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칼럼1267

법술(法術)이 자력이든 타력이든, 법사(法士)가 더 중요하다. 법술(法術)이 자력이든 타력이든, 법사(法士)가 더 중요하다. 어떠한 법술(法術)이든 결국, 법사(法士)의 육체와 의식상태가 가장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법사 그 자체가 바로 법술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법술의 근원은 천지자연이나 경문의 세계에 계신 높으신 분들이지만, 법술의 핵심인 법사가 존재하기에 지상에서 법술이 발현되는 것입니다. 법사 없이 발현되는 법술은 더이상 법술이라 하지 않고 자연현상이라고 말합니다. 태풍이 오는데 이 태풍을 부른 법사가 있다면 법술이 되겠지만, 없다면 태풍을 부르는 법술이라 하지 않고 자연현상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육체와 의식은 서로 긴밀한 영향을 주고받고 있습니다. 육체가 아프면 의식도 고통을 느끼고, 의식이 고통을 느끼면 육체도 아프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법술.. 2020. 7. 5.
법술(法術)의 3요소 법술(法術)의 3요소 1. 청신(请神) : 법술을 행하기전에 자신과 관련된 세계의 존재 분들에게 보호를 요청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전승(傳承) : 스승님에게 법술을 배웁니다. / 도맥을 전승합니다. 3. 수련(修炼) : 배운 법술을 행할 수 있도록 육체와 정신을 단련합니다. 2020. 7. 4.
구전환양(九轉還陽) ~ 남성의 충만한 정(精)을 기(氣)로 변화시키는 방법 구전환양(九轉還陽) 연공법: 이 종류의 방법은 앞의 방법보다 한 단계 깊은 것이다. 이것의 작용은 바로 능히 훨씬 가득한 정액을 다시 몸으로 되돌려서 기혈(氣血)이 되도록 연마하는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기공을 연마한 지 오래되었고, 비교적 긴 시간 내에 정액을 배설하지 않았다면 정액은 충분히 가득차서 발기가 지나치고(한밤중에 많다) 아랫배가 빵빵하여 잠을 잘 수가 없으며 사정하는 느낌 혹은 회음 구멍 안에서 펄떡이는 느낌이 있을 때(회음 안쪽 세 치 부분)와 흡(吸), 첩(貼), 착(捉), 폐(閉)의 법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을 때 비로소 채택할 수가 있다. 만약 너무 일찍부터 사용하거나 혹은 횟수가 지나쳐 정액이 아주 충만한 정도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때 억지로 위로 올라가게 하면 곧 허화(虛火).. 2020. 7. 3.
단경지남의 부록 ~ 정법보휴비전(중년이후에 정기가 모자란 사람을 위한 방법) 단경지남의 부록 ~ 정법보휴비전(중년이후에 정기가 모자란 사람을 위한 방법) 補虧者,因人娶妻生育,及酬應一切,無如年至四十後,其精氣已耗大半, 보휴란 사람이 부인을 얻고 자식을 기르고 또 현실생할에 수응함으로 인해 부득이 나이가 40이 넘으면 그 정기가 이미 대부분 소모하게 한다. 若不補足,則坐不到正午時,九還正功,無從入手也。 만약에 보충하여 채우지 않으면 곧 정오시가 이르지 않게 되어 구환정공을 입수할 수 없다. 其法:可預構一淨室,上下均置木板,以免濕氣蒸入。 보휴하는 방법은 우선 한 칸의 정실을 꾸미고 위와 아래로 목판을 고르게 설치하여 습기가 많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室中務要明暗得宜,〔過明傷魂,過暗傷魄。)風日不侵,(忍風耐日,最能傷太陽、少陽二經,令人頭痛,外感皆由此二經而入) 방은 반드시 명암을 알맞게 .. 2020. 7. 2.
현기구결(玄機口訣)의 부록 ~ 도인술(導引術, 병을 물리치고 오래 사는 비결) 현기구결(玄機口訣)의 부록 포일자(抱一子) 기록 도인술(導引術) ―병을 물리치고 오래 사는 비결― 도인(導引)이라는 하나의 술법(術法)은 웅경(熊經)과 조신(鳥伸), 그리고 화타(華陀, 중국 삼국 시대의 명의)의 오금희(五禽戲)에 근거를 두고 있다. 오늘날 성행하고 있는 태극권(太極拳)과 형의권(形意拳) 등은 실제로는 도인술(導引術)의 일종이다. 다만, 그 방식이 비교적 번거로워서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는 불편할 따름이다. 또, 세간에 소개된 팔단금(八段錦) 등은 졸렬한 힘만 숭상하고, 내공(內功)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으므로, 이 책에서 소개하는 도인술(導引術)의 완선(完善, 나무랄 데가 없음)함에는 미치지 못한다. 도인술은 혈맥(血脈)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조식(調息)과 양신(養神)으로 병을 없애고,.. 2020. 7. 1.
서파단결 공법(西派丹訣 功法) 서파단결 공법(西派丹訣 功法) 본 공법(功法)은 유(儒) 의(醫) 불(佛) 도(道)를 하나로 융합한 것이다. 본 공법(功法)의 최대 특징은 바로 “간단하고 쉬움(簡易)”하다는 것이다. 옛 진인께서 말하기를 “진전(眞傳) 한 구절의 말 때문에 만권(萬卷)의 서적을 빌려 전하는 것이다.”고 하였고, 백옥섬께서도 또한 말하기를 “일언반구(一言半句)로 곧 현묘한 것을 통하는 것이니 어찌 단경(丹經) 천 만편을 이용하랴.”고 하였다. 사람이 만약 형체에 메이지 않는다면 눈앞(眼前)이 곧 바로 대라선(大羅仙)인 것이다. 모두 이렇게 분명하게 말씀하셨다. 본파(本派)의 총결(總訣)은 바로 “심식상의(心息相依) 대정진공(大定眞空)” 여덟 글자일 뿐이다. 중간의 단계과정은 “수(守) 동(動) 정(定)”에 불과하다. 다시.. 2020. 6. 30.
현도옥녀도(玄都玉女圖) - 여성전용 내공수련 기공 현도옥녀도(玄都玉女圖)는, 당대(唐代)의 무당진종단맥(武当真宗丹脉)에서 내려오는 것으로, 현재 무당 태을문 철송파의 태을신공 계열공법의 일부분으로 전하는 전통도가 여성 내공수련법이자 심신단련법입니다. 1980년대 무당 태을문 철송파 12대 조사 서전명 선생으로 인하여 유철성 선생이 공개하였고, 2008년 길림시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습니다. 여성이 육체를 단련하는 24가지 동공(動功)을 함으로 인하여, 여성의 체질이 변하고, 내재된 미(美)가 발현되며, 부드럽고 온화해지고, 편안하고 고요해지며, 세속을 초월한 선기(仙氣)가 내부에서 외부로 자연스럽게 들어나 육체에 나타나는 독특한 공효가 있습니다. 24가지 동작은 도가 신선전설에서 나온 것이며, 무술이나 무용의 예술적 가치 또한 있으며, 동작을 행함.. 2020. 6. 29.
속효미용 옥안신공(速效美容 玉颜神功) 속효미용 옥안신공(速效美容 玉颜神功) 첫 번째 공법 --- 대맥 유통하기(贯带脉) 1. 동작 (1) 천으로 된 허리띠를 이용하여 (혁대도 가능합니다.) 허리띠 중간쯤을 배꼽쯤에 대고 양손으로 각각 한쪽씩 붙잡고 뒤로 한 바퀴 돌리고 앞으로 교차시켜 묶습니다. 아침과 저녁 집에서 연공할 때 사용하고, 평소에 앉아서 혹은 집 밖에 있을 때, 일하고 있을 때 연공해도 됩니다. 허리띠를 사용하지 않고 연공해도 되지면 되도록이면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2) 두 다리를 좌측과 우측으로 벌리고 어깨를 느슨히 하고, 몸의 중심을 잡고, 전신의 힘을 뺍니다. 이때 눈을 감아선 안됩니다. (3) 호흡은 오직 코로만 하시고 가볍게 이를 다무세요. (4) 몸은 곧게 서고 가슴은 폅니다. 이 자세에서 머리를 아래로 45도.. 2020. 6. 28.
정련 우두커니 내단공 북경의 제1급 종합병원인 서원의원 기공과 주임의사로 유명한 조광 씨가 제창하고 있는 간화기공의 한 종목으로, 원명은 '정련내단공'이다. 정공에 속하는 공법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지만, 그 모든 공법에서 군더더기랄 수 있는 것을 털어내고 또 털어낸 끝에 오히려 엉성한 모양으로 남은 것이 이 공법이다. 하지만 독자들은 이것이 바로 여태까지 배운 우두커니 기공의 요점을 정리한 것에 다름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어쩌면 독자들에게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원명에 '우두커니'를 삽입해서 '정련 우두커니 내단공' 또는 '우두커니 내단공'이라 부르기로 했다. 앞으로 독자들은 여기에 의거해서 우두커니를 생활화하면 될 것이다. 내단공을 엮은 조광 씨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과거 20여 년 동안 종합병원에서.. 2020. 6. 27.
진기운행오보공(眞氣運行五步功) 진기운행오보공(眞氣運行五步功) '기공(氣功)'은 중국인민들이 강신보건(强身保健)하고,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자신의 심신(心身)을 단련시키는 오래된 양생비법(養生秘法)이다. 문헌에 기재된 바에 의하면 이미 춘추전국시기(春秋戰國時期)부터 '기공'은 중국인들의 양생치병(養生治病)으로 운용되어 왔다고 한다. 기공은 주로 자세의 조절,호흡단련,심신이완,의지의 집중과 운용,율동적 동작 및 단련을 통하여 인체의 각 기관계통의 기능을 조절하고 강화하여 체내의 잠재력을 유도하고 계발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며 건강하고 장수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기공에는 여러 가지 공법(功法)이 있으나 인간생명의 원동력이 되는 진기(眞氣)를 주로 이용하는 공법이 있으니, 이를 '진기운행법'(眞氣運行法)이라 한다. 은 감숙중.. 2020.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