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1267

성명규지의 태식결(胎息诀) ~ 태아의 숨쉬는 비결 예서원 간략해설 : 고상옥황태식경과 고상옥황심인묘경을 함께 보세요. ○ 원천강태식결(袁天纲胎息诀) 夫元气者,大道之根,天地之母,一阴一阳,生育万物。在人为呼吸之气,在天为寒暑之气。能改移四时之气者,戊己也。 대저 원기란것은 대도의 뿌리이고 천지의 어미이니, 일음일양하면서 만물을 생육한다. 사람에게 있으면 호흡지기이고 하늘에 있으면 한서지기(寒暑之氣)인 것이다. 능히 사시의 기를 고쳐서 옮기는 것은 무기(戊己)이다. 春在巽,能发生万物。夏在坤,能长养万物。秋在乾,能成熟万物。冬在艮,能含养万物。 춘은 손괘에 있고 능히 만물을 발생시킨다. 여름은 곤괘에 있고 능히 만물을 길러낸다. 가을은 건괘에 있으니, 능히 만물을 성숙시킨다. 겨울은 간괘에 있으니 능히 만물을 함양한다. 故学道者,当取四时正气,纳人胎中,是为真种,积久自得,心定.. 2020. 7. 25.
간단한 전신지압과 미용기공 5분만에 혼자하는 간단한 전신지압 오늘은 잠자리에서 일어나거나 책상에 앉아 있다가 간단히 전신을 지압하여 몸을 상쾌하게 하는 법을 올려 드립니다. 한 두가지만 기억하고 계시면 평생 유용히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몸의 상하좌우 균형을 맞추는 곳은 10번, 7번 입니다. 10번 위치 : 팔을 접어 생긴 주름 끝에서 재어 2,3,4번 손가락 합친 폭(이하 3촌이라 칭함) 위치의 압점. 7번 위치 : 슬개골(무릎뼈) 하단에서 3촌 아래 뼈 바깥쪽 압점. 사관침법(15,21번)으로 맞추기도 합니다. 위의 압점을 1번 또는 2번 손가락으로 살에 밀착시키고 살짝 누르며 좌로 3회, 우로 3회 돌려 줍니다. 시간이 허락하면 7회 정도가 좋을 듯 합니다. 신체의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며 행하고 몸이 냉하거나 혈압이 낮으신.. 2020. 7. 24.
도덕경 독송수행법 도덕경 독송수행법 이번에 소개하는 도덕경 독송수행법은은 아마도 많이 낯선 내용일 것입니다. 국내보단 중국에서 행하는 독송법이며.... 일반적인 한자가 아닌 소전체(小篆体)로 된 도덕경을 한글자 한글자 보면서 독송하는 것입니다. 소전은 진(秦) 왕조 때(221~207 B.C) 통용되었던 문자로, 진전(秦篆)이라고도 부릅니다. 전국시대(475~221B.C)때의 중국에서는 각 제후들마다 서로 다른 모양의 문자를 쓰고 있었는데.... 진나라의 진시황이 춘추전국 시대 때(770~476 B.C) 통용되었던 대전(大篆)을 기초로 표준자체를 만들도록 하여 문자를 통일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소전체입니다. 지금은 소전체나 대전체, 갑골문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법술이나 부적 등을 사용할 때 .. 2020. 7. 23.
서유기의 등장인물과 단학수련 이야기 서유기라는 중국소설은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라면 한번씩은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여기에는 몇가지 재밋는 비밀이 숨겨져 있는데요. 그중에 일부를 홍익학당의 윤홍식님이 과거에 소개하신적이 있어 재미삼아 한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 올려봅니다. 의 등장인물의 비밀 2004. 5. 13 윤홍식 는 말 그대로 서쪽으로 불법을 구하러 떠나는 손오공 삼장법사 일행의 구도기죠. 그런데 이 인물의 배치를 잘 보면 그 안에 재미있는 상징들이 숨어 있어요. 이걸 알고 보시면 더 재미나지 않을까 해서 이 글을 올려 봅니다. 불교에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꼭 필요한 이란게 있어요. 이것이 무엇인고 하면, 이렇게 다섯 가지입니다. 이런 이 바로 5명의 삼장법사 일행의 모델이죠. 그래서 에선 이렇게 다섯 가지 능력을 바탕으로 서(西.. 2020. 7. 22.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해설문 보천가(步天歌)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해설문 보천가(步天歌)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수(宿)는 머무르며 묵는다는 의미로 달이 지구를 도는동안 공전주기, 즉 황도(黃道)를 일주(一周)하는 동안이 27.32일인데, 매일 매일 달이 황도를 지나면서 어느 별의 위치에 머무는가를 정해 놓은 별자리가 이십팔수이다. 달의 공전 주기의 순서는 동, 북, 서, 남으로 되어 있으며 동방에서는 청룡이 칠수를 거느리며, 북방에서는 현무가 7수를 거느리며, 서방에서는 백호가 7수를 거느리며, 남방에서는 주작이 칠수를 거느리는데, 별자리의 거리는 균등하지 아니하고 서로 다르다. 청룡, 백호, 현무, 주작이 거느리는 이십팔수 명칭은 아래와 같다. 청룡(靑龍)이 거느리는 동방 7수는 각, 항, 저, 방, 심, 미, 기(角亢氐房心尾箕)이며, 현무(玄武.. 2020. 7. 21.
북두칠성(北斗七星)과 인체대응표(人體對應表) 북두칠성(北斗七星)과 인체대응표(人體對應表) 북두칠성 내장 대응 부위 머리 대응 부위 탐랑성 우측 간 좌측 눈 거문성 좌측 간 우측 눈 녹존성 우측 신장 좌측 귀 문곡성 좌측 신장 우측 귀 염정성 우측 폐 좌측 코 무곡성 좌측 폐 우측 코 파군성 심장 입과 혀 2020. 7. 20.
북두칠성주의 한가지 사용법.... 북두칠성주의 한가지 사용법.... 바로 칠성부를 제작할 때 사용합니다. 원래 북두칠성주는 북두연명경의 밀전(密傳)중 하나인, 북두칠원금현우장(北斗七元金玄羽章)에 나오는 주문으로 칠성부와 함께 전해집니다. 사실 몇백년도 전에 이미 '정통도장 동신부 옥결류'에 공개된 내용이라 밀전이라고 까지할 것도 아니며.... 국내에 알려진 칠성부는 이 북두칠원금현우장의 칠성부가 원형이 됩니다. 사용법은 부적을 개광 즉 작동시킬 때, 북두결인을 맺고 북두칠성주를 암송합니다. 2020. 7. 19.
북두칠성의 은휘(隱諱).... 북두칠성의 은휘(隱諱) 두작관행필보표 이 일곱 글자가 북두칠성의 은휘(隱諱) 즉, 숨겨진 이름입니다. 두 : 탐랑 작 : 거문 관 : 녹존 행 : 문곡 필 : 염정 보 : 무곡 표 : 파군 위와 같이 각각의 글자가 북두칠성의 각 별의 숨겨진 이름이 됩니다. 한국에 알려진 북두주나 북두경에 대한 내용을 보면 '魁' 이 글자를 '괴'라고 발음하는 실수를 범하고 있습니다. 북두칠성의 은휘는 모두 앞에 귀(鬼)자가 들어가며, 발음할 때에는 제외하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괴가 아니라 두가 올바른 발음입니다. 북두칠성의 은휘와 관련된 카페글은.... 태상현령북두본명장생진경인 북두경과 북두경에 수록된 북두주, 그리고 태상태청천동호명묘경이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 일곱글자는 여러 쓰임이 있겠지만, 그중 한가지를 언급.. 2020. 7. 18.
양생기공(養生氣功) 실천하기 양생기공(養生氣功) 실천하기 (1) 소개 현대의 양생법중 가장 많이 널리 애용하는 것이 기공(氣功)입니다. 보통 기공이라고 하면, 종류가 너무 많고 스승없이 잘못 배우면 배우니 못하다고 인식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그러한 부분이 있었던 것은 분명 사실입니다. 그 이유는, 그러한 공법들이 모두 선도(仙道) 같은 수행법과 연결되는 것이기에 그런 것입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기공이 전세계적으로 보급되는 과정에서 수많은 뛰어나신 기공사(氣功)분들께서 스승없이도 누구나 정해진 방법대로 하면 효과를 볼 수 있는 기공법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조금 더 정확히 설명하자면, 아래의 기공법들은 모두 의료기공이며 중국의 기공사들이 질병치유의 목적으로 정리하고 만들어 낸 것이고 수많은 임상실험을 통해 검증된 기공.. 2020. 7. 17.
초간단 다이어트 운동 초간단 다이어트 운동 보통 다이어트라고 하면 뱃살을 빼는 것을 제일 먼저 떠올립니다. 하지만 운동을 좋아하지 않는 분들은 뱃살을 빼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간단하고 누구나 쉽게 앉아서도 할 수 있으면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한걸음 더 나아가 전반적인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초간단 운동을 3가지 정도 소개해 보겠습니다. 모르셔도 상관은 없지만, 이 운동에서 자극하는 부위는 한의학에서 말하는 대맥이라는 곳입니다. 일단 대맥(帶脈)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대충이라도 알고 계시면 지식적으로 좀 더 도움이 되실텐데요. '속효미용 옥안신공速效美容 玉颜神功) 대맥유통 설명' 글을 보시고 읽으시면 더 이해가 잘 되실 것입니다. 대맥이란 것이 어떤 것인지,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것인지 이해를 하셨나요? 이제부.. 2020.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