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1269

왜 부적을 펴보지도 말고, 타인에게 말하지 말라고 하는 것인가? 부적을 받으면, 작성하신 분께서 항상 하시는 말씀이 있습니다. "절대 다른 사람에게 부적을 썼다고 말하면 안된다." "부적효과가 끝나기 전까지 절대 펴보면 안된다." 신비주의로 포장하기 위한 상술(商術)일까요? 이번에는 이것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위의 두 가지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사념(邪念)의 영향 입니다. 타인에게 말하지 말라는 것은 '타인의 사념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적을 펴보지 말라는 것은 '자신의 사념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념은, 백과사전에 '올바르지 못한 그릇된 생각'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그릇된 생각은 잘 안하지만, 무의식적으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러분께서도 과거를 회상해보시면 순간적으로 한 생각이라든가, 밷은 말에 "내.. 2020. 4. 7.
홍연기문 총공망(洪燃奇門 總空亡) 홍연기문 총공망(洪燃奇門 總空亡) 중궁 지반수의 고유궁을 총괘궁(總卦宮)이라 하는데, 이 총괘궁이 육십갑자일 순중공망이 되면 총공망이라고 부릅니다. 이 부분이 어렵게 느껴지면, 홍연포국에서 생기복덕=생기팔신이 귀혼(歸魂)인 궁에 공망이 있으면 총공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단, 총괘궁과 세궁(世宮)이 서로 상생하면 총공망이 풀리게 됩니다. 총공망일 경우 최종적인 결과가 용두사미(龍頭蛇尾), 재수불통(財數不通), 작사무성(作事無成), 매사공허(每事空虛)가 된다 라고 보며 한 사람의 명을 보는 홍연기문을 비롯한 술법 택일에서도 크게 꺼리고 피합니다. 특히 술법에서는 변화에 따른 힘의 소모가 평소보다 매우 크게 되어 자신의 역량을 가늠해봤을 때... 아슬아슬한 부분은 실패(失敗)하게 된다라고 봅니다. 다만, 총.. 2020. 4. 7.
부적을 여러 장을 가지고 있으면 더 효과가 강한가? 부적을 작성하는 사람의 역량과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부적을 작성하는 사람의 역량이 높으면 1장으로도 충분한 상황이 생기며 부적을 작성하는 사람의 역량이 낮으면 10~20장을 작성해야 감당할 상황이 되기도 하며.... 상황에 따라 의뢰자 분께서 해결하길 원하는 부분보다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적 1장과 의뢰자 분께서 해결을 원하는 부분에 대한 부적 1장으로 해결될 수 있는 상황이 있는가 하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적 1장만으로 충분한 상황도 있으며, 의뢰자 분께서 해결을 원하는 부분의 부적 1장만 작성하여도 충분한 상황도 있습니다. 물론, 애초에 여러 부적을 합하여 하나의 부적처럼 만들어진 것이라든가, 한중일(韓中日)에서 여러 부적을 겹쳐 쓰는 겹부적 .. 2020. 4. 6.
중국 불교보암파 삼산구후법과(佛敎普庵派 三山九侯灋科) 중국 불교보암파 삼산구후법과(佛敎普庵派 三山九侯灋科) 중국 불교 보암파에서 전해지는 삼산구후법과입니다. 여기에서는 '삼산'이 비로나자불, 노사나불, 석가모니불을 의미하고... '구후'는 존승불모, 마리지천, 관세음보살, 준제보살, 미륵보살, 문수보살, 금강살타, 제개장보살, 태을보살을 의미한다라고 봅니다. 옛날에 올린 글과 조금 차이가 있죠? ^^; http://cafe.daum.net/yeseowon/VcYq/103 이렇게 전승에 따라 각각 삼산과 구후를 다르게 의미를 부여합니다... 중국측 자료지만, 삼경법에 포함된 삼산구후법과 유관하므로 한국수행에 올립니다. 실제로 행하려면 교정작업이 조금 필요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佛敎普庵派 三山九侯灋科 불교보암파 삼산구후법과 ○ 향찬(香讚) 爐香乍熱。法.. 2020. 4. 6.
자기자신에게 부적을 작성할 경우 자력(自力)이든, 타력(他力)이든.... 사실 부적을 작성하는 사람들의 경우, 타인에게 부적을 작성해주는 것보다 자기자신에게 부적을 작성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자신이 부적의 효과를 보고 있기에 타인에게도 소개를 해줄 수 있는 것입니다. 타인에게 부적을 소개해줄 정도로 부적효과가 있는 사람이.... 자기가 힘든 상황일 때, 당연히 그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부적을 작성할 것입니다. 자기자신에게 부적을 작성할 경우에도 아래의 글과 마찬가지로.... 그에 합당한 대가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수행과 관련된 부분에 한해서는 대가가 적게 작용합니다. 그 이유는 수행을 하는데 있어서 공(功)을 들인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물론, 자력으로 부적을 작성하였다면 이러한 대가도 없을 것입니다. 2020. 4. 5.
기문둔갑 택일(奇門遁甲 擇日) 천보길시(天輔吉時) 기문둔갑 택일(奇門遁甲 擇日) 천보길시(天輔吉時) 천보길시는, 천봉구성 천보(天輔)의 정위도인 손궁(巽宮)이 오는 시간은 귀인의 도움으로 모든 일을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천보길시를 구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제일 먼저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방법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갑기일 기사시, 을경일 갑신시, 병신일 갑오시, 정임일 갑진시, 무계일 갑인시 너무 간단해서 택일을 한다라고 말하기도 뭐하죠? ^^; 죄와 잘못 그리고 실수가 있어도 하늘이 용서를 해주어 별탈이 없이 넘어갈 수 있게 해주는 작용력이 있습니다. 이제 다른 한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이것은 기문둔갑의 음양국수를 알고 기문 지반을 포국해야하지만, 대유학당 홍연기문둔갑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1. .. 2020. 4. 5.
부적을 작성한 사람이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 경우 자력(自力)으로 부적을 작성하는 사람이 아닌 타력(他力)으로 부적을 작성하는 사람은, 부적을 작성하고 그에 합당한 대가를 부적을 작성하는데 도움을 준 존재에게 지불해야 합니다. 자력으로 부적을 작성하는 사람은, 마치 도자기를 직접 만들어 파는 사람과 같고.... 타력으로 부적을 작성하는 사람은, 도자기를 만드는 사람에게 물건을 공수받아 파는 사람과 같습니다. 자기 스스로 도자기를 직접 만들고 파는 사람은 수익의 전부를 다 가져도 아무 문제가 없지만, 도자기를 만드는 사람에게 물건을 공수받아 판 수익을 일정부분 나누는 사람은 자신이 수익을 다 가지게 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도자기를 만드는 사람이 더이상 그 사람에게 물건을 공급하지 않을 것입니다. 보통 사람이라면, '못받은 돈은 못받으니 날린셈 쳐야겠다... 2020. 4. 4.
기문신수법(奇門身數法) 기문신수법(奇門身數法) 1. 생일 천간과 유년의 연간을 대조하여 운간(運干)을 찾습니다. 2. 생일 지지와 유년의 연지를 대조하여 운문(運門)을 찾습니다. 3. 신수대전 서적의 해설을 보거나, 운간과 운문을 조합하여 1년 신수와 매월 신수를 파악합니다. 운간(運干) 생일간 / 유년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2020. 4. 4.
완성된 부적의 여러 사용방법 1. 몸에 지니고 다닌다. 2. 벽이나 문 등 사물에 붙인다. 3. 주택 입구 등에 묻는다. 4. 태워서 삼킨다.(법제된 주사로 부적을 작성해야 한다.) 5. 잠잘 때, 머리맡이나 베게에 넣는다. 6. 부적을 태워 물에 담가 몸에 물을 끼얹고 기원한다.(법제된 주사로 부적을 작성해야 한다.) 7. 기원성취를 기도하며 부적을 태운다. 8. 신단에 봉안한다. 이 위의 방법이 대표적인 사용방법이고, 그 이외의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2020. 4. 3.
육임심역(六壬心易) 육갑기행년(六甲起行年法) 행년소운법(行年小運法) 육임심역(六壬心易) 육갑기행년(六甲起行年法) 행년소운법(行年小運法) 육임의 행년법을 떠올리면 남성은 인에서 1세가 시작되고 순행, 여성은 신에서 1세가 시작되고 역행한다라고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육임계에는 일반적인 행년법이 아니라 행년소운법이라 불리는 육갑기행년이 존재합니다. 이것을 사용하면 남성은 무조건 인에서 1세가 시작하는게 아니고, 여성도 무조건 신에서 1세가 시작하는게 아니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일반적인 행년법은 대육임에서 운용하는 것이 옳다고 보고, 이번에 소개할 육갑기행년=행년소운법은 대육임 이외의 학문에 활용하기 좋도록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육임이 아닌 육임금구결 등은 행년소운법과 궁합이 매우 좋습니다. ^^ 육임 행년법을 대육임 이외에서 운용하시는 분들은 이것도 한번 써보.. 2020.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