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1253

주역64괘와 원회운세 시간... 주역64괘와 원회운세 시간... 지금 현재기간을 기준으로 황극경세서의 원회운세에 따른 주역64괘 시간을 공개합니다. 주역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이것을 연구해보시고, 다른 분들은 그냥 구경삼아 보시면 되며... 앞에 글을 대충 보신 다음에 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http://cafe.daum.net/yeseowon/UUSf/434 ○ 1회 10,800년 경오회 택풍대과 ○ 1운 360년 택풍대과 초효동 택천쾌 : 기원전57~서기303년 택풍대과 2효동 택산함 : 304년~663년 택풍대과 3효동 택수곤 : 664년~1023년 택풍대과 4효동 수풍정 : 1024년~1383년 택풍대과 5효동 뇌풍항 : 1384년~1743년 택풍대과 상효동 천풍구 : 1744년~2103년 ○ 2세 60년 천풍구 초효동 건위천 :.. 2017. 12. 10.
힌두교의 가야트리 만트라(Gayatri Mantra)로 인체 내부센터를 활성화시키는 비법 힌두교의 가야트리 만트라(Gayatri Mantra)로 인체 내부센터를 활성화시키는 비법 가야트리 여신은 브라흐마의 아내중 한분이고, 힌두교의 학문과 지식의 여신이며... 모든 베다의 어머니, 브라만이 인격화된 여신이라고도 봅니다. 이 가야트리 만트라는 힌두교의 만트라이지만,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도 염송을 하셨다라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수많은 힌두교인들이 즐겨 염송하고 서양의 수행자들도 많이 염송하는 유명한 만트라입니다. 제가 이번에 공개하는 것은 가야트리 만트라를 통해 인체의 내부 에너지센터를 정화하고 활성화시키는 비법입니다. 가야트리 만트라는 그냥 소리내어 수십만편 염송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저는 인체내부의 에너지센터를 활성화시키는 것까지 알아야 가야트리 만트라를 수행으로서 온전하게 실천할 수.. 2017. 12. 8.
자신의 띠에 따른 개운방위와 의상소개... 자신의 띠에 따른 개운방위와 의상소개... 자신의 띠로 알아보는 개운방위와 개운의상입니다. 방위는 고정되어 있어 추천드리긴 어렵고, 의상은 한국에서 사회인들이 멋있게 맞추기가 어렵지 않나 싶긴한데 참고삼아 소개해봅니다. 옷입는 센스가 좋으신 분들은 이정도의 정보만으로도 독특하고 패셔너블하게 입고다닐 수 있을 것입니다. 1. 자(子) 쥐띠 방위 : 서, 서북, 동북 의상 : 황색의복, 옥장식 2. 축(丑) 소띠 방위 : 북, 서, 동남 의상 : 흑남색이 섞인 홍색의복, 수정장식 3. 인(寅) 호랑이띠 방위 : 남, 서북, 동북 의상 : 흑남색의복, 수정장식, 황옥장식 4. 묘(卯) 토끼띠 방위 : 서북, 서남 의상 : 홍색의복, 황색의복, 황수정장식 5. 진(辰) 용띠 방위 : 남 의상 : 금색과 은색 그.. 2017. 12. 7.
풍수, 기문, 육임, 기학, 사주 등 고유이론이 있는 모든 술수학들은 모두... 풍수, 기문, 육임, 기학, 사주 등 고유이론이 있는 모든 술수학들은 모두... 수행자들이 하늘에서 내려받아 가르침을 받았거나,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간단하게 이론화 시킨 것들입니다. 이것이 바로 현대에도 전해지는 사주, 풍수, 점술 등이고 수행력과 지식력을 함께 연동시킨 것들이죠. 다르게는 수행을 통해 얻은 지혜와 지식을 함께 운용하는 방법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술수학이라고 불리는 것과 사주 풍수 점술 등은... 수행력 10을 활용하여 했던 것을 수행력3 지능7 또는 5:5 등의 비율로 작동하게 만든 도구, 트리거 같은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대에 작동안한다고 말해지는 그런 비법들은 기초밸런스(3:7)이 아니라 수행력이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들에 해당됩니다. 그래서 시간.. 2017. 12. 6.
대붕금시조 가루라진언(大鵬金翅鳥 迦樓羅眞言) 대붕금시조 가루라진언(大鵬金翅鳥 迦樓羅眞言) 과거에 올린 변정천 진언법하고 관계가 깊으니 미리 읽어보세요. http://cafe.daum.net/yeseowon/UTln/101 가루라의 수인은 보시는바와 같이 변정천 진언법의 처음부분과 똑같으며... 가루라심주(迦樓羅心咒)는 아래와 같습니다. (1) 唵 迦悉波 娑婆訶 옴 가시보 사바하 (2) 唵 別炸 迦樓羅 炸咧 炸咧 吽 呸 옴 볘자 가루다 자례 자례 훔 페이 수인을 맺고 둘중 하나의 진언을 꾸준히 염송하시면 됩니다. ^^ (참고로 1번은 호마법을 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2017. 12. 5.
미래도 희망도 없는 청년 니트족은 사회문제'만'이 원인일까요? 미래도 희망도 없는 청년 니트족은 사회문제'만'이 원인일까요? http://v.media.daum.net/v/20171021090029484?rcmd=rn 사회문제가 상당히 큰 영향력을 주는건 분명한 사실이지만, 그 사람의 사주와 업장, 액운 그리고 지금 이순간의 운기의 흐름도 큰 영향력을 줍니다. 단지 사회에 문제가 있을 뿐이라고 생각하면... 아무런 답도 찾지 못하며 방황하며 사회를 원망하다가 그냥 포기하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게 없습니다. 귀한시간을 원망과 한탄과 자포자기로 보내봤자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건 단 하나도 없습니다. 찰나의 위로뿐이고 정신을 차리면 다시 허망해질 뿐입니다. 사회는 그 구성원들에게 모두 평등하게 영향을 주기에 지금 이순간 내가 원한다고 바뀌는게 아닙니다. 나는 이렇게 열심.. 2017. 12. 4.
정좌하거나 명상할 때 다리저림에 대해서... 정좌하거나 명상할 때 다리저림에 대해서... 정좌를 하거나 명상을 할 때 반가부좌나 가부좌를 합니다. 대부분 반가부좌를 하죠... 그렇게 앉아 고요하게 있으려고 하면 머리속에 떠오르는 수많은 생각은 둘째치고 다리가 저려옵니다. 정좌를 하고 있을 때는 얼얼하고 마취되듯 하다가, 다리를 풀면 물밀듯이 짜릿함과 통증이 함께 동반됩니다. 몇몇 분들은 이거 때문에 정좌하는 것을 어려워하여 1~20분하고 그만하는 경우도 있죠... 이 다리저림은 골반의 고관절 근처 근육과 무릎이 풀리지 않아서 생기는 것입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해당 부위의 경락이 좁아서 원활하게 소통되지 않아 발생하는 것이고요... 정좌를 하기전에 미리 해당 부위를 스트레칭 해주거나... 또는 정좌를 하며 다리가 저릴려할 때 앉아서도 할 수 있는 스.. 2017. 12. 3.
2017년 12월 3일 일요일 천사일 2017년 12월 3일 일요일은 사계천사일로 모든 죄를 용서해주는 천사성의 힘이 시간상에 발현되는 날입니다. 동방을 향해 앉은 후 천사성과 연결된 천사경을 차분하게 암송하면 신묘한 보선의 바람이 일어 그 사람에게 쌓여있는 한(恨)을 풀어줄 것입니다. 인연있는 분들에게 전해지길 기원합니다... 2017. 12. 3.
마음의 불편함을 처리해야 삶이 평온해집니다. 마음의 불편함을 처리해야 삶이 평온해집니다. 대부분의 대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불편함'만'을 눈치채고 해결할 방법을 모색합니다. 하지만 무릇 세상 모든 것에는 겉과 속 음양이 있듯이, 눈에 보이는 불편함이 있다면 눈에 보이지 않는 불편함도 존재합니다. 바로 정신 즉 마음의 불편함이죠. 마음의 불편함은 어떤 문제가 있음을 보여줌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마음의 불편함을 애써 무시하며 살아갑니다. 그러다가 시간이 흐르고 흘러 인생은 꼬이고 힘든 일들을 겪게 되며 뒤늦게 이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죠... 이것은 우리의 눈에 보이는 불편함과 동등할 정도의, 아니 정확히는 그 이상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무형무상의 불편함이라 속에서 이미 곪고 있다는 것을 쉽게 눈치채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 불편함을 눈치채.. 2017. 12. 2.
우리는 늘 약속하고 정의한 것을 고정불변한 것으로 착각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늘 약속하고 정의한 것을 고정불변한 것으로 착각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①] kg, 4대 물리상수 ‘플랑크 상수’ 이용해 다시 정의한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18905 1m의 새로운 정의는?...국제단위계, 발전된 과학기술로 새롭게 정의한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18792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③]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을 대신할 전류의 새 정의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19058 [IF] 당신이 알던 1㎏은… 1㎏이 아닙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 2017.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