大明呪) Om mani padme hum 5. 준제다라니(準提陀羅尼, Cunda-dharani) Namah saptanam samyak-sambuddha kotinam Tadyatha om cale cule Cunde svaha 6. 약사관정진언(藥師灌頂眞言) Namo Bhagavate Bhaisajya-guru-vaidurya-prabha-rajaya Tathagataya Arhate Samyak-sambuddhaya Tadyatha om bhaisajye bhaisajye Bhaisajya-samudg.. 2017. 9. 18.
칠구지(七俱胝)의 정확한 숫자단위는 무엇일까요? 칠천만 vs 칠억 칠구지(七俱胝)의 정확한 숫자단위는 무엇일까요? 칠천만 vs 칠억 한국에서 준제관음과 관련된 글들에 보면 칠구지(七俱胝)라는 단어를 크게 2가지로 나누어 해석합니다. 1. 칠천만 2. 칠억 그런데 여기서 무엇이 맞을까요? 실제 인터넷 검색을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칠구지를 대부분 칠억이라고 해석합니다! 그럼 진짜 칠구지가 칠억인지 확인해봐야겠죠? 이거 확인해보신분 계신가요? 준제관음을 말씀하시는 분들중에 대부분 수리에 한해서 "거짓"을 말씀하고 계시고 있습니다. 실제 칠구지는, 칠천만을 의미합니다! 저는 왜 사람들과 다른 얘기를 할까요? 불교적인 지식이 없으신 분들은 이제 혼란에 가까운 상태가 되실 것입니다... 누구의 말이 맞는지를 알수가 없으니까요. 이제 불교의 숫자단위에 대해 소개를 해보겠습니다. 불교.. 2017. 9.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