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1267

삼기현녀이보법 대중공개용에 빠진 부분들... 삼기현녀이보법 대중공개용에 빠진 부분들... 1. 기초수행법 2. 택일법 3. 육갑인 제작 및 제례법 4. 부적 제작법 5. 제단 설단법 6. 생략된 부적과 주문들 7. 호신법 8. 기타 위의 내용은 이전에 올린 '주술이나 술법에 사용하는 술 ~ 신주' 글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전승자들은 당연히 알고있는 것이라고 보고 생략제외된 것들입니다. 삼기현녀이보법 대중공개용은 이렇게 제외되어 있는 부분들이 존재하기에 수행이 깊고 기초지식이 있으시지 않는이상 성공보다는 실패를 더 많이 맛볼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고서 등을 통해 알려진 이보법이나 기타 술법들도 생략되어 있는 부분들이 상당히 많기에 역시 실패하는 경우들이 더 많은 것입니다. 그럼 완성본으로 하면 '누구나' 다 고서에 적혀있는 기간인 21일이면 이보통령.. 2020. 8. 4.
도교 이보통령 비법 ~ 삼기현녀이보법(三奇玄女耳報法) 도교 이보통령 비법 ~ 삼기현녀이보법(三奇玄女耳報法) ※ 생략 및 빠진게 많고 오류도 있는 대중공개용을 올린 것이기 때문에, 이것대로 해도 안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그냥 참고삼아서'만' 보세요. 이보통령 현상도 생략 및 빠진 부분 등이 있으므로 그대로 받아들이시면 안됩니다. [택일법] 생기복덕일이 생기일인 정갑일 [절차] 1. 육갑인을 제작합니다. 2. 삼기부와 팔괘부를 제작합니다. 3. 제단을 설단합니다. 4. 을기주 병기주 그리고 정기주 즉, 삼기주를 7일씩 총 21일간 암송합니다. 5. 맹서문을 3일간 암송합니다. [ 이보통령 현상 ] 삼기주를 처음 6~7일을 하면 두 귀에 벌이 웅웅거리는 소리가 들립니다. 처음에는 멀리서 드릴는 듯하고 여러 목소리가 얽혀서 들리다가 점점 가까이 들리기 시작하고 점점.. 2020. 8. 3.
삼기풍수 개운법 과 삼기현녀이보법(三奇玄女耳報法)은 본래 한 세트로 전해지는 비법입니다. 삼기풍수 개운법 과 삼기현녀이보법(三奇玄女耳報法)은 본래 한 세트로 전해지는 비법입니다. 삼기(三奇)란, 기문둔갑에서 정병을(丁丙乙)을 말하고 정병을은 태양, 달, 별을 의미하며... 삼기풍수는 정병을의 삼기를 활용하여 풍수적 효과를 발현시키는 하나의 개운법입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이 삼기풍수가 삼기의 힘으로 육정옥녀와 이보통령을 하는 삼기현녀이보법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모릅니다. 정확히는 삼기풍수를 기초적으로 할 줄 알아야 삼기현녀이보법을 행할 수 있는 여러조건중 1가지가 만족됩니다. 기문둔갑장신법이라는 고서와 그를 번역한 천부신서라는 서적을 보시면, 삼기현녀이보법을 하려면 어느시기에 어느방위와 시간을 사용해야한다라는 언급없이 생기복덕의 생기일이면서 정갑일인 날을 사용한다고 적혀있습니다. 육정옥녀와.. 2020. 8. 2.
중국도교의 삼례구고예법 2020. 8. 1.
오수주(五獸呪)와 오행기공(五行氣功) 오수주(五獸呪)와 오행기공(五行氣功) 이건 옛날부터 전해지는 활용법이 아니라 현대에 새롭게 짜여진 중간 활용법중 한가지입니다. 오수주를 통해 강화시킨 오행의 기운을 아래의 오행기공법을 통해 인체감각과 연결시킵니다. 이렇게 연결된 오행의 감각은 나중에 특별한 방법을 통해 사용합니다. 참고로, 오행기공법은 양요한님께서 출판하신 '음양오행기공'이라는 책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절판되어 있어 국립중앙도서관이나 대학도서관 등을 통해 접하실 수 있습니다. 오행기공법 1) 오행이란 ∙ 오행의 작용으로 우주만물이 생성된다. ∙ 대자연은 각각의 오행기운이 서로 돕고 이기는 상생상극관계에 의해 질서를 유지한다. 오행설이란 고대 동양에서 세계를 이루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물질의 성질을 목(木), 화(火), 토(土), .. 2020. 7. 31.
국내의 경신수행에 관련된 경신경에 대한 출처.... 국내의 경신경에 대한 출처.... 庚申道通道神化 日出東方赫赫堂 壽之長生普化仙 萬仙同心道一合 天下歸一同一人 無魔天地泰平春 경신도통도신화 일출동방혁혁당 수지장생보화선 만선동심도일합 천하귀일동일인 무마천지태평춘 위의 것을 국내에서는 경신경이라고 부릅니다.... 이 경신경의 출처에 대해 모르는 분들이 거의 대부분이기에 이번 기회에 밝힙니다. 경신경은 조선중기의 학자 남사고(南師古)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남사고비결(南師古秘訣).... 즉, 격암유록(格菴遺錄)의 천웅결(天雄訣)에서 찾은 주문입니다. 아래는 격암유록의 천웅결의 전문으로, 경신경에 해당하는 부분을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訣云 四二二二其年 靑鷄鳴兮 中半田落 七七之夜 八前三午 女相逢 稻花日 결운 사이이이기년 청계명혜 중반전락 칠칠지야.. 2020. 7. 30.
요범사훈 공과격(了凡四訓 功過格) ~ 공덕과 죄과를 기록하는 표 요범사훈 공과격(了凡四訓 功過格) ~ 공덕과 죄과를 기록하는 표 예서원 간략해설 : 운곡선사(雲谷禪師)가 원료범(袁了凡) 선생님에게 전한 공과격(功過格)으로, 인간의 길흉화복은 현생의 행위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며 선한 행위를 반복하여 버릇이 되고 습관이 되게 하여 삶을 변화시키는 법에 해당됩니다. 주로 도교 적선파에서 민간으로 전파시키기 위해 적선파의 핵심을 녹여 하나의 표로 만든 것이 공과격이며, 실제 공과격은 이것만 있는게 아니라 유명한게 요범사훈의 공과격일 뿐이고 제가 알고 있는 공과격만 해도 10여개가 넘습니다. 참고삼아 보시면 됩니다. ■ 1점짜리 공덕 (准一功) 착한 일을 한번 칭찬하는 것. 사람의 악을 헌번 덮어주는 것. 사람의 싸움을 한번 그치게 말리는 것. 사람이 한 가지 나쁜 일을 못하.. 2020. 7. 29.
2016년 경신일(庚申日) ~ 수경신(守庚申) 2016년 경신일(庚申日) ~ 수경신(守庚申) 2월 8일 4월 8일 6월 7일 8월 6일 10월 5일 12월 4일 2020. 7. 28.
수경신에 대해 참고할만한 글 몇가지 수경신에 대해 참고할만한 글 몇가지 예서원 간략해설 : 일반적인 경신신앙과 수경신에 대한 내용으로 참고삼아 읽어보시라고 올려봅니다. 도교경전에는 정말 다양한 이야기들이 나와있는 것이 많습니다. 그것 가운데 하나가 이 수경신(守庚申) 신앙입니다. 수경신 신앙은 삼시설(三尸說)에 바탕을 둔 사과신앙(司過信仰)의 한 형태로 삼시는 삼팽(三彭), 또는 삼충(三蟲)이라고 부릅니다. 삼시는 사람의 몸속에 있으면서 그 사람의 죄상을 낱낱이 기록했다가 두달마다 한번씩 돌아오는 경신(庚申)일밤에 하늘로 올라가 옥황상제께 그 사이에 인간이 지은 죄를 빠짐없이 고해바쳐 그 죄과만큼 수명을 감하게 한다는 신적존재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삼시는 반드시 사람이 잠든 뒤라야 몸을 빠져 나갈수 있으므로 아예 삼시가 하늘에 올라가 죄.. 2020. 7. 27.
삼시설(三尸說)과 수경신(守庚申) 신앙 삼시설(三尸說)과 수경신(守庚申) 신앙 Ⅰ. 머리말 도교와 관련되어 전파된 민간 신앙 가운데 守庚申 信仰이 있다. 이 수경신 신앙은 三尸說에 바탕을 둔 司過信仰의 한 형태이다. 삼시는 三彭 또는 三蟲이라고도 부른다. 삼시는 사람의 몸 속에 있으면서 그 사람의 죄상을 낱낱히 기록하였다가 두 달 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 경신일 밤이 되면 하늘로 올라가 옥황상제에게 그간에 인간이 지은 죄를 낱낱히 고해 바쳐 그 죄과 만큼 수명을 감하게 한다는 신적 존재이다. 그런데 이 삼시는 반드시 사람이 잠든 뒤라야 몸을 빠져 나갈 수 있었으므로 아예 삼시가 하늘에 올라가 죄과를 보고하는 것을 원천 봉쇄하기 위해 경신일 밤을 뜬눈으로 새우는 수경신의 습속이 널리 행해지게 되었다. 이 수경신 신앙에 대한 민속 방면의 연구 성과.. 2020.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