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기구결(玄機口訣)의 부록 ~ 도인술(導引術, 병을 물리치고 오래 사는 비결)
현기구결(玄機口訣)의 부록 포일자(抱一子) 기록 도인술(導引術) ―병을 물리치고 오래 사는 비결― 도인(導引)이라는 하나의 술법(術法)은 웅경(熊經)과 조신(鳥伸), 그리고 화타(華陀, 중국 삼국 시대의 명의)의 오금희(五禽戲)에 근거를 두고 있다. 오늘날 성행하고 있는 태극권(太極拳)과 형의권(形意拳) 등은 실제로는 도인술(導引術)의 일종이다. 다만, 그 방식이 비교적 번거로워서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는 불편할 따름이다. 또, 세간에 소개된 팔단금(八段錦) 등은 졸렬한 힘만 숭상하고, 내공(內功)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으므로, 이 책에서 소개하는 도인술(導引術)의 완선(完善, 나무랄 데가 없음)함에는 미치지 못한다. 도인술은 혈맥(血脈)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조식(調息)과 양신(養神)으로 병을 없애고,..
2020. 7. 1.
현도옥녀도(玄都玉女圖) - 여성전용 내공수련 기공
현도옥녀도(玄都玉女圖)는, 당대(唐代)의 무당진종단맥(武当真宗丹脉)에서 내려오는 것으로, 현재 무당 태을문 철송파의 태을신공 계열공법의 일부분으로 전하는 전통도가 여성 내공수련법이자 심신단련법입니다. 1980년대 무당 태을문 철송파 12대 조사 서전명 선생으로 인하여 유철성 선생이 공개하였고, 2008년 길림시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습니다. 여성이 육체를 단련하는 24가지 동공(動功)을 함으로 인하여, 여성의 체질이 변하고, 내재된 미(美)가 발현되며, 부드럽고 온화해지고, 편안하고 고요해지며, 세속을 초월한 선기(仙氣)가 내부에서 외부로 자연스럽게 들어나 육체에 나타나는 독특한 공효가 있습니다. 24가지 동작은 도가 신선전설에서 나온 것이며, 무술이나 무용의 예술적 가치 또한 있으며, 동작을 행함..
2020. 6. 29.