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칼럼1254 금강살타수지법(金剛薩埵修持法) 금강살타수지법(金剛薩埵修持法) 이는 대원만심수의 주요불공가지법의 하나로 어떤 수법을 행하든 장애와 업장을 녹여낸다. 금강가부좌(결가부좌)로 앉아서 머리위 2척높이 허공에 천개의 잎을가진 하얀연꽃을 그린다. 그 연꽃잎이 벌어지며 속에는 큰 월륜(月輪)이 있으며 그 속에는 훔(Hum)자가 흰빛으로 반짝임을 관한다. 마음먹는 순식간에 훔자는 하얀 금강살타로 변하며 그 긍강살타의 광명밑에 자신이 그 빛을 받아 정화됨을 관한다. 곧이어 금강살타의 몸이 두개로 분리되는데 그 가슴에 작은 훔자를 새겨놓았다. 그의 주위에는 백자명주가 둘려처져있고 그 금강살타를 향해서 백자명주를 7회 혹은 7의 배수로 염송하여야 한다. 백자명주는 아래와 같다. "아옴 파즈라 지타지마야 마누파라야 파즈라지타 도나파티 지챠마파바 로타카야카.. 2020. 9. 21. 티벳의 홍교와 흑교 그리고 백교의 수행법 소개 1. 홍교 닝마파의 수행법 -대원만심수(大圓滿心隨) 수행시간과 장소 자세의 교정... 시간은 해가 떠오른 직후 세벽과 해가진 직후인 오후에 한다. 특히 만일 햇살이 강한때 이 수행을 하면 시력을 망칠수도 있으니주의한다. 장소는 민가와 좀 떨어진 산이나 농촌 초원등에서 행하며 만일 부득이할 경우에는 옥상 베란다에서 행해도 된다 물론 다른 소리로 방해가 있겠지만 스스로가 일심불란의 장소를 마음속에 만들어 가야한다. 자세는 서서하는자세와 앉아서 하는 자세 두가지가 있다. 서있을때는 다리를 어깨넓이만큼 벌리고두눈은 태양을 바라본다. 절대로 꽉끼는 바지는 입어선 안되고허리띠도 가능한 풀어줘야한다. 이는 단전에 기가너무많이 모이면 훗날 병이되기 때문이다. 앉아서 하는 자세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여기선 가부좌를 기본으.. 2020. 9. 20. 장밀 구절불풍법(藏密 九節佛風法) 장밀 구절불풍법(藏密 九節佛風法) ■ 개 요 장밀홍교구절불풍법은 밀법입정전에 시작하는 것으로 일종의 준비법이라 할 수 있다. 본법은 총 아홉단계로 나뉘며 그래서 구절불풍이라 이름지어졌다. 예를든다면 백교의 대수인법의 준비에 구절불풍법이 있고, 육성취법의 전단계에도 경조풍식법구풍상식(輕調風息法九風箱式)이 있으며 역시 구절불풍법과 비슷하다. ■ 행법설명 1. 가부좌나 결가부좌로 앉는다. 손은 법계정인을 맺는다. 2. 먼저 자신이 투명하도록 관상한다. 유리와 같이 투명하며 광채를 발한다. 3. 몸에는 세줄기의 라인이 있다. 가운데가 수슘나, 왼쪽이 이다, 오른쪽이 핑가라 라고 명하며 수슘나는 척추 한가운데를 지나며 이다와 핑가라는 각각 척추의 좌우를 지난다. 수슘나는 회음혈에서 백회혈까지 달하며, 이다와 핑가.. 2020. 9. 19. 설오스님의 금강살타 수행 이야기 설오스님의 금강살타 수행 이야기 설오스님(인도 다람살라에서 티베트불교 수행中) 귀의(歸依) 법회를 거행하는 티베트 사원에 참석하게 되면 법사는 제일 먼저 귀의의 중요성과 함께 순수한 보리심(菩提心)에 대한 가르침을 설한다. 귀의(歸依)란 불교도와 비불교도, 곧 내도(內道)와 외도(外道)를 구분짓는 관건이다. 어린아이가 무서운 개한테 쫓기어 어머니 품안으로 달려오듯이, 불법승 삼보님만이 두렵고 엄청난 윤회의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구해 주실 수 있다는 확실한 신뢰를 갖고 몸과 마음을 다바쳐 완전히 의지하라는 것이다. 물론 삼귀의는 우리 나라 불자들도 기본적으로 하지만, 티베트처럼 열심히 하지 않는다. 티베트 사람들은 차나 비행기를 타고 가다가 사고의 위험에 직면했을 때에 '귀의금강상사 . 귀의불 . 귀의법 ... 2020. 9. 18. 네 가지 집착에서 벗어나기 네 가지 집착에서 벗어나기--1편 이 생에 대한 집착이 남아있다면..그대는 종교적인 사람(佛弟子)이 아니다.. 존재의 세계에 대한 집착이 남아있다면.. 그대는 출리심(出離心)을 얻은 게 아니다.. 자신의 목적에 대한 집착이 남아있다면..그대는 보리심(菩提心)을 얻은게 아니다.. 파악하려는 노력이 있다면… 그대는 아직 지견(知見)를 얻은 게 아니다.. --네 가지 집착에서 벗어남을 지적하는 근본게송-- 이 가르침은 로종(修心)이라 알려진 범주에서 나온 것으로서.. 대보살 만주스리(文殊菩薩)께서 사꺄파의 대스승, 싸첸 꿍가 닝뽀에게 직접 전해주신 것입니다.. 싸첸 꿍가 닝뽀는 싸꺄 전승의 5조(五祖) 중 첫번째 분입니다.. 그 분은 이 가르침을 살펴보시고는.. 이 네 구절이 경승(經乘)의 심오한 가르침 전체.. 2020. 9. 17. 탕똥 갤뽀 기도문(廣野王起請文) 너른 들판의 왕(廣野王)..탕똥갤뽀 탕똥갤뽀..그는 너른 들판의 왕(廣野王)이다... 게데평원에서 명상할 때.. 다섯 다끼니가 나타나 이렇게 말하였다.. ``대 평원에 공성(空性)을 아는 요기가 겁없는 왕(王)처럼 앉아있으니.. 우린 그를 광야의 왕(廣野王)이라 부른다..`` 그는 지나치게 다양한 재주를 가지고..다양한 케릭터를 보여준 드문 케이스이다.. 그는 묘사하기 힘든 사람이다.. 아주 복잡한 요소들이 기기묘묘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가 남긴 것들은.. 사회 곳곳에서 형태를 지니고 남아있고.. 설명하지 않아도 파악되는 것들이다.. 사원(寺院)이나.. 탑(塔)이나.. 쇠로 만든 다리나.. 가극(歌劇)이나 노래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다르마가 삶의 구체적인 부분으로 녹아들어가다는 것은 매우 .. 2020. 9. 16. 관세음보살님의 가피를 통한 저주 되돌리기 관세음보살님의 가피를 통한 저주 되돌리기 관세음보살보문품은 주로 구원에 대한 내용이고 관세음보살의 위신력에 맞춰 부드러운 표현들이 많은데, 오직 타인에 의한 저주와 독약에 대한 부분만큼은 상당히 냉정하게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식으로 그 해가 행한 본인에게 돌아간다라고 적혀있습니다. 呪詛諸毒藥 所欲害身者 念彼觀音力 還著於本人 주저제독약 소욕해신자 염피관음력 환착어본인 저주와 여러 독약으로 내 몸을 해하려 해도, 관음을 생각하는 그 힘 때문에 도리어 그 해가 본인에게 돌아간다. 위 내용은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내용중 일부이며, 이와 관련하여 진언밀교에서는 저 20글자를 무수히 암송하여... 관세음보살님의 가피로 저주를 되돌려 보내는 진언처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여기에 앞뒤로 .. 2020. 9. 15. 반야심경 약식 독송절차 예서원 간략해설 : 반야심경은 한중일 모두 매우 중요하게 보는 불경입니다. 심지어 각종 의궤에서도 이것이 포함되는 경우들도 많으며, 불교의 부적작성에도 많이 활용됩니다. 그렇기에 수많은 독송절차가 나라별로 각각 존재하는데 그중에서 일본에서 전해지는 약식 독송절차중 한가지를 소개합니다. 이런식으로 짧게하기도 하는구나 하는 정도로 받아들이시면 되며, 대략 10분정도밖에 시간을 낼 수 없을 때 이것을 사용합니다. 혹시라도 반야심경을 독송하고 싶은데 절차가 너무 길고 오래걸려서 짧은걸 찾는 분이 계시다면 이것이 하나의 대안책중 한가지가 될 것입니다. 평온한 밤되세요. ^^ 【 귀의발심(帰依発心) 】 3회 독송 諸仏正法菩薩賢聖僧 直至菩提自他竟帰依 為利一切如母諸有情 願証諸仏般若究竟義 제불정법보살현성승 직지보제자타경.. 2020. 9. 14. 묘법연화경 독송할 때 앞뒤로 해야하는 부분(봉창, 개경게, 개법장진언, 정대게, 회향문) 묘법연화경 독송할 때 앞뒤로 해야하는 부분(봉창, 개경게, 개법장진언, 정대게, 회향문) 예서원 간략해설 : 묘법연화경을 독송할 때 앞뒤로 해야하는 부분입니다. 참고로 여기서 사용되는 회향게의 경우, 묘법연화경(妙法蓮華経) 3권 제7 화성유품(化城喩品)에서 발췌한 내용을 사용입니다. 그리고 묘법연화경의 제목을 봉창하는 10가지 공덕은 바로 밑에 올려두었습니다. 이것을 읽어보시면 묘법연화경을 근본경전으로 하는 일본의 일련종이 어떤이유로 끊임없이 '나무묘법연화경'을 봉창하는지 조금은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 ○ 봉창(奉唱) 南無妙法蓮華經 南無妙法蓮華經 南無妙法蓮華經 나무묘법연화경 나무묘법연화경 나무묘법연화경 ○ 개경게(開經偈) ~ 법화경을 독송하기 전에 읽는 게송 無上深甚微妙法 百千萬劫難遭遇 我今聞見得受.. 2020. 9. 13. 동밀개안작법(東密開眼作法) 강의영상 동밀의 개안작법 강의영상인데, 참고삼아 보시라고 올립니다. 2020. 9. 12.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