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

티벳의 홍교와 흑교 그리고 백교의 수행법 소개

by 예경 2020. 9. 20.

1. 홍교 닝마파의 수행법

 

-대원만심수(大圓滿心隨)
수행시간과 장소 자세의 교정... 시간은 해가 떠오른 직후 세벽과 해가진 직후인 오후에 한다. 특히 만일 햇살이 강한때 이 수행을 하면 시력을 망칠수도 있으니주의한다. 장소는 민가와 좀 떨어진 산이나 농촌 초원등에서 행하며 만일 부득이할 경우에는 옥상 베란다에서 행해도 된다 물론 다른 소리로 방해가 있겠지만 스스로가 일심불란의 장소를 마음속에 만들어 가야한다. 

 

자세는 서서하는자세와 앉아서 하는 자세 두가지가 있다. 서있을때는 다리를 어깨넓이만큼 벌리고두눈은 태양을 바라본다. 절대로 꽉끼는 바지는 입어선 안되고허리띠도 가능한 풀어줘야한다. 이는 단전에 기가너무많이 모이면 훗날 병이되기 때문이다. 앉아서 하는 자세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여기선 가부좌를 기본으로 한다.

 

-여보병기합수법(與寶甁氣合修法)
먼저 지수화풍이 모두 공하다는것을 관한다. 마음은 어지러워선 안되고, 코로서 숨을 조절한다. 숨을 쉬는방법에 대해 4가지의 조절법이 있다.


1) 숨끌기
2) 숨채우기
3) 숨고르기
4) 숨뱉기

 

 이 공법은 오전11:30부터 1:30까지와 저녁 11:30부터 새벽 1:30까지는 수련해서는 아니되며 배가 너무 부르다던가 혹은 배가 너무 고플경우는 절대로 해선 안된다. 시작할때 코의 둘어오는 숨을보고 수련의 가부를 결정한다.

 사람은 누구나 숨을쉴때 왼쪽 아니면 오른쪽에 공기가 더 들어간다. 이때...왼쪽콧구멍으로 들어가는 바람이 더 많을때 수행하되 양쪽이 균일하게 공기가 들어감을 가장 적절한걸로 여긴다. 그러나...만일 오른쪽코로 들어가는 공기가 많을경우는 절대로 해선 안된다.

 

이 공법은 좌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어디서나할수있다. 이렇게 숨을 쉬어 나가다보면 척추아래쪽에서 붉은점이 보일것이고 이 빛을 위로 올려서 머리꼭대기에 도달시키도록한다.

 

 

2. 흑교 본교파의 수행법

 

-장밀흑교무상법(藏密黑敎無上法) 탄시법(灘尸法)

 

자세: 가장 편한 자세로 눕거나 업드리거나 앉거나 자유롭게 한다. 가장 중요한것은 자세의 편안함이다.

 

관상: 먼곳에서부터 "훔(hum)"이라는 소리가 자?눈앞까지 오면 이 소리는 하얀 구슬로 변한다.(크기는 직경 1센치정도..) 미간으로 들어온 이 구슬은 丹田(단전:배꼽아래3센치 지점)으로 내려간다. 이 구슬을 단전을 중심으로 볼때. 위에서 왼쪽으로 아래로 오른쪽으로 위로 원을 그리며 돌린다 이 원을 그리는걸 27회한다.

 

1)배꼽
2)심장부위
3)후두
4)미간
5)머리꼭대기
6)뒷목
7)꼬리뼈


 이 순서로 구슬을 돌리는걸 3번 반복하고 이 구슬을 단전에서 두발 두손 심장 머리 그리고 마지막으로 단전으로 돌아온다.

 

주의사항)
1 - 혀는 입천장에 붙이고 호흡은 균등하게 천천히...
2 - 흰구슬을 아주 선명하게 관상하여야 한다.
3 - 구슬의 흐름은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게 호흡에 따라 멈춰서도 안된다.
4 - 만일 구슬이 잘 안보일 경우 단전에 두손을 놓아도 무방하다.
5 - 수련중에 누워서 피로가 몰려와서 잠에 드는수도 있다. 그러나 잠에 들어선 안된다.
6 - 1단계수행에 아무 진전이 없으면 2단계로 절대로 넘어가선 안된다.

 

-장밀흑교무상법(藏密黑敎無上法) 기체분리법(氣體分離法)

 

일단계의 흰구슬이 단전에서부터 거슬러 올라온다. 구슬은 "빨주노초파남보"순서로 바뀌어가며 후두에 다다르면... 이 구슬을 미간에서 목 심장으로 몇번이고 이동시킨다. 이때는 "보남파초노주빨"의 순서로 색이 변해야 한다.

 

다음 구슬이 빨간색으로 변했을때 구슬을 자기모습으로 변화시킨다. 미간에서 이 만들어진 자기모습을 눈앞의 허공에 띄운다. 그 다음 자기앞의 평지에 그 모습을 착지시킨다(천천히...) 다시 먼! 곳에서부터 "훔(hum)"이라는 소리가 자기 눈앞까지 오면 하얀 구슬로
 변하게 한 다음 두발 두손 심장 머리 그리고 마지막으로 단전으로 돌아온다.

 

흰구슬이 단전에서부터 거슬러 올라온다 구슬은 "빨주노초파남보"순서로 바뀌어가며 후두에 다다르면... 이 구슬을 미간에서 목 심장으로 몇번이고 이동시킨다.  이때는 "보남파초노주빨"의 순서로 색이 변해야 한다. 빨간색으로 변했을때 자기모양을 붉은색으로 관하고 "훔(hum)"의 소리와 함께 자신의 모양을 미간으로 끌어들인다.  그 다음 다시 단전으로 넣는다.

 

이 공법의 성과로 자신의 기를 뽑아내서 주위를 돌아다니는것으로 기체분리법의 수행은 끝이난다. 이 공법은 서장밀교 흑교의 비전으로서 자신의 기를 뽑아낸다음 다른사람에게 넣을수도있고 혹은 다른사람의 기를 조정할수도 있다고 한다. 이는 이단계까지의 수행이후에 스승을 자신의 기를 뽑아서 찾아가야만 가르쳐 준다고 한다.

 

-흑교육자대명주 3종 관상법

 

 본 법문은 세가지 관상법을 통해 육자대명왕진언과 합일되어 종합적인 능력배양과 동시에 정신의 각성을 유도한다. 먼저 육단금(六段錦)이라고 하는 관상법을 터득한다. 육단금은 흑교 밀법으로서 기를 조정하여 영의 힘으로 경맥을 관통하는 법이다. 다음은 법륜상전법(法輪常轉法)을 습득한다. 육자대명왕진언의 순환으로 혜안(慧眼)을 열수있다. 그러나 법륜상전은 충분한 육단금의 수행이 없다면 성취할 수 없지만 2단계까지는 실패하여 주화입마가 되거나 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마지막 접하는 관법이 주륜합관(呪輪合觀)이다. 이 주륜합관으로 육자대명왕진언의 소리자체로 변해가는 것이다. 이 세가지 법만으로도 능히 중생을 제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먼저 육단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장밀흑교 육단금법(藏密黑敎 六段錦法)

자세는 허리는 곧게 펴고 두발은 어께너비로 벌린다. 손은 삼매야 인을 맺는다. 호흡은 길게 한번 마시고 9번을 나누어 토하되 마지막 내쉴때 가장길게 내뱉으며 이 과정을 9회 반복한다.

 

가장 중요한 관상법은 아래와 같다. Aum의 소리가 백색구슬로 발바닥에서 스며들어 무릎언저리에서 붉은 구슬로 변한다. Ma의 소리로 윗허벅지까지 올라온다. 올라온 구슬은 노란색이 되며 Ni라는 소리로 바뀐다. 꼬리뼈까지 올라온 노란구슬은 녹색으로 바뀌어 배꼽부위로 오며 Pad의 소리를 낸다. 배꼽에서 미간으로 구슬을 올리며 파란색 구슬로 변화하며 Me의 소리를 내며, 파란구슬은 검은색으로 변해 정수리를 통해 나가며 Hum의 소리를 낸다.

 

여기까지가 육단금의 수행이다.

 

2) 장밀흑교 법륜상전법(藏密黑敎 法輪常轉法)

 

이법은 수지하기 조금 어려워서 육단금의 수행이 어느정도 숙달되면 어려워도 조금 더 배우기 쉬워진다. 육자대명왕주의 범문을 육각으로 배치한 후 가장위를 Aum, 2시방향이 Ma, 4시방향이 Ni, 6시방향이 Pad, 8시방향이 Me, 10시방향이 Hum으로 배치되어 일반 법륜관상법과 비슷하게만 보여지지만 다른점이 있다.


각 소리에 색을 부여한다.
Aum - 백색, Ma - 적색, Ni - 황색, Pad - 녹색, Me - 청색, Hum - 흑색...


각각의 소리를 중심으로 링(Ring)을 만든다.
즉,

 Aum Ma Ni Pad Me Hum - Ma Ni Pad Me Hum Aum
 Ni Pad Me Hum Aum Ma - Pad Me Hum Aum Ma Ni
 Me Hum Aum Ma Ni Pad - Hum Aum Ma Ni Pad Me...


수련을 거듭하여 글씨가 분명히 보이고 소리까지 선명하게 들리면 공부가 성취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육단금에서 경맥을 관통하여 육체를 강하게 만들고 법륜상전으로 지혜의 눈을 뜨게 만들어 진 것이다. 본인을 지도한 분께선 범문(산스크리트어)이 없으면 어떻게 하느냐는 나의 질문에 "한자도 좋고 당신네 나라글 혹은 영어라도 좋다."라고 했으니 너무 범문이 없다고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3) 장밀흑교 주륜합관법(藏密黑敎 呪輪合觀法)

 

이는 주륜합관법의 마지막으로써 육자대명왕진언의 자비광명을 뜻대로 비추어 내는 법을 알게된다.

 

가부좌로 앉아 법계정인을 맺고 아래의 관상을 행하며 '육단금'과 '법륜상전'을 숙련하기전에는 절대로 수행하지 말 것이며 여기서 만약 실패하면 신경장애를 초래할 수 도있다. 주륜합관에 드는자는 마땅히 다음과 같이 관할것이다.

 

① "Aum"자는 머리위에서 연꽃받침 위에서 "Aum"음과 백색광명을 내품는다.
② "Ma"자는 인후부에 위치해서 붉은광명을 "Ma"음과 함께 내품는다.
③ "Ni"자는 명치부위에서 황색광명과 "Ni"음을 내품는다.
④ "Pad"자는 배꼽부위에서 녹색광명과 "Pad"음을 내품는다.
⑤ "Me"자는 생식기 부위에서 푸른광명과 "Pad"음을 내품는다.
⑥ "Hum"자는 꼬리뼈 부위에서 검은광채와 "Hum"음을 내품는다.

 

 

3. 백교 거췬파의 수행법

 

이는 서장밀법중 아주 진귀한 보물이며 17세기 팔마갈파라는 스승님께서 티벳에서 유행하는 여러가지 요가를 비교하여 근거없는 부분은 삭제하여 만든것이 바로 "대수인요가법요"라는 책으로 나왔고!, 1916년 부탄에서 어떤 스승님이 이 법을 공개 하였다한다.

 

-칠지좌법(七支坐法) 이 칠지좌법은 비로자나불 즉 대일여래의 자세이다
 이 칠지좌법은 일곱가지의 요점이 있다.

 

第一)결가부좌를 틀고 앉아,두허벅지를 평행하게 놓고 발바닥은 하늘을 향하게 하지만 만일 결가부좌가 어려울경우는 그저 가부좌를 해도 무방하지만 오른발이 왼발을 누른다.
第二)손은 법계정인을 맺고아랫배앞에 놓는다.
第三)등은 곧게 어깨는 펴도록 한다.
第四)머리를 아래로 숙여서 턱이 인후를 누르도록 한다.
第五)혀끝을 입천장에 붙인다
第六)입으로 탁한기운을 뱃어낸다.
第七)마음에 동요가 없어야 하며 과거도 미래도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관상불상 종자 명점법(觀想佛相 種字 明点法)

 

이는 신구의(身口意)를 함께 수련하는것으로 불상을 관함은 몸을 상징하고 종자(種字)를 관함은 입을 상징하고 명점법을 행함으로 마음을 상징하는것이다.

 

第一)관상불상법(觀想佛相法) 수행자
纜?탱화나 혹은 불상을 놓는다. 집중해서 관상을 하는데... 불상의 수승한 장엄과 금빛으로 찬란하며 후광이 머리를 감싸고 있는 그런 불상의 모습을 해와 달의 위에불상을 놓고 관한다.


第二)관상종자법(觀想種字法) 먼저 달을 관한다.
수행자의 얼굴앞에 손톱만한 달을 관하고 흰광명을 띠고공중에 떠있는 달이다. 이 달이 점점커져서 주먹만하게 변하면 이 달을 암흑에서 뚫고 나옴을 관하라. 그 다음 아래의 글씨를 그 달위에 놓는다. 이때 종자의 위치와 크기는 달보다 조금 작으며 달위4분의1촌(약 1센치)위에 놓는다.


第三)관상명점법(觀想明点法) 밝은 점을 관한다.
이 점은 크기는 작은콩만하고 모양은 계란모양이며 사방을 두루 비추고 있다 유기체관법(有氣體觀法) 금강수식법(金剛數息法) 행자는 가부좌하고 앉아 마음을 호흡에다 집중시킨다. 아주 작은 숨소리를 스스로 들으며 하나...둘...하고 세어나가서 21600번을 센다 (들이쉬고 내쉬는걸 한호흡으로 한다)


티벳은 고원지대로서 하루종일 사람의 호흡수를 센다면 일분에 15회를 호흡하고 한시간에 900회 하루면 21600여번의 호흡을 하게된다. 하루에 초심자는 4번행하되...처음엔 21번만 세고 끝내고! 두번째는 30번에서 40번정도 더하며 세번째는 80여번 정도를 더하며 네번째는 100여회를 더한다.


 물론 하루종일 앉아있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초심자의 경우 무리하지 앉도록 주의한다 그리고 매번 수식(數息)할때마다 자기가 마시고 내쉬는숨이 어디로 가는지 어디로 들어오며 어디로 나가서 어디까지 도착하는지를 관한다 숨이 코로 들어와 입으로 목...심장 척추 아랫배 온몸전체로 퍼져나감을 상상하고 마치 호흡이 자신으로 느껴질때까지 한다.

 

 이 호흡에도 다섯가지 요소가 있다. 지수화풍공이다... 어느정도 경지에 이르면... 지기는 황색으로, 수기는 백색으로, 화기는 홍색으로, 풍기는 초록색으로 공기는 푸른색으로 보이게 된다.

 

 

출처 : http://cafe.daum.net/keymaste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