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53

수행은 왜 하나요? #1 걱정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수행은 왜 하나요? #1 걱정이란 것을 하지 않으려고 수행을 합니다. 우리는 걱정을 안하면 허전할 정도로 매일매일 수많은 걱정과 근심을 습관처럼 하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걱정이라는 것이 하고 싶지 않다고 해서 걱정이 안드나요? 또는 '걱정하지 말아야지!' 그런다고 걱정하지 않고 살 수 있을까요? 거의 대부분의 경우가 머리에서 떠오르는 수많은 걱정들은... 나의 의지와는 전혀 상관없이 떠오릅니다. 그것을 부처님께서는 번뇌라고 말씀하셨죠... 그런데 번뇌가 없이는 '보리(菩提)'라고 하는 지혜의 깨달음을 얻을 수 없다고 했습니다. 수없이 많이 드는 근심 걱정들을 어떻게 대처하는지... 슬기롭게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서 수행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근심과 걱정 같은 번뇌가 없으면... 우리는 수.. 2021. 8. 24.
고대지혜(古代智慧)를 현대에 활용하는 한가지 방법 고대지혜(古代智慧)를 현대에 활용하는 한가지 방법 최소한 자신의 수행을 찾을 때 도움이 되시길 바라는 마음에 간략하게나마 적어봅니다. 고대지혜(古代智慧)를 현대에 활용하는 한가지 방법은, 권모술수관의 절차를 통해 명복상의산을 성취하는 것입니다. 권모술수관 : https://cafe.daum.net/yeseowon/V96t/121 Daum 카페 cafe.daum.net 명복상의산 : https://cafe.daum.net/yeseowon/V96t/122 Daum 카페 cafe.daum.net 명복상의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相)으로 권모술수관의 절차로 거경궁리(居敬窮理)를 통해 명복상의산을 성취합니다. 여기서 성취라는 것은, 신비한 무엇이 아니라 실천을 통한 습관화를 의미하며.... 성취한 것들은 서로.. 2021. 8. 23.
사람이 무엇에 대하여 다른 결과를 얻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다른 결과가 나오려면 다르게 하면 됩니다. 참 쉽고 당연한 얘기죠? 하지만 사람들은 늘 똑같은 생각과 행동을 하면서 다른 결과가 나오기를 바라고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늘 똑같이 하는 한에는 절대 바뀔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스스로 변하길 원합니다. 이는 한달에 300만원을 벌고 있는 사람이 늘 똑같이 살아가면서 500만원을 벌길 원하는 것과 같습니다. 여자를 못 사귀는 사람은, 늘 똑같이 여자를 못사귈만한 패턴으로 살아가기 때문에 여자를 사귀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삶에 변화가 없지만 현실이 바뀌기를 바란다는 것은, 결국 지금껏 늘 겪고지내온 전형적인 고정관념의 작용일 뿐입니다. 서유기에서 손오공이 이리날고 저리날아도 결국 부처님의 손바닥 안에 있었던 것처럼, 고정관념이라는 어떠한 생각의 손바닥 안.. 2021. 8. 22.
삶이라는 수행을 하며 얻는 특이능력들 삶이라는 수행을 하며 얻는 특이능력들 어떤 사람은 복잡한 설명을 간단하고 쉽게 요약정리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당연하다는 듯이 사람 몸 주변의 오라층을 보며 살아갑니다. 어떤 사람은 말로써 사람을 선동하고 흔들고 조종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자신이 찾고자 하는 사람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여러 분야를 융합응용하는 것에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자신에게 이득이 될만한 것을 잘 찾아냅니다. 어떤 사람은 '자기가 하고 싶은 생각'만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절대음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상황판단 능력이 뛰어납니다. 어떤 사람은 타인을 설득시키는 재주가 뛰어납니다. 어떤 사람은 주식을 들어가는 타이밍과 나가는 타이밍을 기가막히게 잘 캐치합니다. 어.. 2021. 8. 21.
여러분의 환경 그 자체가 선생님입니다. 여러분의 환경 그 자체가 선생님입니다. 한명의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 자체가 수행이라고 했습니다. 각 사람마다 자신이 처한 환경이 모두 다릅니다. 이러한 환경 그 자체가 여러분에게 공부를 가르쳐주는 선생님입니다. 타인에게 배신을 당하셨나요? 여러분은 배신을 당하는 상황에게 배워야 할 것이 있기 때문에 겪으신 것입니다. 사기를 당했나요? 여러분은 사기를 당한 것으로 인해 배워야 할 것이 있기 때문에 겪으신 것입니다. 등등 이러한 모든 것들이 모두 선생님이며, 스승님입니다. 배신을 당했다면, 왜 배신을 당했는지 그리고 다음에는 배신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이 배신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것들을 배우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사기를 당했다면, 왜 사기를 당했는지 다음에 사기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2021. 8. 20.
삶이라는 수행의 두 가지 방편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서 늘 행복한 일만을 만나지는 않습니다. 평안하고 기쁠 때가 있는가 하면, 슬프고 고통스러울 때도 있으며, 지루하고 따분하며 무료할 때도 있습니다. 또 이유 없이 행복할 때가 있는가 하면, 반대로 이유 없이 고통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삶이라는 수행의 두 가지 방편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1. 현실의 문제를 현실에서 직접 해결하는 방법 2. 현실의 문제를 보이지 않는 세상으로 우회하여 해결하는 방법 위와 같이 삶이라는 수행에는 두 가지의 방편이 존재합니다. 어느 것을 선택하든 상관없습니다. 단지, 이를 통하여 문제가 해결된다면 그것만으로 충분합니다. 1. 현실의 문제를 현실에서 직접 해결하는 방법 대부분의 사람들이 늘 하고 있는 방법으로, 자신의 강한 의지로 스스로 문제.. 2021. 8. 19.
모든 사람들이 수행을 해야할까? 60억 인구의 모든 사람들이 지금 이시간에도 수행을 하고 있다고 하면 믿으시겠나요? 많은 사람들은 수행(修行)이라는 것에 대해서 환상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다스릴 수(修), 다닐 행(行) 행동을 다스리는 것이 수행입니다. 일반적으로 수행(修行)이라고 하면, 산에 들어가 도를 닦는다든가, 기공이나 명상 등을 얘기합니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이러한 것들은 모두 수행의 방편들중 하나일 뿐입니다, 삶이 고단한가? 신선이 되고 싶은가? 윤회에서 벗어나고 싶은가? 부처님과 같이 되고 싶은가? 현재의 삶이 육체적으로든 정신적으로든 너무나 힘들고 고단하기에.... 뭔가 보이지 않는 무언가의 또는 나보다 높은 존재가 있다면 도움을 청하게 되고.... 보이지 않는 그 무언가와의 소통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얘기를 하는.. 2021. 8. 18.
수행이 만사형통일까? 수행이 세상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지는 않습니다. 수행이란, 견성을 하거나 본성을 통하여 '만물에 깃든 자연스러운 이치를 깨닫는 것'입니다. 이것은 바로 모든 것의 시작이며, 진정한 시작입니다. 깨달은 후 스스로의 본성을 찾은 후에, 그 본성이 현재 수많은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문명속에서 제대로 발현이 되어 스스로도 행복하고, 다른이도 행복하게 하는 방법을 수많은 성현들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깨달은 후, 스스로의 깨달은 본성이 사회에 제대로 긍정적으로 발현되는 과정을 도(道)라고 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유마힐소설경에 유마 거사가 저잣거리에서 사람들을 제도하는 것이라든가, 산에 틀어박혀 수행을 하다가 깨달음을 얻어 속세로 돌아와 사람들을 돕는 수많은 선인들에 대한 전설이 이와같은 이유로 전해지는 것입니.. 2021. 8. 17.
리얼리티 태을신수 (1) 2021년 8월 15일 아프가니스탄 카불 탈레반 점령 리얼리티 태을신수 (1) 2021년 8월 16일 아프가니스탄 카불 탈레반 점령 오늘 뉴스를 통해 아프가니스탄 카불이 탈레반에게 점령당했고... 아프간 대통령이 해외로 도피, 정부는 탈레반에게 정권이양준비,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대사관들이 철수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근래 태을신수와 관련된 국운 내용을 계속 올리다보니, 이번 것도 함께 나누면 좋을듯 싶어 몇 글자 적어봅니다. 저는 세계정세나 국제외교안부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뉴스를 통해 공개되어 있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풀어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이 사단이 난 이유는 정확히 2가지 입니다. 1. 아프간 정부의 고질적 부정부패 2. 미군철수 이 부분에 유념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bbc.com/korean/interna.. 2021. 8. 17.
소동파(蘇東坡)의 무정설법(無情說法)과 정좌조식법(靜坐調息法) 소동파(蘇東坡)의 무정설법(無情說法)과 정좌조식법(靜坐調息法) ⑴ 「無故而得千金 不有大福 必有大禍」 “ 까닭없이 천금을 얻는 것은 큰 福이 있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재앙(災殃)이 있게 되느니라. ” ⑵ 「무정설법(無情說法)」의 소식 중국(中國) 당송(唐宋) 8대가(大家)의 한 사람으로 유명한 동파(東坡) 소식(蘇軾. 1036~1101)이 한때 고을의 관직을 맡아 나갔다. 그는 그 고을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 상총조각(常聰照覺)선사라는 이름난 선승이 살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내가 한번 가서 겨뤄보리라.」 하고 찾아갔다. 그래서 통성명을 하는데 소동파(蘇東坡)라고 하지 않고,「나는 칭(秤)가요.」하고 인사를 드렸다. 칭가란 성은 없기에,「칭가라니요?」하고 선사는 다시 물어 보았다. 그러자 동파(東坡.. 2021.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